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편집]
2. 역 정보[편집]
대합실 |
역 안내도 |
7호선 계획당시 임시역명은 묵동역이었다. 그러나 역 이름은 묵동(墨洞)의 순우리말인 먹골에서 유래하였다. 목동역과의 혼동 문제를 고려한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특별시에서 몇 없는 순우리말 역명으로, 먹골이라는 이름은 인근이 개발되고 지하철이 건설될 때는 완전히 잊혀진 이름이라 제정 당시에는 지역 주민들의 불만이 있었다고 한다.
지하 3층으로 승강장이 꽤 깊게 있고 그만큼 공간이 남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던전 상태이다. 특히 지하 1층은 그야말로 허허벌판의 극치인데, 이 남는 공간을 이용해서 탁구대를 여럿 설치하고 시민들에게 무료로 개방하고 있었다. 중학생부터 노년층까지 수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탁구 라켓을 열심히 휘두르는 모습을 볼 수 있었으나 2014년 6월 기준으로 탁구대들은 모두 철수했기때문에 다시 텅 비어버렸다. 2014년 10월 지하 1층에 이름 없는 옷가게샌드프레소, 지하2층에 페이스샵/토니모리/이디야가 오픈하고 화장실도 새로 리모델링을 해서 썰렁하던 예전 모습은 어느 정도는 사라졌고, GS25도 영업중이다. 2019년 10월부로 계약 만료된 상가를 폐쇄했다.
참고로 텅 비어있는 지하 1층의 경우 같은 구조로 된 상봉역과 함께 2000년대 서울 일대에서 알아주는 비보잉 성지 중 하나였다. 당시 비보이들은 스튜디오를 대관해서 연습하기 쉽지 않아 지하철역의 매끄러운 대리석 바닥에서 춤을 연습하는 경우가 굉장히 흔했었는데 이동인구가 거의 없고 1개층이 텅 빈 먹골역과 상봉역이 춤을 추기에 가장 안성맞춤이었기 때문이다. 때문에 7호선 라인 중에서 특히나 먹골역과 상봉역의 지하 1층에서는 비보이들을 자주 접할 수 있었다. 바로 근처의 용마산과 면목동 지역 출신의 고등학생/성인 비보이들이 굉장히 많았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상대식 승강장이며, 개찰구 방향이 구분되어 있어 지하철 방향를 잘못 탔을 때 좌우 횡단이 불가능한 역 중 하나로, 이럴 때는 역무원에게 얘기하고 개찰구를 나와 반대 방향으로 건너가면 된다.
또 하나의 문제점은 원래 매표소와 자동개표기를 지하 2층 '양쪽 끝'에 설치해 두었었지만, 인건비 절감이라는 미명하에 한 쪽 매표소와 자동개표기, 무인충전기들이 싹 없어지면서 없어진 쪽 계단으로 내려온 시민들은 지하 2층을 끝에서 끝으로 가로질러야 표를 사거나 카드를 충전할 수 있게 되었다. 다행히 지금은 중간 지점에 신형 충전기와 일회용 교통카드 발매기를 설치해서 위의 문제는 해결되었다.
