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분류
1. 개요2. 명칭
2.1. 한자어 '도시'의 어원2.2. 'City'의 번역어로서의 도시2.3. 행정구역 단위로서의 도시2.4. 대명사로서의 도시
3. 유형
3.1. 정치적/행정적 지위에 따른 분류3.2. 규모에 따른 도시 분류
3.2.1. 상대적 규모에 따른 분류
4. 도시의 내부 구조
4.1. 도심4.2. 외곽4.3. 도시 내부의 교통
5. 목록
5.1. 아시아
5.1.1. 동아시아5.1.2. 서아시아
5.2. 아프리카5.3. 유럽5.4. 북아메리카5.5. 남아메리카5.6. 오세아니아

1. 개요[편집]

다수의 인구가 밀집해서 거주하는 지역을 일컫는 단어.

구체적으로 도시를 정의하는 기준은 국가와 지역에 따라 다른데, 대한민국는 5만 인구가 기준이지만, 중국처럼 이보다 더 높은 기준을 적용하는 국가도 있고, 훨씬 낮은 기준을 적용하거나 아예 법적으로 도시와 그렇지 않은 행정구역을 나누는 법적 기준 자체가 없는 국가도 있다.

2. 명칭[편집]

2.1. 한자어 '도시'의 어원[편집]

2.2. 'City'의 번역어로서의 도시[편집]

2.3. 행정구역 단위로서의 도시[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행정구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대명사로서의 도시[편집]

국가나 문화권에 따라 다른 설명 없이 그냥 '도시'라고 하면 특정한 도시 하나를 가리키는 경우를 종종 찾아볼 수 있다.
  • 고대 로마 ~ 교황청(바티칸): 로마
    고대 로마에서 다른 설명 없이 그냥 도시(Urbs)라고 하면 로마시를 의미했는데, 로마시를 다스리는 시장의 직함은 프라이펙투스 우르비, 즉 그냥 '도시 행정관'이었고, 로마 건국을 원년으로 하는 기년법 AUC의 공식 명칭은 Ab urbe condita(도시가 건설된 해)였다.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고 중세 이탈리아가 여러 도시국가들로 쪼개지면서, 더이상 이탈리아에서는 도시라는 단어가 로마만을 가리키는 단어로 쓰이지 않게 되었지만, 교황청에서는 여전히 이러한 어법이 남아있는 대표적인 예로 교황이 행하는 라틴어 강복 'Urbi et Orbi(도시와 세계에)'[1]가 있다.
  • 동로마 제국 ~ 그리스: 콘스탄티노폴리스
    서로마 멸망 이후에도 살아남은 로마 제국인 동로마 제국에서는 다른 설명 없이 그냥 도시[2]라고 하면 새로운 로마(Nova Roma)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이는 동로마 제국이 오스만 제국에 의해 멸망하고 튀르키예이스탄불이 된 지금도 동로마의 후예를 자처하는 그리스에 남아있는데, 지금도 그리스인 사이에서는 다른 설명 없이 그냥 도시라 하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가리키는 용법이 남아있다.
  • 스페인 바스크 주/나바라 주: 팜플로나
    바스크와 나바라 일대를 지배한 나바라 왕국의 수도 팜플로나는 지금도 바스크인에게 그냥 도시라는 의미를 가진 '이루냐'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 에티오피아 하라리 주: 하라르
    에티오피아 무슬림 공동체의 성지였던 도시로 지금도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는 그냥 도시라는 의미를 가진 '게이'[3]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3. 유형[편집]

3.1. 정치적/행정적 지위에 따른 분류[편집]

  • 수도
    특정 국가의 정치적, 행정적 중심지인 도시.
  • 도시국가
    하나의 도시이면서 그 자체로 국가인 사례.
  • 독립시
    다른 행정구역에 종속되지 않고 그 자체로 광역행정구역인 도시. 한국에는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가 있으며, 해외에서도 명칭은 달라도 이러한 행정구역을 두는 사례가 많다.
  • 자치시
    지방자치제에 따라 자치권을 인정받은 도시. 한국의 도시는 제주시와 서귀포시를 제외하면 모두 여기에 해당된다.[4]
  • 자유도시(자유시)
    전근대 유럽에서 중앙정부에만 충성하고 지방 영주의 간섭을 받지 않을 자유를 보장받았던 도시.

3.2. 규모에 따른 도시 분류[편집]

  • 거대도시(메갈로폴리스)
  • 대도시(메트로폴리스)
  • 중소도시

3.2.1. 상대적 규모에 따른 분류[편집]

4. 도시의 내부 구조[편집]

4.1. 도심[편집]

4.2. 외곽[편집]

4.3. 도시 내부의 교통[편집]

5. 목록[편집]

5.1. 아시아[편집]

5.1.1. 동아시아[편집]

5.1.2. 서아시아[편집]

5.2. 아프리카[편집]

5.3. 유럽[편집]

5.4. 북아메리카[편집]

5.5. 남아메리카[편집]

5.6. 오세아니아[편집]

[1] 여기서 세계는 로마 제국에서 제국을 세계 그 자체로 표현하던 어법이 지금까지 이어진 것이다.[2] 코이네 그리스어: 폴리스, 중세 그리스어: 이 폴리.[3] 남성 동성애자를 뜻하는 영단어 Gay와는 사무 상관 없다.[4] 제주시와 서귀포시는 제주도지사가 임명한 시장이 통치하는 행정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