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이름의 경북선의 폐역에 대한 내용은 보문역(경북선) 문서 참고하십시오.
보문역 | ||
다른 문자 표기 | ||
Bomun | ||
普門 | ||
普门 | ||
普門 | ||
주소 | ||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로 지하116 (보문동1가 127-1) | ||
운영 기관 | ||
개업일 | ||
2000년 12월 15일 | ||
2017년 9월 2일 | ||
역사 구조 | ||
승강장 구조 | ||
1. 개요[편집]
2. 역 정보[편집]
역 안내도 |
6호선 & 우이신설선 대합실 |
서울 지하철 6호선 구간 중 섬식 승강장을 가지고 있는 최북단역이다.
우이신설선은 섬식이 없는 관계로 약수~동묘앞, 창신을 제외한 해당 역을 포함한 환승역 다섯 곳은 모두 상대식과 섬식을 혼합한 이상적인 형태의 환승역이 되어 있다.
성북구에서 "성북구청"을 병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고, 이를 우의신설선 역명투표와 같이 주민의사를 묻는 투표를 진행하였다. 투표 결과 성북구청 병기를 찬성하는 쪽이 89.47%, 전체 38표 중 34표를 얻었다.[1]
우이신설선은 섬식이 없는 관계로 약수~동묘앞, 창신을 제외한 해당 역을 포함한 환승역 다섯 곳은 모두 상대식과 섬식을 혼합한 이상적인 형태의 환승역이 되어 있다.
성북구에서 "성북구청"을 병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고, 이를 우의신설선 역명투표와 같이 주민의사를 묻는 투표를 진행하였다. 투표 결과 성북구청 병기를 찬성하는 쪽이 89.47%, 전체 38표 중 34표를 얻었다.[1]
보문역 동선체계도 |
3. 역 주변 정보[편집]
청계천의 지류인 성북천 인근에 있다. 경동고등학교와도 가까우며, 성신여대입구역과 보문역 사이에는 성북구청이 있다. 성북구청은 버스로 한 정거장 거리고, 딱 보문역에서 타서 성북구청 앞에서 내리는 버스[2][3][4]가 있으니 취향껏 선택해야 한다. 사실 버스 기다리는 것보다 걷는게 훨씬 더 빠른 거리다.
이 역에서 안암역으로 가는 도로는 원래 왕복 2차로였으며 창신역으로 가는 도로는 산길을 넘어가는 왕복 2차로[5]였는데 6호선이 개통하면서 안암역 방향으로는 고려대로까지 5차로로 확장, 창신역 방향으로는 동망봉터널이 신설되고 지봉로가 2차로에서 4차로로 확장되었다.
이 역에서 안암역으로 가는 도로는 원래 왕복 2차로였으며 창신역으로 가는 도로는 산길을 넘어가는 왕복 2차로[5]였는데 6호선이 개통하면서 안암역 방향으로는 고려대로까지 5차로로 확장, 창신역 방향으로는 동망봉터널이 신설되고 지봉로가 2차로에서 4차로로 확장되었다.
보문 리슈빌 하우트(보문2구역 재개발) 조감도(시공사는 계룡건설) |
보문역 3번, 4번 출구 쪽에는 보문2구역 재개발이 추진중이다. 2016년 2월 관리처분인가를 받고 2017년 철거 완료, 분양이 진행되었다. 보문 리슈빌 하우트라는 이름으로 2022년 3월 입주 예정이다. 세대 수는 465세대이며 상가가 아파트와 분리된 순수 아파트이다.
보문5구역 재개발 조감도(시공사는 현대산업개발) |
보문역 5번, 6번 출구 쪽에는 보문5구역 재개발이 추진중이다. 현대산업개발이 시공하며 2020년 2월 관리처분인가를 받았다. 2020년 6월 이주를 시작하여 2021년 3월까지 이주를 마무리, 2021년 9월까지 철거를 완료하고 2021년 연말 분양 예정이다. 2024년 12월 입주한다. 199세대의 주상복합 아파트가 들어선다.