지하 3층으로 승강장이 꽤 깊게 있고 그만큼 공간이 남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던전 상태이다. 특히 지하 1층은 그야말로 허허벌판의 극치인데, 이 남는 공간을 이용해서 탁구대를 여럿 설치하고 시민들에게 무료로 개방하고 있었다. 중학생부터 노년층까지 수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탁구 라켓을 열심히 휘두르는 모습을 볼 수 있었으나 2014년 6월 기준으로 탁구대들은 모두 철수했기때문에 다시 텅 비어버렸다. 2014년 10월 지하 1층에 이름 없는 옷가게
참고로 텅 비어있는 지하 1층의 경우 같은 구조로 된 상봉역과 함께 2000년대 서울 일대에서 알아주는 비보잉 성지 중 하나였다. 당시 비보이들은 스튜디오를 대관해서 연습하기 쉽지 않아 지하철역의 매끄러운 대리석 바닥에서 춤을 연습하는 경우가 굉장히 흔했었는데 이동인구가 거의 없고 1개층이 텅 빈 먹골역과 상봉역이 춤을 추기에 가장 안성맞춤이었기 때문이다. 때문에 7호선 라인 중에서 특히나 먹골역과 상봉역의 지하 1층에서는 비보이들을 자주 접할 수 있었다. 바로 근처의 용마산과 면목동 지역 출신의 고등학생/성인 비보이들이 굉장히 많았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상대식 승강장이며, 개찰구 방향이 구분되어 있어 지하철 방향를 잘못 탔을 때 좌우 횡단이 불가능한 역 중 하나로, 이럴 때는 역무원에게 얘기하고 개찰구를 나와 반대 방향으로 건너가면 된다.
또 하나의 문제점은 원래 매표소와 자동개표기를 지하 2층 '양쪽 끝'에 설치해 두었었지만, 인건비 절감이라는 미명하에 한 쪽 매표소와 자동개표기, 무인충전기들이 싹 없어지면서 없어진 쪽 계단으로 내려온 시민들은 지하 2층을 끝에서 끝으로 가로질러야 표를 사거나 카드를 충전할 수 있게 되었다. 다행히 지금은 중간 지점에 신형 충전기와 일회용 교통카드 발매기를 설치해서 위의 문제는 해결되었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과일가게에 많이 보이는 먹골배의 이름이 여기서 유래한다. 물론 묵동 일대가 배나무 밭에서 아파트 밭으로 변한 현대엔 구리시 동구릉 일대에서 남양주시 별내면 일대로 재배지를 옮겨 남양주시 특산물로 자리잡았다.
1번 출구에 KFC, 이니스프리가 있다. 원래 이 곳에는 롯데리아가 있었는데, 2021년 말까지 건물이 공사에 들어가 폐점했고, 건물 건설 후 KFC가 대체하고 있다.
2018년 5월 30일 4번 출구앞에 버거킹이 오픈했다.
그리고 노원 방면으로 올라가는 버스들을 탈 수 있는 지점이다. 1번 출구 앞 정류장에서 서울 버스 1224, 서울 버스 1227, 서울 버스 202를 승차 할 수 있으며, 중계 방향으로 간다.
출구에서 100미터 정도 직진하면 버스 정류장이 더 나오는데, 노원방향 버스를 탈 수 있다. 서울 버스 105, 서울 버스 146 또한 여기서 남양주 방향 버스는 82A, 82B를 탈 수 있다.
중화역 방면은 7번 출구로 나와 서울 버스 1224, 서울 버스 1227, 서울 버스 105, 서울 버스 146, 서울 버스 202 등을 이용할 수 있다.
1번 출구로 나와서 묵동삼거리 오른쪽 길로 들어가보면 먹자 골목이 나오는데, 생각보다 많은 식당들이 있다. 더 들어가면 이마트 묵동점도 있다.
2020년 10월 8일 7번 출구 쪽으로 롯데시네마 중랑점이 개관했으며, 도보로 7분 거리라서 위치가 태릉입구역과의 중간 지점이다.
1번 출구에 KFC, 이니스프리가 있다. 원래 이 곳에는 롯데리아가 있었는데, 2021년 말까지 건물이 공사에 들어가 폐점했고, 건물 건설 후 KFC가 대체하고 있다.
2018년 5월 30일 4번 출구앞에 버거킹이 오픈했다.
그리고 노원 방면으로 올라가는 버스들을 탈 수 있는 지점이다. 1번 출구 앞 정류장에서 서울 버스 1224, 서울 버스 1227, 서울 버스 202를 승차 할 수 있으며, 중계 방향으로 간다.
