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마셜 제도
Aolepān Aorōkin M̧ajeļ | Marshall Islands
파일:1000000194.png
마셜 제도의 지도
분류
형태
환초 군도
위치
태평양 마셜 제도
북위 4°30′ N ~ 14°50′ N 동경 160°50′ E ~ 172°10′ E
최고점
10m[1]
면적
181km²[2]
국가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행정 구역
마셜 제도 공화국
주도
마지로
인구
약 42,000명
시간대
마셜 제도 표준시 (MHT, UTC+12)
1. 개요2. 국호3. 상징
3.1. 국기3.2. 국가
4. 역사5. 인문 환경
5.1. 민족5.2. 언어5.3. 종교5.4. 스포츠
5.4.1. 축구
6. 경제
6.1. 화폐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마셜 제도는 중서 태평양에 위치한 산호섬 군도로, 약 백여 개의 섬과 환초로 구성되어 있다. 제도는 크게 라타크 열과 라리크 열이라는 두 개의 평행한 열도로 나뉘며, 각 열도는 크고 작은 환초들이 사슬처럼 이어진 구조를 이룬다.

지질학적으로 마셜 제도는 태평양판에 위치한 열점 활동으로 인해 형성된 화산섬의 침강과 그 위에 자란 산호초로 구성되어 있다. 원래의 화산섬은 대부분 바다 아래로 가라앉았으며, 현재는 얕은 산호 환초만이 수면 위로 드러나 있다. 이러한 지형은 대부분의 섬이 해수면과 매우 가까운 낮은 고도를 가지게 만들었고, 해수면 상승에 매우 취약한 특성을 지닌다.

기후는 연중 고온다습한 열대 해양성으로, 일정한 무역풍과 함께 뚜렷한 건기와 우기가 존재한다. 강수량은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연간 강우량이 풍부한 편이다.

문화적으로 마셜 제도는 미크로네시아계 주민들의 전통을 이어오고 있으며, 항해술과 선박 제작 기술, 구전 신화 등을 통해 고유한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다. 언어는 마셜어가 널리 쓰이며, 영어도 공용어로 사용된다.

정치적으로는 독립된 공화국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미국과 자유연합협정을 맺어 방위와 외교 등의 분야에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한다. 행정 중심지는 마주로 섬에 위치한 마주로 환초로, 주요 인구와 정부 기관이 집중되어 있다.

마셜 제도는 풍부한 산호초 생태계를 바탕으로 다양한 해양 생물의 서식지 역할을 하며, 일부 환초는 멸종위기종 보호 구역으로도 지정되어 있다. 그러나 낮은 지형과 해수면 상승 문제로 인해 장기적인 생존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2. 국호[편집]

정식 국호는 마셜 제도 공화국인데, 마셜이라는 이름은 1788년에 섬을 방문한 영국인 선장 존 마셜에서 유래했다.

3. 상징[편집]

3.1. 국기[편집]

3.2. 국가[편집]

국가의 제목은 마셜 제도여 영원하라.

초대 대통령인 아마타 카부아[3]가 직접 작사를 맡았는데, 작곡은 자국민이 아닌 한국인 음악가 길옥윤이 맡았다.

4. 역사[편집]

예로부터 미크로네시아계 원주민들이 살던 섬이었는데 16세기 대항해시대부터 스페인포르투갈 항해사들이 드나들기 시작했고, 1788년에 섬을 방문한 영국인 선장 존 마셜이 자신의 이름을 붙여 세계 각국에 홍보하면서 그대로 해당 인물의 이름이 지명이 되었다.

19세기부터는 독일 출신 상인들이 마셜 제도에 진출했는데, 그들은 섬의 이권을 독점하기 위해 자국 정부에 식민지화를 요청했고, 이에 따라 마셜 제도는 독일 제국의 식민지인 독일령 뉴기니에 편입되었다.

5. 인문 환경[편집]

5.1. 민족[편집]

5.2. 언어[편집]

5.3. 종교[편집]

5.4. 스포츠[편집]

5.4.1. 축구[편집]

2020년에 이르러서야 축구협회가 창립되었는데, 이는 전세계를 통틀어 가장 늦게 만들어진 주권국 소속 축구협회다.

6. 경제[편집]

6.1. 화폐[편집]

7. 둘러보기[편집]

[1] 리키엡 환초 마지로 섬 일대[2] 육지 면적 기준[3] 일본계 마셜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