3.1. 출구 정보[편집]
보문역 출구 정보 | |
1 | 보문동2가 삼선치안센터 삼선초등학교 보문사(템플스테이) 보문아이파크아파트 |
2 | 보문동2가 삼선동 경동고등학교 안암지구대 |
3 | 성북구청, 성북경찰서 돈암동우체국 보문동1가 |
4 | 안암동 안암초등학교 고려대 안암병원 용문중·고등학교 성신여자대학교 보문동1가 |
5 | 안암동 안암동주민센터 고려대학교(자연계) 보문동1가 |
6 | 보문시장 성북세무서 보문동주민센터 보문동우체국 대광중·고등학교 대광초등학교 보문동1가 |
7 | 보문치안센터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부모지원센터(보문) 신설동로터리 방면 보문동5가 성북50플러스센터 |
8 | 보문동3가 동신초등학교 명신초등학교 성북종합사회복지관 보문파크뷰자이아파트 |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 총합 | 비고 | ||||||||||||||||||||||||||||||||||
| ||||||||||||||||||||||||||||||||||||
2010년 | 15,025명 | |||||||||||||||||||||||||||||||||||
2011년 | 15,006명 | |||||||||||||||||||||||||||||||||||
2012년 | 15,131명 | |||||||||||||||||||||||||||||||||||
2013년 | 15,470명 | |||||||||||||||||||||||||||||||||||
2014년 | 15,941명 | |||||||||||||||||||||||||||||||||||
2015년 | 16,118명 | |||||||||||||||||||||||||||||||||||
2016년 | 16,327명 | |||||||||||||||||||||||||||||||||||
2017년 | 15,816명 | 2,658명 | 18,474명 | |||||||||||||||||||||||||||||||||
2018년 | 14,787명 | 3,053명 | 17,840명 | |||||||||||||||||||||||||||||||||
2019년 | 14,812명 | 3,253명 | 18,065명 | |||||||||||||||||||||||||||||||||
2020년 | 11,256명 | 2,467명 | 13,723명 | |||||||||||||||||||||||||||||||||
2021년 | 11,553명 | 2,518명 | 14,071명 | |||||||||||||||||||||||||||||||||
2022년 | 13,017명 | 2,812명 | 15,829명 | |||||||||||||||||||||||||||||||||
2023년 | 14,404명 | 3,063명 | 17,467명 | |||||||||||||||||||||||||||||||||
출처 | ||||||||||||||||||||||||||||||||||||
- 6호선이 개통된 지 한참 뒤에 건설된 우이신설선이 이 세 역을 전부 지나가면서 차례대로 환승역을 만들었다. 이 사이에서도 보문역은 1, 4호선에 어설프게 끼어서 환승객이 이웃한 두 역보다 월등히 적다. 보문역을 지나는 두 노선의 이용객을 합해도 15,829명(2022년 기준)으로 2만 명도 채 되지 않는다. 우이신설선 이용객 중 여기서 타고 내리는 사람 숫자도 하루 2,600여 명에 불과하다. 역세권이 딱히 넓지도 않고 주변에 이렇다 할 시설이 있는 것도 아니기에 승객 수는 지금의 수준에서 당분간은 큰 변동 없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2020년대 중반에 재개발 사업이 완료되어 주민들이 입주하고, 편의시설도 많이 들어오게 되면 이야기는 달라질 것이다.
5. 승강장[편집]
6호선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내 자판기가 없는 역 중 손에 꼽히는 역이다.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내 자판기가 없는 역 중 손에 꼽히는 역이다.
5.1. 서울 지하철 6호선[편집]
5.2.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편집]
6. 연계 교통[편집]
6.1. 2번 출구[편집]
6.2. 3번 출구[편집]
보문역(08326) | |
6.3. 4번 출구[편집]
6.4. 5번 출구[편집]
보문역(08295) | |
6.5. 6번 출구[편집]
[1] 성북구청은 직선 거리로는 성신여대입구역이 더 가깝지만 성신여대입구역에는 이미 돈암이라는 부역명이 있다.[2] 103, 152, 272 : 6번 출구 탑승[3] 273, 1111, 1162 : 4번 출구 탑승[4] 142, 273, 1014 : 2번 출구 탑승[5] 현재 종로03 마을버스가 가는 도로와 보문파크뷰자이아파트쪽의 도로[6] 6호선의 자료는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7] 우이신설선의 자료는 개통일인 9월 2일부터 12월 31일까지 12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8]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