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대방삼거리역 | ||
다른 문자 표기 | ||
Sindaebangsamgeori | ||
新大方三거리 | ||
新大方丁字路口 | ||
新大方サムゴリ | ||
주소 |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지하76 (대방동 406-10) | ||
운영 기관 | ||
개업일 | ||
2000년 8월 1일 | ||
역사 구조 | ||
지하 3층 | ||
승강장 구조 | ||
1. 개요[편집]
서울 지하철 7호선 741번.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지하76 (대방동 406-10) 소재.
2. 역 정보[편집]
신대방삼거리역 대합실 |
역 안내도 |
수도권 전철 1호선 대방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대방역과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역 위에 있는 삼거리를 따서 신대방삼거리역이라 지었다.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갈 수 없는 구조이며, 상대식 승강장이지만 도로폭이 좁아서 상당히 좁은 승강장을 가지고 있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장승배기역까지 도로변에 상가들이 줄지어있으며, 1, 2번 출구 쪽 국사봉1길 방면 동쪽으로 5분정도 걸어가면 성대시장[1]과 상도3동주민센터가 있다. 상가를 찾는 사람들이 많은데다가 신대방삼거리역을 중심으로 보라매역 ~ 신대방삼거리역 ~ 장승배기역 구간은 도로폭이 4차선으로 다소 좁음에도 불구하고 시내버스가 자주 지나가는 주요 도로에 있는터라 교통 체증이 자주 일어난다. 게다가 최근 들어서는 각종 도로공사도 자주 벌어지는터라 시간대에 따라서는 극심한 혼잡을 빚는다.
성대시장에서 조금만 더 동쪽으로 걸어가면 다른 건물 다 작은데 혼자 우뚝솟은 큰 호텔[2]이 있다. 바로 앞엔 공항버스 정류소가 있다. 원래 그 자리는 1970년대부터 40여 년 동안 현대오일뱅크 주유소가 있던 자리다. 남쪽으로 보라매공원과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당곡사거리, 신림역과 연계된다. 그래서 보라매로-신림로 연선이 목적지인 7호선 유저들의 통로이며 또한 그 곳 거주민들의 중장거리 대중교통 수요를 남쪽의 신림역과 양분하고 있다. 이 역에 서울대학교 방면 버스 환승을 하는 사람들도 많은 편이다.
2017년 4월에 역 인근에 토이마루 매장이 혜화역에서 이전해왔다. 애니매이션, 특촬물 관련 피규어, 프라모델, 초합금 등을 취급하는 하비샵이다.
역 위 신대방삼거리는 삼거리가 아니다. 서쪽의 보라매역 방향, 동쪽의 상도역 방향, 그리고 남쪽의 보라매로 외에도 북쪽의 대방동길이라는 길이 있다. 다만, 대방동길이 편도 1차선 일방통행 골목길이라 명실상부한 정식 사거리라고 하기에도 애매하기는 하다.[3]
한편 역무실은 물론 모든 출입구까지 신대방동이 아닌 대방동[4]에 속해 있으므로, '신대방'으로 보든 '삼거리'로 보든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교통에 들어간다. 이 '신대방' 이라는 명칭때문에 신대방동으로 착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양 옆으로 보라매역은 남북으로 신림선, 장승배기역은 남북으로 서부선, 거기다 신풍역도 남북으로 신안산선이 각각 관통하여 향후에는 환승역이 될 예정인데 그 사이에 애매하게 끼인 신대방삼거리역은 그런 거 없다. 지리적 환경을 볼 때 신대방삼거리역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노선이 새로 생길 확률은 없다.[5] 그 때쯤 되면 신대방삼거리 주변의 도로정체도 줄겠지만, 그만큼 동서로 긴 동작구 서부의 교통 및 상업의[6] 중심지로서의[7] 기능도 덩달아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신림선 개통 이후 153번과 6513번이 163번, 6713번으로 몽땅 바뀌면서 이 일대에서 철수하는 변화가 있었다.
성대시장에서 조금만 더 동쪽으로 걸어가면 다른 건물 다 작은데 혼자 우뚝솟은 큰 호텔[2]이 있다. 바로 앞엔 공항버스 정류소가 있다. 원래 그 자리는 1970년대부터 40여 년 동안 현대오일뱅크 주유소가 있던 자리다. 남쪽으로 보라매공원과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당곡사거리, 신림역과 연계된다. 그래서 보라매로-신림로 연선이 목적지인 7호선 유저들의 통로이며 또한 그 곳 거주민들의 중장거리 대중교통 수요를 남쪽의 신림역과 양분하고 있다. 이 역에 서울대학교 방면 버스 환승을 하는 사람들도 많은 편이다.
2017년 4월에 역 인근에 토이마루 매장이 혜화역에서 이전해왔다. 애니매이션, 특촬물 관련 피규어, 프라모델, 초합금 등을 취급하는 하비샵이다.
