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편집]
2. 노선 정보[편집]
3. 역사[편집]
- 구 1번(정릉 - 방배동) 도시형버스 노선이 전신이다.
- 2012년 8월 28일 8000번 버스가 주말에만 운행하기로 바뀌었을 때 2대가 증차되었으며, 이 중 1대는 주말에 8000번에 투입되었다. 이후 2013년 1월 5일에 8000번이 폐선되면서 완전히 복귀했다.
- 2018년 5월 8일에 1162번 증차를 위해 1대가 감차되었다.
4. 특징[편집]
- 1114번과 함께 정릉 풍림아이원아파트의 발과 다름없는 버스이다.
- 현재 돈암시장을 왕복 경유하는 유일한 시내버스 노선이다. 원래 1212번도 있었으나 2115번으로 바뀌면서 지나지 않게 되었기 때문.
- 142번과 함께 보문역 사거리에서 좌회전시 좌회전 차로에 차가 많으면 직진차로에서 신호를 받아 좌회전하는 스킬을 볼 수 있었다. 결국 2018년 6월경부터 직좌차로로 변경되어 딱히 스킬이라고 할 수는 없게 개선되었다.
- 성북생태체험관 방향 운행 시 풍림상가 다음 풍림아파트삼거리 정류장이 미인가 정류장이던 시절이 있었다. 당시에는 좌회전 직전 상가 3층 주차장 입구쪽에서 하차가 이루졌지만 현재는 좌회전 직후 도로변으로 정류장이 옮겨졌다.
- 전기충전소가 설치되지 않은 관계로 전기 충전시설이 확보되기 전까지는 저상버스 의무화 대상에서 예외로 인정받았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014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9,564명 | - |
2014년 | 9,480명 | ▽ 84 |
2015년 | 9,671명 | △ 191 |
2016년 | 9,262명 | ▽ 409 |
2017년 | 8,813명 | ▽ 449 |
2018년 | 8,370명 | ▽ 443 |
2019년 | 8,320명 | ▽ 50 |
2020년 | 6,465명 | ▽ 1,855 |
2021년 | 6,573명 | △ 108 |
2022년 | 7,238명 | △ 665 |
2023년 | 7,572명 | △ 334 |
※ 하차 인원 미포함 |
- 우이신설선 개통 당시 우이신설선과 노선의 90%가 겹치기 때문에 수요가 감소할 거라는 우려가 있었으나 지금도 어느 정도 잘 태운다.[6] 사실 이 노선의 보조역할을 해주는 1114번이 기본 16분은 기다려야 할 정도로 배차가 크게 벌어진 데다가, 여전히 솔샘터널 근처 풍림 아이원아파트 등등의 아파트들을 적절한 배차간격으로 이어주고 있으며, 풍림아이원 아파트와 북한산보국문역과의 거리는 가까운 거리도 아니거니와 급경사를 타고 오르내려야 왕래할 수 있기에 오히려 우이신설선을 타려는 주민들에게도 필수적인 노선으로 자리매김했다. 실제로 보국문역에서 이 노선을 타려고 승객들이 모여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다른 곳에서도 여전히 승객이 많은데, 1014번이 다니는 구간이 우이신설선 구간에서도 역간거리가 긴 편이고 상술한 풍림아파트나 아리랑고개 등 인구는 많으나 지형상 경전철 역을 이용하기 불편한 지역이 많아(성북구는 산과 언덕이 매우 많아 같은 동네임에도 고저차가 심하게 나는 곳이 꽤 있다.) 구간수요가 제법 되는 편이다. 또한 우이신설선의 주 이용 패턴이 성신여대입구역, 보문역, 신설동역과의 환승 연계인데, 1014번 또한 상술한 모든 역과 연계가 되기 때문에 굳이 사람 많은 경전철을 타러가기 귀찮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등 수요를 뺏긴다기 보다는 경전철과 비교해도 시간 손해가 크지 않으며, 경전철이 이미 강북구 지역에서 꽉 채워서 내려오기 때문에 대체노선으로써 보조한다는 느낌이 강하다.[7] 요약하면, 정릉~성신여대, 보문, 신설동 연계 노선이 아니라 정릉~각 아파트의 가까운 역으로 구간 수요, 환승 저항에 따른 수요로 먹고사는 노선으로 변하였다.
4.2. 노선[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014번 | ||||||||||||||||||||||||||||||||||||||||||||||||||||||||||||||||||||||||||||||||||||||||||||||||||||||||||||||||||||||||||
| ||||||||||||||||||||||||||||||||||||||||||||||||||||||||||||||||||||||||||||||||||||||||||||||||||||||||||||||||||||||||||
5. 연계 철도역[편집]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설동역
6. 둘러보기[편집]
[1] 토요일 / 공휴일 9대 운행[2] 예비차량은 1113, 1114번과 공동으로 사용한다.관련 공문[3] 실제로는 1번을 계승한 노선이라기보다는 정릉풍림아파트 일대, 아리랑고개 일대의 수요가 증가할 즈음 대중교통 보강 차원에서 만들어진 신설 노선으로 보는 게 타당하다. 차량도 5-1번에서 넘어온 중형차량들이 많았다.[4] 현재는 왕산로에 중앙차로가 설치되면서 정류소가 동묘역 2번 출구 바로 앞에 설치되었다.[5] 이는 우이신설선 개통 전후로 해당되며, 162번도 마찬가지이다.[6] 2018년 4월 기준으로 1014번의 1일 평균 이용 승객은 8478명이고 대당 707명이 이용했다. 출처[7] 반대 케이스로 현재 폐선된 1166이 있다. 이 노선도 1014번처럼 대부분의 구간이 우이신설선과 겹치는데, 1166번이 다니는 구간은 역간거리가 짧아 경전철 역을 이용하기 어렵지 않으며 타 전철 노선과의 연계도 되지 않았기 때문에 안 그래도 없던 수요가 급락하였고, 결국 단독 구간 대체 노선만 남고 폐선되었다.[8] 신설동로터리 하차[9] 동묘역.롯데캐슬천지인 하차[10] 정릉입구.정릉역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