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 큰 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大, 0획 | 총 획수 | 3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ダイ, タイ, タ, ダ | ||||||
일본어 훈독 | おお, おお-きい, おお-いに | ||||||
- | |||||||
표준 중국어 | dà, dài | ||||||
|
1. 개요[편집]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훈 | 크다 | |
음 | 대, 태 | |
dà | ||
thai | ||
duōi | ||
duâi | ||
음독 | ダイ, タイ, タ, ダ | |
훈독 | おお, おお-きい, おお-いに | |
đại |
3. 용례[편집]
'크다'와 관련된 단어에는 거의 다 붙는 한자이기에 굉장히 용례가 많다.
3.1. 단어[편집]
- 강대국(强大國)
- 거대(巨大)
- 관대(寬大)
- 극대(極大)
- 극대화(極大化)
- 담대(膽大)
- 대가족(大家族)
- 대강(大綱)
- 대개(大槪)
- 대거(大擧)
- 대공(大公)
- 대구(大口)
- 대구 전쟁(大口 戰爭)
- 대금(大金/大笒)
- 대궐(大闕)
- 대교(大橋)
- 대군(大君)
- 대기(大氣)
- 대기업(大企業)
- 대노(大怒)
- 대뇌(大腦)
- 대다수(大多數)
- 대담(大膽)
- 대동법(大同法)
- 대두(大頭/大斗/大豆)
- 대란(大亂)
- 대략(大略)
- 대량(大量)
- 대령(大領)
- 대륙(大陸)
- 대문(大門)
- 대문자(大文字)
- 대법관(大法官)
- 대법원(大法院)
- 대부(大夫)
- 대부분(大部分)
- 대불(大佛)
- 대사(大事, 大使, 大士, 大寺)
- 대사관(大使館)
- 대상(大賞)
- 대서(大暑)
- 대설(大雪)
- 대성전(大成殿 / 大聖殿)
- 대성당(大聖堂)
- 대세(大勢)
- 대소(大小)
- 대승불교(大乘佛敎)
- 대양(大洋)
- 대업(大業)
- 대와(大渦)
- 대왕(大王)
- 대운(大運)
- 대웅전(大雄殿)
- 대위(大尉)
- 대의(大義)
- 대인(大人)
- 골목대장(골목大將)
- 대장부(大丈夫)
- 대전(大戰 / 大殿/大篆)
- 대주(大主)
- 대주주(大株主)
- 대중(大衆)
- 대지(大地)
- 대체(大體)
- 도대체(都大體)
- 대통령(大統領)
- 대포쟁이(大砲쟁이)
- 대하(大河)
- 대한(24절기)(大寒)
- 대한(大韓)
- 대형(大形 / 大兄)
- 대회(大會)
- 대해(大海)
- 막대(莫大)
- 방대(厖大)
- 성대(盛大)
- 위대(偉大)
- 장대(長大)
- 최대(最大)
- 최대한(最大限)
- 확대(擴大 / 廓大)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인명에도 자주 쓰이는 한자이며, 보통은 남자 이름이 쓰인다.
3.3.1. 한국[편집]
- 김대건(金大建)
- 김대견(金大堅)
- 김대경(金大景)
- 김대성(金大城)
- 김대엽(金大燁)
- 김대우(金大祐)
- 김대유(金大洧)
- 김대익(金大益)
- 김대중(金大中)
- 김대진(金大鎭): 해당 문서의 3명 모두 똑같이 한자를 쓴다.
- 김대한(金大漢)
- 김대호(金大虎)
- 김대희(金大熙)
- 다니엘 대 킴: 한국식 이름이 김대현(金大賢)이다.
- 김영대(金永大)
- 대조영(大祚榮)
- 배대윤(裵大潤)
- 송대한(宋大韓)
- 신대걸(申大杰)
- 심대평(沈大平)
- 이대형(李大炯)
- 이대호(李大浩)
- 이대휘(李大輝)
- 전대웅(全大熊)
- 정대세(鄭大世)
- 정대현(鄭大炫)
- 최대집(崔大集)
- 홍성대(洪性大)
- 황대웅(黃大雄)
- 황대인(黃大仁)
- PD대정령: 본명이 김대현(大現)이다.
3.3.2. 일본[편집]
- 오타니 쇼헤이(大谷翔平)
3.4. 지명[편집]
3.4.1. 국내[편집]
3.4.2. 국외[편집]
3.5. 국호[편집]
3.6. 지하철역[편집]
- 대곡역(大谷驛)
3.7. 기업[편집]
3.8. 연호[편집]
3.9. 기타[편집]
- 대갑서사항청사건(大甲西社抗清事件)
- 대두 왕국(大肚王國)
- 야마토(大和)
- 오에도선(大江戸線)
- 向井地美音ソロコンサート ~大声でいま伝えたいことがある~: 무카이치 미온의 솔로 콘서트명
- 시집가려면 시다다 같은 남자를 만나라(要嫁就嫁习大大这样的人): 중국의 프로파간다 곡
4. 부수[편집]
5. 유의자[편집]
6. 상대자[편집]
7.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尢(절름발이 왕)
8. 여담[편집]
- 팔을 양쪽으로 벌리고 다리를 약간 벌려 크게 누우면 몸이 大의 모양처럼 된다는 점에서 이를 두고 '대자로 눕는다'고 표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