역 위 신대방삼거리는 삼거리가 아니다. 서쪽의 보라매역 방향, 동쪽의 상도역 방향, 그리고 남쪽의 보라매로 외에도 북쪽의 대방동길이라는 길이 있다. 다만, 대방동길이 편도 1차선 일방통행 골목길이라 명실상부한 정식 사거리라고 하기에도 애매하기는 하다.[3]
한편 역무실은 물론 모든 출입구까지 신대방동이 아닌 대방동[4]에 속해 있으므로, '신대방'으로 보든 '삼거리'로 보든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교통에 들어간다. 이 '신대방' 이라는 명칭때문에 신대방동으로 착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양 옆으로 보라매역은 남북으로 신림선, 장승배기역은 남북으로 서부선, 거기다 신풍역도 남북으로 신안산선이 각각 관통하여 향후에는 환승역이 될 예정인데 그 사이에 애매하게 끼인 신대방삼거리역은 그런 거 없다. 지리적 환경을 볼 때 신대방삼거리역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노선이 새로 생길 확률은 없다.[5] 그 때쯤 되면 신대방삼거리 주변의 도로정체도 줄겠지만, 그만큼 동서로 긴 동작구 서부의 교통 및 상업의[6] 중심지로서의[7] 기능도 덩달아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신림선 개통 이후 153번과 6513번이 163번, 6713번으로 몽땅 바뀌면서 이 일대에서 철수하는 변화가 있었다.
3.1. 출구 정보[편집]
신대방삼거리역 출구 정보 | |
1 | 상도3동주민센터 성대시장 청운아동복지센터 |
2 | 상도119안전센터 보라매이편한세상아파트 보라매삼성아파트 |
3 | 신대방2동주민센터 대방치안센터 동작우체국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
4 | 대림초등학교 서울공업고등학교 강남중학교 |
5 | 대방동 성남중·고등학교 |
6 | 상도3동·상도3치안센터 강현중학교 동작노인종합복지관 쌍용아파트 |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 비고 | |||||||||||||||||||||||||||||||
| ||||||||||||||||||||||||||||||||
2010년 | 28,821명 | |||||||||||||||||||||||||||||||
2011년 | 29,462명 | |||||||||||||||||||||||||||||||
2012년 | 29,805명 | |||||||||||||||||||||||||||||||
2013년 | 30,740명 | |||||||||||||||||||||||||||||||
2014년 | 31,447명 | |||||||||||||||||||||||||||||||
2015년 | 31,240명 | |||||||||||||||||||||||||||||||
2016년 | 31,426명 | |||||||||||||||||||||||||||||||
2017년 | 31,717명 | |||||||||||||||||||||||||||||||
2018년 | 32,576명 | |||||||||||||||||||||||||||||||
2019년 | 33,476명 | |||||||||||||||||||||||||||||||
2020년 | 26,361명 | |||||||||||||||||||||||||||||||
2021년 | 26,541명 | |||||||||||||||||||||||||||||||
2022년 | 27,433명 | |||||||||||||||||||||||||||||||
2023년 | 27,743명 | |||||||||||||||||||||||||||||||
출처 | ||||||||||||||||||||||||||||||||
2022년 하루 평균 27,433명이 타고 내리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남구로역과 이수역 사이에서 가장 높은 수치이다. 더불어 7호선 내에서 이용객 수 15위로 중상위권에 위치해있는 역이다. 역세권이 딱히 두드러지는 것도 아니고 역 근처의 주요 시설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꾸준히 7호선 평균 이상의 승객이 타고 내린다. 그 이유로는 대방동 남부 - 신대방동 동부 - 상도동 서부를 역세권으로 끼고 있어 커버 지역이 제법 넓고, 각각 영등포, 여의도, 노량진, 한강대교까지 직결되는 도로를 끼고 있는 옆의 네 역과는 달리 북쪽이 코렁 시설로 막혀 있어 서울 도심으로 가는 버스교통이 상대적으로 불편하기 때문이다. 또한 성대시장[9]이라는 재래시장을 끼고 있어 1·2번 출구 쪽의 지역 상권[10]이 있다는 점도 수요가 비교적 많은 요인 중 하나이다.[11] 그런데 위 문단에서 전술했듯이 양 옆의 보라매역, 장승배기역에 둘다 각각 남북 방향의 경전철이 뚫려 환승역이 될 경우, 이 역이 맡고 있는 남쪽 방향의 수요가 경전철로 상당히 분산되기 때문에 이용객 수치는 꽤나 줄 것으로 보인다.
