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1. 개요[편집]
2. 노선 정보[편집]
| |||||
기점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하동(광교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잠실역) | ||
종점행 | 첫차 | 05:10 | 기점행 | 첫차 | 06:25 |
막차 | 22:40 | 막차 | 00:00 | ||
평일배차 | 20~30분 | 주말배차 | 30~40분 | ||
운수사명 | 인가대수 | 10대[1] | |||
노선 |
3. 역사[편집]
- 2004년 7월 대원고속에서 경기대후문-수지구-수서역-삼성역을 잇는 노선으로 개통하였다.
- 1115-1번(경기대학교 - 잠실역)과 중복되는 구간이 많아 2005년 통합되면서 잠실역 종착으로 바뀌고 수지 中자 굴곡이 생기게 되었다.
- 주 52시간 근무제에 의한 승무원 부족 및 근무시간 초과 문제를 이유로 2019년 9월 12일을 기해 광교차고지 막차시각은 23:20에서 22:40으로, 잠실역 막차시각은 00:30에서 00:00로 앞당겨졌다. 관련 게시물
- 2021년 6월 21일부터 평일 2대, 주말 1대가 증차됨에 따라 배차간격이 평일 20~30분, 주말 30~40분으로 단축되었다.
- 2023년 1월 1일부로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로 이관되었다. 국토교통부고시 제2022-860호
4. 특징[편집]
- 수지구 직행좌석버스들이 그렇듯이 이 노선도 상당히 굴곡져있었는데 이 노선은 그중에서도 최상급이었다. 강남역행 노선은 어느 정도 수요가 많은 편이라 두 군데 모두 노선이 있지만 잠실역행 노선은 강남역에 비해 수요가 적어[4] 노선을 두개를 운영하기 애매했다. 하지만 어느 한쪽을 버릴 수는 없는 일. 그래서 이 노선은 수요를 모두 충족하기 위해 다른 노선에서는 볼 수 없는 中자 드리프트[5]를 하게 되었다. 경기대를 출발해 43번 국도[6]를 타고 쭉 가다 지역난방공사로 가기 직전 좌회전을 해 성동마을을 경유한 뒤 상현교차로로 가 상현마을을 쭉 훑고 현대아이파크10단지를 경유한 다음 다시 43번 국도를 타고 지역난방공사로 가는 방식. 이러다보니 수지구에서 시간을 다 잡아먹고, 게다가 고속도로/고속화도로 경유가 아닌 일반도로 경유라서 소요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렸다.
- 잠실종합운동장 정류장에서 기사들이 화장실을 이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 자동차전용도로를 경유하지 않지만 업체에서 임의적으로 입석 승차를 제한하고 있으니 주의.[8]
- 2011년부터 기점부 스티킹을 광교(호수공원)으로 붙이고 다니다 2020년에 수지, 광교로 바뀌었다.
- 급행형 노선으로 8202번(수지지역난방공사 - 잠실역)이 있었지만, 차고지를 광교로 옮기면서 흡수 통합됐다.
4.1. 시간표[편집]
광교차고지 출발 시간만 표기한다. 회차지인 잠실역까지는 미정체시 약 80분정도가 소요된다.
4.1.1. 평일[편집]
6900번 운행시간표 2022년 5월 | ||||||||||||||||||||||||||||||||||||||||||||||||||||||||||||||||||||||||||||||||||||||||||
|
4.1.2. 토요일, 공휴일[편집]
6900번 운행시간표 2022년 5월 | ||||||||||||||||||||||||||||||||||||||||||||||||||||||||||||||||
|
4.2. 일평균 승차량[편집]
- 원 출처는 경기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하였다.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 현금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평일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5,224 | |
2015년 | 4,358 | ▽ 866 |
2016년 | 2,931 | ▽ 1,427 |
2017년 | 3,134 | △ 203 |
2018년 | 2,810 | ▽ 324 |
주말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2,590 | |
2015년 | 2,557 | ▽ 33 |
2016년 | 1,994 | ▽ 563 |
2017년 | 1,234 | ▽ 760 |
2018년 | 926 | ▽ 308 |
5. 연계 철도역[편집]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서역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수서역
일반 철도역: 수서역(SRT)
6. 둘러보기[편집]
|
[1] 주말에는 7대로 운행한다.[2] 대원고속 소속 기사는 65번으로 넘어가고 대원버스 출신 기사가 투입되었다.[3] 이 노선 차량인 유니버스 7대와 1005-1번 출신 FX116 차량 2대가 넘어갔다. 운행대수는 7대지만 실제 인가대수는 9대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4] 용인의 다른 지역에 비해 수지구는 잠실역 방면 직행좌석버스 노선이 부실한 편인데, 분당선을 이용하여 잠실까지 40분대에 갈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그런 듯하다. 특히 2016년 이후에는 신분당선이 개통되어 수지구에서도 (환승을 2번 해줘야 하지만 대신 매우매우 좋은 선형으로) 잠실을 40분대에 갈 수 있게 됐다. 물론 수요면에서도 큰 차이는 있다. 강남 통근자의 숫자와 잠실 통근자의 숫자는 차이가 많이 난다. 여기에 강남역행의 경우 경부고속도로가 바로 옆이라 버스 노선 또한 여전히 경쟁력이 있다 할 수 있는데, 잠실의 경우 고속도로가 아닌 대왕판교로, 신수로 등을 이용할 뿐 아니라 정체가 심한 수서동 구간과 함께 수지구 투어까지 하는 식이라 이러면 지하철에 비해 상당히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5] 이 상황은 훗날 위례 9200번에서 재현된다.[6] 현 도로명으로는 창룡대로(수원) 및 포은대로(용인,광주), 당시에는 창룡문로(수원시), 수지대로(용인)로 불려짐.[7] 8201번, 6800번, 1550-3번은 폐선까지 이어졌고 1550번과 1570번은 승객 수가 절반가량 감소했다.[8] 이는 2022년 이태원 압사 사고 영향도 있다.[9] 수지지구에 정차하는 직행좌석버스는 1550번, 1570번, 5500-2번이 있는데 이들은 풍덕천동이 아닌 상현동, 신봉동, 성복동에 정차한다.[A] 10.1 10.2 도보 700m[11] 도보 50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