1. 개요[편집]
로마인이라는 용어는 역사적, 사회적으로 여러 맥락에서 사용되며, 다음과 같이 다양한 집단을 포함할 수 있다.
2. Romans[편집]
2.1. 로마 문명의 로마인[편집]
2.1.1. 고대 로마인[편집]
2.1.2. 로마 제국 동부의 로마인[편집]
2.2. 로망스계 민족(라틴 민족)[편집]
2.2.1. 이탈리아 로마 시민[편집]
2.2.2. 루마니아인[편집]
로마 제국의 다키아 속주에 유입된 고대 로마인과 토착 다키아인이 융합되면서 형성된 민족으로,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루마니아어를 사용하며, 루마니아라는 국호 자체가 '로마인의 땅'을 뜻한다.
2.3. 오스만 제국과 튀르키예의 정교회 신자[편집]
- 튀르키예어: Rum(룸)
2.3.1. 오스만 제국의 정교도 신민[편집]
오스만 제국에서 정교회를 믿는 신민들은 혈통이나 언어에 상관 없이 로마인(룸) 밀레트로 분류되어,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를 위시한 정교회의 관리를 받았다.
2.3.2. 그리스계 튀르키예인[편집]
그리스계 튀르키예인은 튀르키예 땅에 대대로 살아왔지만 그리스어를 사용하고 정교회를 믿는 주민들과, 모어로는 튀르키예어를 사용하지만 종교적으로는 정교회를 믿고 전례 언어로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주민들을 포괄한다.
이들은 과거 동로마 제국의 전통을 계승했으며, 자신들을 ‘로마인(Ρωμιοί, Romioi)’이라 불렀다. 특히 카라만리데스(Karamanlides)와 폰토스 그리스인(Pontic Greeks)[1] 등이 대표적인 집단이다.
1923년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을 통해 상당수가 그리스로 이주했지만, 일부는 터키에 남아 현대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현재 터키 내 그리스인 공동체는 규모가 크게 축소되었으며, 대부분 이스탄불과 이즈미르 등지에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과거 동로마 제국의 전통을 계승했으며, 자신들을 ‘로마인(Ρωμιοί, Romioi)’이라 불렀다. 특히 카라만리데스(Karamanlides)와 폰토스 그리스인(Pontic Greeks)[1] 등이 대표적인 집단이다.
1923년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을 통해 상당수가 그리스로 이주했지만, 일부는 터키에 남아 현대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현재 터키 내 그리스인 공동체는 규모가 크게 축소되었으며, 대부분 이스탄불과 이즈미르 등지에 거주하고 있다.
2.3.3. 안타키아(안티오키아) 로마인[편집]
이들도 위와 같이 튀르키예 땅에서 정교회를 믿지만, 시리아와 가까운 안타키아(안티오키아) 일대에 거주하기 때문에 그리스계보다는 아랍계 및 아시리아계가 많으며, 위의 그리스계 튀르키예인 집단과는 구분된다.
3. 유랑민족 Romani[편집]
이들은 로마니(Romani)라는 이름을 사용하기에 로마인으로 번역되기도 하지만, 북인도 일대에서 기원했기에 위의 로마인들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으며 로마 제국이 아닌 '순례자' 또는 '여행자'를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
4. 서아프리카의 Loma people[편집]
서아프리카의 기니와 라이베리아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니제르콩고어족 만데어파에 속하는 로마어(Loma language)를 사용한다.
이들은 어디까지나 R 발음과 L 발음을 달리 표기할 방법이 없는 한글의 특성상 '로마'라고 표기될 뿐, 원어 발음 및 서구권 언어에서의 발음은 R로 시작하는 위의 로마인들과 구분된다.
이들은 어디까지나 R 발음과 L 발음을 달리 표기할 방법이 없는 한글의 특성상 '로마'라고 표기될 뿐, 원어 발음 및 서구권 언어에서의 발음은 R로 시작하는 위의 로마인들과 구분된다.
5. 관련 문서[편집]
[1] 크림 반도 및 캅카스의 흑해 연안 지방에 살던 그리스계 주민들까지 포괄하는 용어라서 그리스계 튀르키예인과 완전히 겹치진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