5. 승강장[편집]
7호선 승강장(도착표시기 LCD 교체 전) |
7호선 승강장(도착표시기 LCD 교체 후) |
7호선 역명판 |
6. 여담[편집]
신대방삼거리역 승강장에 이상한 냄새가 난다. 또한 이 냄새가 너무 심해서 장승배기역에서도 이 냄새를 맡을 수가 있을 정도다. 사실 이 냄새는 서울시내 지하철역 곳곳에서 맡을 수 있는 냄새이다.[12]
보라매로에서 성대시장쪽으로 우회전할 땐 여러가지 이유로 늘 막힌다. 여의대방로와 노량진로를 제외하면 서·남쪽지방에서 노량진 쪽으로 가는 길이 이 상도로밖에 없기 때문인 것도 있지만, 가장 어이없는 이유로 하나는 주유소라 할 수 있다. 주유소는 삼거리 동남쪽 코너에 있는데, 보라매로 끝 쪽에서 볼 때 먼저 출구가 나오고, 그 바로 다음 횡단보도가 있고, 우회전을 한 뒤 또 횡단보도가 있고, 그 다음 입구가 있는 기묘한 형태이다. 이렇기 때문에 좁은 인도를 지나는 사람들과, 인도를 가로막고 주유소를 탈출하려는 차와, 그 차 때문에 신호등 앞에서 막힌 차들 때문에 트러블이 자주 일어난다.[13]
2021년 6월 즈음 5번 출구 천장이 깨져 잠시 이용할 수 없다가 다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는데, 아직 깨진 곳에 비닐만 씌워놓은 상태였다. 6월 말에 새 유리로 교체되었다.
신대방삼거리역~보라매역 구간 사이에 그 유명한 지하철 취객 사건인 7호선 단소 살인마가 일어났던 구간이다.
보라매로에서 성대시장쪽으로 우회전할 땐 여러가지 이유로 늘 막힌다. 여의대방로와 노량진로를 제외하면 서·남쪽지방에서 노량진 쪽으로 가는 길이 이 상도로밖에 없기 때문인 것도 있지만, 가장 어이없는 이유로 하나는 주유소라 할 수 있다. 주유소는 삼거리 동남쪽 코너에 있는데, 보라매로 끝 쪽에서 볼 때 먼저 출구가 나오고, 그 바로 다음 횡단보도가 있고, 우회전을 한 뒤 또 횡단보도가 있고, 그 다음 입구가 있는 기묘한 형태이다. 이렇기 때문에 좁은 인도를 지나는 사람들과, 인도를 가로막고 주유소를 탈출하려는 차와, 그 차 때문에 신호등 앞에서 막힌 차들 때문에 트러블이 자주 일어난다.[13]
2021년 6월 즈음 5번 출구 천장이 깨져 잠시 이용할 수 없다가 다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는데, 아직 깨진 곳에 비닐만 씌워놓은 상태였다. 6월 말에 새 유리로 교체되었다.
신대방삼거리역~보라매역 구간 사이에 그 유명한 지하철 취객 사건인 7호선 단소 살인마가 일어났던 구간이다.
[1] 고유지명이며, 성균관대학교와는 일절 상관 없다.[2] 핸드픽트호텔[3] 여담으로, 대방동길은 편도 1차선 일방통행의 골목길이지만 생각 이상으로 통행량이 많다. 신대방삼거리에서 보라매역을 지나 대방역을 향하는 길이 꽤 밀리는 편인데, 대방동길을 통하면 금방 빠져나갈 수 있어서 이 길을 아는 차량들이 많이 지나다닌다. 또한, 신대방삼거리에서 성남고/성남중, 대방대림아파트, 대방주공을 향하는 차량도 이 길을 지날수 밖에 없다.[4] 이라 해도 동의 중심부라 할 수 있는 동사무소 및 대방대림아파트와는 제법 멀고 동의 동남쪽 끝이지만, 어쨌든.[5] 다만 이러한 역들과는 버스 노선을 통해 환승이 가능하다.[6] 성대시장이 있으며, 그 외에도 대형마트의 바로 아랫급인 SSM이나, 비슷한 급의 개인 중형마트가 여럿 몰려 있다.[7] 행정적으로는 가까운 노량진-장승배기 라인에 동작구청, 서울동작경찰서, 관악동작교육지원청까지 있어 그 쪽이 중심지이다.[8] 개통일인 8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5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9] 사람이 많다. 체감상 웬만한 번화가 저리가라 할 정도로 붐빈다. 그런데 이 사람들, 모두 외지인이 아니라 인근 거주민이다. 즉 늘 사람이 많을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 평일도 붐비지만 주말엔 거리에 사람이 터져나간다.[10] 상도 3동과 4동의 수많은 거주민들이 이 역을 이용하고 있는 것도 한몫 한다.[11] 이 현상은 버스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나는데, 인근 정류장들과 비교해봤을 때 유독 성대시장 정류장에서 많은 사람이 타고내린다. 신대방삼거리 정류장이나 대림초등학교 정류장, 상도초등학교 정류장은 이 정도로 많지 않다.[12] 석남 방면 기준으로 이 역에 도착하기 전에 나오는 급커브길 때 열차와 선 사이에 생기는 스파크 때문에 나는 냄새라는 말도 있다. 비슷한 예로 9호선 선정릉역, 4호선 인덕원역, 8호선•수인분당선 복정역 등도 급커브를 돌고 난 뒤 승강장에 도착했을 때 냄새를 맡을 수 있다.[13] 게다가 해당 주유소는 가스 충전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