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선도 (코마키선 포함) | |||
| |||
노선 정보 | |||
분류 | |||
기점 | |||
종점 | |||
역 수 | 2 | ||
노선 기호 | K | ||
노선 번호 | 7호선(비공식)[2] | ||
개통일 | 2003년 3월 27일 | ||
소유자 | 카미이다 연락선 주식회사 | ||
운영자 | |||
사용차량 | |||
차량기지 | 이누야마 검수장, 닛신 검차장[3]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0.8km | ||
궤간 | 1067mm | ||
선로구성 | 전구간 복선 | ||
사용전류 | |||
폐색방식 | 속도제어식 | ||
신호방식 | CS-ATC | ||
최고속도 | 75km/h |
실측지도 상의 카미이다선 & 메이테츠 코마키선 |
하행 전구간 주행영상 |
1. 개요[편집]
2. 상세[편집]
전 구간의 거리가 0.8km에 불과한 일본에서 가장 짧은 지하철 노선[4]이다.
메이테츠 코마키선과 직통 운행한다. 첫차(카미이다발 헤이안도리행)와 막차(헤이안도리발 카미이다행) 한정으로 메이테츠로 직통하지 않고 지하철 구간만 운행하는 열차가 있으며 시발역부터 종착역까지 운행시간은 단 1분이다.
카미이다선의 기점인 카미이다역은 이 노선이 생기기 전에는 메이테츠 코마키선의 종점역이자 시영전차와의 환승역할을 하고 있던 역이었으나 1971년의 전차운행 폐지를 계기로 나고야 도심지와의 환승기능을 상실하고, 이로 인해 코마키선의 이용객들은 환승을 위해 카미이다역에서 약 1km가량 떨어진 지하철 메이조선의 헤이안도리역까지 도보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을 겪게 된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카미이다~헤이안도리 구간에 지어진 노선이 카미이다선으로 2003년에 개통되었다.
카미이다선의 선로는 아이치현, 나고야시, 나고야 철도 및 코마키선 주변 지자체가 출자한 카미이다 연락선 주식회사라는 제3섹터 회사가 건설해 제3종 철도사업자의 형태로 보유하고 있으며 나고야시 교통국이 제2종 철도사업자로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운행업무는 2007년 이후 메이테츠 측에 위탁하였기에 카미이다역에서 승무교대를 실시하지 않으며[5], 사실상 코마키선의 일부라고 봐도 무방한 상황이다.
이런 이유로 이누야마역 방면에서 헤이안도리역 쪽으로 오는 경우 개찰구를 통과 안 했는데도 나고야 시영 지하철을 이용하게 되는신기한 경험을 하게 된다. 코마키선을 탈 때는 보통 교통카드로 타게 되므로, 나고야 지하철 1일 승차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 안 내도 되는 교통비까지 낼 상황이 된다. 그런 경우가 허다하므로 역무원에게 말하면 손해보지 않도록 정산해 준다. 일본어를 못하면 어떡하지 애초에 일본어를 못하는 단순 관광객이 코마키선을 탈 일이 없다
1970년대까지만 했어도 이 노선은 원래 마루노우치역[6]을 거쳐 카나야마역으로 이어지는 노선이었고, 1992년도 나고야 지하철 계획에 따르면 이 노선을 헤이안도리역에서 타카오카역과 신사카에마치역을 거쳐 츠루마이역 근처에 있는 마루타미치JCT 위치의 신역까지 연장해서 가칭 카나야마선 및 동부선[7]과 환승 시킬 계획이 있었으나, 이후 별다른 소식이 없음으로 인해서 초단거리 노선으로 남게된 것이다.
메이테츠 코마키선과 직통 운행한다. 첫차(카미이다발 헤이안도리행)와 막차(헤이안도리발 카미이다행) 한정으로 메이테츠로 직통하지 않고 지하철 구간만 운행하는 열차가 있으며 시발역부터 종착역까지 운행시간은 단 1분이다.
카미이다선의 기점인 카미이다역은 이 노선이 생기기 전에는 메이테츠 코마키선의 종점역이자 시영전차와의 환승역할을 하고 있던 역이었으나 1971년의 전차운행 폐지를 계기로 나고야 도심지와의 환승기능을 상실하고, 이로 인해 코마키선의 이용객들은 환승을 위해 카미이다역에서 약 1km가량 떨어진 지하철 메이조선의 헤이안도리역까지 도보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을 겪게 된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카미이다~헤이안도리 구간에 지어진 노선이 카미이다선으로 2003년에 개통되었다.
카미이다선의 선로는 아이치현, 나고야시, 나고야 철도 및 코마키선 주변 지자체가 출자한 카미이다 연락선 주식회사라는 제3섹터 회사가 건설해 제3종 철도사업자의 형태로 보유하고 있으며 나고야시 교통국이 제2종 철도사업자로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운행업무는 2007년 이후 메이테츠 측에 위탁하였기에 카미이다역에서 승무교대를 실시하지 않으며[5], 사실상 코마키선의 일부라고 봐도 무방한 상황이다.
이런 이유로 이누야마역 방면에서 헤이안도리역 쪽으로 오는 경우 개찰구를 통과 안 했는데도 나고야 시영 지하철을 이용하게 되는
1970년대까지만 했어도 이 노선은 원래 마루노우치역[6]을 거쳐 카나야마역으로 이어지는 노선이었고, 1992년도 나고야 지하철 계획에 따르면 이 노선을 헤이안도리역에서 타카오카역과 신사카에마치역을 거쳐 츠루마이역 근처에 있는 마루타미치JCT 위치의 신역까지 연장해서 가칭 카나야마선 및 동부선[7]과 환승 시킬 계획이 있었으나, 이후 별다른 소식이 없음으로 인해서 초단거리 노선으로 남게된 것이다.
3. 차량[편집]
4. 역 목록[편집]
[1] 2편성밖에 없으며 평시에는 1편성만 운행하고 나머지 1편성은 이누야마 검차구에 주박해있다. 주로 오전 시간대와 막차 시간대에만 투입되며 낮부터 저녁 시간대에는 2편성 모두 차고에 주박한다.[2] '7호선'이라는 노선번호는 공식이 아니다. 공식적으로 카미이다선은 노선번호가 없다. 다만 카나야마역 방향으로 연장을 계획했을 시기에 7호선이라는 번호가 사용되었기에 비공식적으로 7호선으로 불리고 있다.[3] 교통국 소속 7000형 전동차는 닛신 검차구 소속으로 되어있으나, 아주 가끔식 중정비하러 갈때만 닛신으로 가고 대부분 메이테츠의 마이기 검사장에서 중정비를 받는다.[4] 일본에서 가장 짧은 철도 노선은 신테츠 고베 고속선(0.4km)이다. 원래는 우에노 현수선(0.3km / 331.42m)이었지만 2023년 12월에 폐선되었다.[5] 일본에서 서로 다른 운영사의 노선끼리 직결운행을 하는 경우 모든 열차는 운영사가 바뀌는 경계역에서 승무교대를 한다. 한국의 서울 지하철 7호선이 온수역에서 서울교통공사 기관사와 인천교통공사 기관사가 승무교대를 하는 방식을 생각하면 된다.[6] 실제로 환승통로나 중정비 연결선로 건설을 대비한 흔적이 남아있다.[7] 자세한 것은 나고야 시영 지하철 옛 계획 문단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