출구에서 100미터 정도 직진하면 버스 정류장이 더 나오는데, 노원방향 버스를 탈 수 있다. 서울 버스 105, 서울 버스 146 또한 여기서 남양주 방향 버스는 82A, 82B를 탈 수 있다.
중화역 방면은 7번 출구로 나와 서울 버스 1224, 서울 버스 1227, 서울 버스 105, 서울 버스 146, 서울 버스 202 등을 이용할 수 있다.
1번 출구로 나와서 묵동삼거리 오른쪽 길로 들어가보면 먹자 골목이 나오는데, 생각보다 많은 식당들이 있다. 더 들어가면 이마트 묵동점도 있다.
2020년 10월 8일 7번 출구 쪽으로 롯데시네마 중랑점이 개관했으며, 도보로 7분 거리라서 위치가 태릉입구역과의 중간 지점이다.
3.1. 출구 정보[편집]
먹골역 출구 정보 | |
1 | 태릉중학교 묵1동주민센터 먹골지구대 태릉 방면 묵동자이아파트 |
2 | 봉화산 |
3 | 묵1동 |
4 | 한국전력동대문중랑지사 중화동 방면 |
5 | 묵2동주민센터 묵현초등학교 신묵초등학교 |
6 | 묵동우체국 묵동아이파크아파트 |
7 | 묵동삼거리 묵2동 중랑장미공원 태릉사거리 방면 |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 비고 | |||||||||||||||||||||||||||||||
| ||||||||||||||||||||||||||||||||
2010년 | 18,181명 | |||||||||||||||||||||||||||||||
2011년 | 19,532명 | |||||||||||||||||||||||||||||||
2012년 | 20,299명 | |||||||||||||||||||||||||||||||
2013년 | 21,091명 | |||||||||||||||||||||||||||||||
2014년 | 21,124명 | |||||||||||||||||||||||||||||||
2015년 | 21,010명 | |||||||||||||||||||||||||||||||
2016년 | 20,991명 | |||||||||||||||||||||||||||||||
2017년 | 21,086명 | |||||||||||||||||||||||||||||||
2018년 | 21,254명 | |||||||||||||||||||||||||||||||
2019년 | 21,199명 | |||||||||||||||||||||||||||||||
2020년 | 16,725명 | |||||||||||||||||||||||||||||||
2021년 | 16,891명 | |||||||||||||||||||||||||||||||
2022년 | 18,161명 | |||||||||||||||||||||||||||||||
2023년 | 19,476명 | |||||||||||||||||||||||||||||||
출처 | ||||||||||||||||||||||||||||||||
하루 평균 이용객은 19,476명(2023년 기준)이며 역세권의 규모에 비해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이용한다. 묵동이라는 동네가 중랑천과 봉화산 사이에 끼어 있어 좁고 긴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는데, 위아래로는 태릉입구역과 중화역이 있어 수요가 분산되고, 양옆으로 300~400m만 가면 각각 하천과 산에 막혀 시가지가 끊기기 때문에 역세권에 거주하는 인구가 적은 편인데도 그렇다. 비슷한 규모의 역세권을 가진 서울 시내 역들 대다수가(심지어 1기 지하철을 포함해도) 평균적으로 1만 명대 초중반이거나 1만 명 미만의 역들이 대부분이라는 사실을 생각하면, 7호선의 수송 분담률이 높다는 사실을 여기서 느낄 수 있다.
역세권에 비해 먹골역의 수요가 높은 이유는 공릉동에서 오는 환승수요 때문인 것도 있다. 공릉2동 내부 시가지를 지나는 공릉로가 공릉역을 지나지 않고 태릉사거리를 지나 먹골역 앞에서 끊기기 때문에 원자력병원 이남 구간에서 7호선을 이용하려면 서울 버스 1224번이나 서울 버스 1227번을 이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5. 승강장[편집]
7호선 승강장 |
7호선 역명판 |
[1] 부산 지하철 2호선의 못골역과 가나 표기가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