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과거 삼화상운에서 운행했던 월계동 - 목동 구간의 간선버스에 대한 내용은 서울 버스 173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연희교차로 - 신촌로터리 간 주의사항4.2. 대학 투어4.3.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개요[편집]

동아운수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5.6km다.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6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63 노선도(2022).png
기점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우이동도선사입구.북한산우이역)
종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동(대방역)
종점
첫차
04:00
기점
첫차
05:30
막차
22:30
막차
00:10
평일배차
4~9분
주말배차
6~11분
운수사명
인가대수
42대(예비 1대)[1]
노선
우이동도선사입구.북한산우이역 - 국립4.19민주묘지입구 - 수유2동주민센터.우이시장 - 광산사거리 - 수유역.강북구청 - 미아역.신일중고 - 미아사거리역 - (→ 길음뉴타운 →/← 돈암동삼성아파트입구 ←) - 정릉2동주민센터 - 국민대학교 - 북악터널 - 롯데아파트 - 평창동주민센터 - 세검정.상명대 - 서울여자간호대학 - 유진상가 - 서대문구청.보건소.구의회 - 연희교차로 - (→ 서대문우체국 → 연세대학교 → 신촌기차역 →/← 연희동대우아파트 ← 현대백화점 ←) - 신촌오거리 - 광흥창역.서강동주민센터 - 서강대교 - 국회의사당 - 여의도역 - 샛강역.여의도자이 - 대방역

3. 역사[편집]

※ 통합 전 두 노선(170번, 5711번)에 관한 연혁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 문서에서 해당 항목을 참조.
  • 2007년 4월 23일, 170번과 5711번을 통합하면서 '당곡사거리 - 삼막사사거리' 구간을 단축했고, 번호도 153번으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통합하면서 운행 시간은 왕복 4시간 20분으로 늘어났다.
  • 2008년 6월 1일, 우이동 방향은 서강대교를 건넌 후 이대와 서강대를 경유하도록 변경됐다. 관련 기사
  • 2008년 11월 17일, 8153번이 신설되면서 3대가 차출됐다.
  • 2010년 1월 8일, '국민은행 - 한국거래소 - 한양.수정아파트 - 앙카라공원 - 공군회관' 구간을 '국회의사당 - 여의도역 - 국토정보공사 - 공군회관'으로 직선화했다. 관련 공지사항 또한 101번으로 2대가 차출됐다.
  • 2014년 1월 6일, 연세로 대중교통 전용지구가 완공되어 서강대 ↔ 연세로 간 직진신호가 사라지면서 당일 정오부터 우이동 방향 노선이 '명물거리 - 연대 앞 - 서대문우체국' 대신 '신촌 현대백화점 - 동교동삼거리 - 연남동 대우아파트'으로 변경됐다. 정식으로 변경된 것은 이 날이지만, 실제로는 2013년 9월 28일부터 이렇게 운행했다.
  • 2016년 5월 8일, 저상버스 투입을 위해 우이동 방향 길음뉴타운 경유가 돈암삼성아파트 경유로 변경됐다. 본래는 4월 26일에 변경 예정이었기에 차량 내 노선도 등은 미리 바뀌었지만, 실제 변경은 이날로 연기됐다. 관련 보고서
  • 2017년 2월 4일, 신촌로터리 신호체계가 개편되면서 '광흥창역 → 이대입구 → 서강대학교 → 동교동삼거리' 구간이 단축되어 신촌로터리에서 좌회전해서 바로 가는 것으로 변경됐다. 관련 공지사항
  • 2018년 3월 26일,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개통 당시와 같은 260분으로 늘어났으며 이로 인해 운행횟수가 감회되면서 평일 배차간격이 최대 10분까지 늘어났다. 관련 공문 1 관련 공문 2
  • 2020년 1월 17일에 복편 도선사입구 정류장이 삭제됐다. 따라서 우이동 종점 방향은 성원아파트에서 내려야만 한다.
  • 2020년 2월 17일부터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13회/12회/17회 감회됐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본래 평일 4~10분, 토요일/공휴일 6~10분이던 배차간격도 평일 5~8분, 토요일/공휴일 7~12분으로 조정됐다.관련 공문
  • 2021년 2월 18일 열린 노선조정 심의 결과 '대방역 - 당곡사거리' 구간을 단축하고 대방역에서 회차하는 것으로 단축이 결정됐으나, 민원으로 인해 단축구간(특히 보라매병원 구간) 대체노선 확보 이후 2022년 5월 신림선이 개통된 뒤로도 한동안은 노선조정 소식 없이 운행되고 있었다.
  • 2022년 10월 17일을 기해 위의 단축안이 실행되어 '샛강역.여의도자이 - 서울지방병무청 - 신대방삼거리 - 롯데백화점관악점' 구간이 단축되고 대방역에서 회차하도록 변경됐다. 노선번호 역시 163번으로 변경됐으며, 기점 막차시각은 22:20에서 22:30으로 10분 늦춰졌다. 이번 단축으로 2대가 감차되어 운행댓수가 평일은 2대, 토요일/공휴일은 1대씩 감축되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260분에서 220분으로 줄어들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증편됨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는 평일의 경우 161회에서 176회로,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123회에서 136회로 증회됐으며, 이에 따라 최소/최대 배차간격 역시 평일은 5~9분에서 4~9분으로, 토요일/공휴일은 7~12분에서 6~11분으로 축소 조정됐다.[2]관련 공문
    [ 변경 이전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53 노선도.png
  • 2022년 12월 1일을 기해 2대가 감차되어[3] 전일에 걸쳐 1일 총 운행횟수가 8회 감회됐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최소/최대 배차간격에 대한 변동은 없다. 관련 공지사항
  • 2024년 5월 1일부로 151번 증차를 위해 1대가 감차되었다. 평일은 2회, 주말은 4회 감회되었으며 배차간격의 변화는 없다.

