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1. 개요[편집]
2. 명칭[편집]
2.1. 한자어 '도시'의 어원[편집]
2.2. 'City'의 번역어로서의 도시[편집]
2.3. 행정구역 단위로서의 도시[편집]
2.4. 대명사로서의 도시[편집]
국가나 문화권에 따라 다른 설명 없이 그냥 '도시'라고 하면 특정한 도시 하나를 가리키는 경우를 종종 찾아볼 수 있다.
- 고대 로마 ~ 교황청(바티칸): 로마
고대 로마에서 다른 설명 없이 그냥 도시(Urbs)라고 하면 로마시를 의미했는데, 로마시를 다스리는 시장의 직함은 프라이펙투스 우르비, 즉 그냥 '도시 행정관'이었고, 로마 건국을 원년으로 하는 기년법 AUC의 공식 명칭은 Ab urbe condita(도시가 건설된 해)였다.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고 중세 이탈리아가 여러 도시국가들로 쪼개지면서, 더이상 이탈리아에서는 도시라는 단어가 로마만을 가리키는 단어로 쓰이지 않게 되었지만, 교황청에서는 여전히 이러한 어법이 남아있는 대표적인 예로 교황이 행하는 라틴어 강복 'Urbi et Orbi(도시와 세계에)'[1]가 있다. - 스페인 바스크 주/나바라 주: 팜플로나
바스크와 나바라 일대를 지배한 나바라 왕국의 수도 팜플로나는 지금도 바스크인에게 그냥 도시라는 의미를 가진 '이루냐'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3. 유형[편집]
3.1. 정치적/행정적 지위에 따른 분류[편집]
3.2. 규모에 따른 도시 분류[편집]
- 거대도시(메갈로폴리스)
- 대도시(메트로폴리스)
- 중소도시
3.2.1. 상대적 규모에 따른 분류[편집]
- 제2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