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주국에서 넘어옴
분류
1. 개요[편집]
특수한 혈통 또는 신분에 의해 정통성을 인정받는 군주가 군림하는 정치 체제.
2. 유형[편집]
3. 현존하는 군주국[편집]
3.1. 아시아[편집]
3.2. 유럽[편집]
3.3. 아프리카[편집]
3.4. 아메리카[편집]
3.5. 오세아니아[편집]
4. 군주제 폐지[편집]
5. 관련 제도[편집]
[1]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군주제.[2] 선거로 군주를 뽑는 체제.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일부 사회적 특수계급으로 한정되기에 공화제가 아닌 엄연한 군주제로 분류된다.[3] 일본의 군주 천황은 영어로 Emperor of Japan이라 번역되지만, 공식 국호는 칭호를 반영하지 않은 일본국이며 영문 공식 국호 역시 그냥 Japan이다.[4] 9명의 지방 군주들이 순번대로 돌아가면서 국가원수로 선출되는데, 그 중 7명은 술탄이지만, 1명은 라자, 1명은 얌투안 칭호를 사용한다.[S] 5.1 5.2 술탄국(Sultanate).[K] 6.1 6.2 6.3 6.4 6.5 6.6 6.7 6.8 6.9 6.10 6.11 6.12 6.13 6.14 6.15 6.16 왕국(Kingdom).[E] 11.1 11.2 11.3 아미르국(Emirate).[12] 국가원수는 대통령이지만 구성국 군주(아미르)들 중 가장 강력한 아부다비의 아미르가 세습 중이다.[17] 콘클라베로 선출된 가톨릭 교황이 다스리는 신권정치+선거군주제 국가.[P] 19.1 19.2 19.3 공국(Principality). 후국으로 번역되기도 한다.[20] 프랑스 대통령과 스페인 우르젤 대주교가 공동 군주로 군림하는 나라. 실제 정치는 선거로 구성된 의회와 내각이 주도한다.[GD] 대공국(Grand Duchy)[CR]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5.10 25.11 25.12 25.13 25.14 25.15 영연방 왕국(Commonwealth Realm). 영국(United Kingdom)과 같은 국왕을 모시는 나라들이다. 단, 영국을 제외한 영연방 왕국에서는 영국 국왕이 아닌 캐나다 국왕, 호주 국왕 등 해당 국가의 국호를 반영한 칭호를 사용한다.[47] 현재 오세아니아에서 유일하게 영연방 왕국이 아닌 군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