4. 특징[편집]

  • 170번/5711번 통합 이후에는 노선의 길어서 신촌 이후에는 균일한 배차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편이었고 2대 이상의 빗자루질이 구현되거나, 10분 이상으로 길게 벌어지거나 하는 등의 현상이 발생했고, 대방역 이남 구간이 단축 이후 약간은 개선된 듯 하지만 불규칙한 배차는 여전한 편이다.
  • 6713번과 함께 서강대교를 통해 신촌역 - 광흥창역 라인과 국회의사당역 일대를 잇는다. 5713번753번은 마찬가지로 서강대교, 서강로(신촌 - 광흥창)를 지나지만, 국회의사당이 아닌 여의도순복음교회를 지난다. 특히 수요는 다양한데, 우이동~수유역, 강북구~정릉 및 상명대학교, 정릉~상명대학교, 서대문구 그리고 상명대학교~신촌, 신촌~여의도, 국회의사당역, 여의도역 5호선 및 9호선 환승수요 등 많다.

4.1. 연희교차로 - 신촌로터리 간 주의사항[편집]

연희교차로 - 신촌로터리 사이의 운행 구간이 상행과 하행 때 각각 다르므로 요주의.

이는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이전이었던 2013년만 해도 서강로에서 신촌로 동교동삼거리 방면과 신촌역로에서 성산로 연희IC 방면 좌회전이 불가했던 것 등 복잡했던 신호 체계가 1차적인 원인이다. 노선효율화 및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등의 이유로 여러차례 변경되고 있으나, 두 방면 통합은 아직 이루지 못하고 있다.

대방역 방향은 서대문우체국과 연세대앞 중앙차로 정류장에 정차한 후 경의·중앙선 신촌역 방면으로 우회전하기 위해 중앙차로에서 끝차로로 빠져나오면서 순식간에 서너개 차선을 가로질러야 한다. 때문에 세브란스병원 가변차로나 중앙차로 둘 중 한 곳도 정차하지 못한다. 항상 갑자기 차선을 바꾸려다 보니 아찔한 상황이 가끔씩 벌어지곤 한다.[4] 또한 좌회전이 막혀 있는 신촌로터리 교통체계와 노선을 효율화하려는 서울시의 노력 덕분에 여러차례 노선이 변경되며, 이래저래 애환을 겪었다. 노선 개통 초기에는 서강대교를 건너자마자 우회전해 753번처럼 서강대부터 경유하며, 대흥역 앞 2연속 좌회전에서 10분 가량 시간 소요, 그 이후 1년여만에 서강대교에서 신촌으로 직행해 이대를 경유한 후 서강대로 가서 기존 5711번 이대통학 수요도 살리고 신촌에 빨리 가려는 사람들도 만족하는 나름대로 윈윈하는 개편을 했다.[5] 하지만 2014년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개통으로 서강대에서 연세로로 들어오는 신호가 없어져, 오랫동안 유지됐던 우이동 방향 연세대 경유가 없어졌고, 2017년에는 서강대 순환구간이 사라졌다.

4.2. 대학 투어[편집]

273번의 인지도에 밀리지만 은근히 인서울 대학들을 많이 경유하는 대학투어 노선이다. 경유하는 대학교는 덕성여자대학교, 고려대학교(정릉캠퍼스), 성신여자대학교 운정그린캠퍼스, 국민대학교, 상명대학교, 연세대학교이다.

게다가 273번이 실질적으로 대학 정문 앞을 지나지 않고 그 근방[6]에서 정차하는데, 이 노선은 앞서 거론한 모든 대학의 바로 정문 앞에서 하차한다.[7]

약간 억지식으로 경유하는 대학을 더 붙이자면, 서울사이버대학교이화여자대학교, 서강대학교도 해당 학교에 포함될 수도 있다. 서강대는 서강대역이나 신촌역에서, 이화여대는 정문을 지나치지 않지만, 경의선신촌역에서 조금만 걸어가면 바로 정문에 도달할 수 있다.

정문은 아니고, 4년제 대학도 아니지만 서울여자간호대학교 근방을 지나가서 많은 학생들이 홍대입구 근처에서 환승해서 타기도 한다.

4.3.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53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35,663명
-
2014년
35,616명
▽ 47
2015년
36,057명
△ 441
2016년
35,722명
▽ 335
2017년
33,751명
▽ 1,971
2018년
32,689명
▽ 1,062
2019년
33,049명
△ 360
2020년
24,699명
▽ 8,350
2021년
24,798명
△ 99
2022년
27,341명
△ 2,543
※ 하차 인원 미포함
  • 2017~2018년 우이신설선 개통으로 이용객이 3,000명 가량 줄었다.
  • 2022년 자료는 1월 1일부터 노선변경일 직전인 10월 16일까지 28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63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22년
24,889명
-
2023년
24,621명
▽ 268
2024년
25,218명
△ 597
※ 하차 인원 미포함
  • 2022년 자료는 노선변경일인 10월 17일부터 12월 31일까지 7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2022년 "대방역 - 보라매병원" 구간 단축으로 승객이 2,400명 감소했다.

5. 연계 철도역[편집]

[1] 토요일 / 공휴일 31대 운행[2] 같은 날을 기해 '여의도역 - 신대방삼거리 - 모자원고개' 구간을 동일하게 운행해오던 6513번까지도 6713번으로 변경되면서 상도로, 보라매로 구간은 운행하지 않게 됐다. 이에 따라 461번, 753번의 부담이 더욱 커질 전망인데, 신대방삼거리/모자원고개 등 신림선 역으로부터 거리가 먼 지역 입장에서는 여의도 방향 버스 중 2개 노선(두 노선을 합산한 평일 기준 일 운행횟수는 노선조정 직전 시점 기준 271회)이 한번에 감축되면서 2022년 10월 현재 평일 기준 일 120회 운행되는 461번 1개 노선만 남겨질 뿐인데다 공급량 감축 폭 완화를 위한 추가적인 조치마저 마련된 바도 전무했기 때문이다.[3] 감차분은 N15번으로 이동됐다.[4] 과거에는 연세대앞 정류소가 연세대삼거리까지 이어지지 않아 정류소를 벗어나면 바로 차선 변경이 가능했으나, 지금은 교차로를 넘어가야 차선을 변경할 수 있다.[5] 운행거리가 더 길어졌지만 대흥역 앞 좌회전에 워낙 시간을 많이 잡아 먹어서 소요시간에 차이가 없었다.[6] 심지어 한성대입구 같은 경우는 정류장에서 800m 이상 걸어야 한다. 불행 중 다행으로 성북02번승강장은 하행이나 상행 양쪽에서 다 걸어갈 만은 하다.[7] 연세대학교는 대방역 방면만 정문 앞에 하차한다.[8] 숭덕초등학교 하차.[9] 대방역 방향만 경유[10] 신촌로터리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