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
,
,
,
[ 펼치기 · 접기 ]
체제
역사
분할국
잔존국
상징
정치
법률
군사
행정구역
종교
문화
문헌
건축
경제
외교
정체성
창작물
[ 펼치기 · 접기 ]
전쟁·분쟁
교전국
30년 전쟁
1618 ~ 1634
7년전쟁
1754 ~ 1763
크림 전쟁
1853 ~ 1856
발칸 전쟁
1912 ~ 1913
1. 개요2. 제20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3. 배경4. 전개5. 결과6. 전후 유럽지중해 세계의 정세
6.1. 오스만 제국동로마 잔존국
6.1.1. 메흐메트 2세의 칭제 및 황권 강화6.1.2. 동로마 잔존국들의 저항과 멸망
6.2. 전후 서방 가톨릭 세계의 정세6.3. 러시아제3의 로마 선포
7. 여담

1. 개요[편집]

1453년 동로마 제국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에서 일어난 동로마 및 기독교 동맹[1]과 오스만 술탄국(오스만 제국) 사이의 전투.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전투이기도 하다.

이 전투에서 끝내 콘스탄티노폴리스가 함락되고 동로마 제국이 멸망하면서 로마 제국역사, 그리고 기원전 8세기부터 2,200여년간 지속된 로마 문명역사가 막을 내렸고[2], 오스만 제국은 유럽아시아라는 두 대륙의 경계인 보스포로스 해협을 완전히 장악함으로써 본격적인 세계제국으로 팽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또한 1453년이라는 한 해 동안 동방에서는 로마 제국이 멸망하고, 서방에서는 백년전쟁이 종식되었기에 유럽사에서는 바로 이 해를 중세가 종식되고 근대(근세)가 시작되는 기점으로 여기는 시각이 많다.[3]

2. 제20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편집]

나무위키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이 총 20차례 있었다고 판단하고 표제명으로 삼았기에, 그 영향을 받은 상당수의 한국 역덕 커뮤니티에서는 제20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이라는 이름이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총 몇 차례의 공방전이 있었는지는 동로마 제국이 존속하던 당대의 기록에서도 다르게 나타나고 현대 서양사학계에서도 여러 이설이 있기에 숫자로 공방전의 차수를 논하는 방식은 통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0차 공방전이나 다른 n차 공방전이라는 표기를 쓰기 보다는 전투가 일어난 연도를 반영한 표기가 더 적합하다.

3. 배경[편집]

4. 전개[편집]

5. 결과[편집]

6. 전후 유럽지중해 세계의 정세[편집]

6.1. 오스만 제국동로마 잔존국[편집]

6.1.1. 메흐메트 2세의 칭제 및 황권 강화[편집]

6.1.2. 동로마 잔존국들의 저항과 멸망[편집]

6.1.2.1. 모레아 전제군주국의 멸망[편집]
6.1.2.2. 트라페준타 제국테오도로 공국의 멸망[편집]
6.1.2.3. 이피로스 전제군주국의 멸망[편집]

6.2. 전후 서방 가톨릭 세계의 정세[편집]

6.3. 러시아제3의 로마 선포[편집]

7. 여담[편집]

[1] 교황령, 베네치아 공화국, 제노바 공화국 등.[2] 일부 잔존국들은 1470년대까지 존속하긴 했다.[3] 오늘날에는 1453년 대신 다른 연도를 제시하는 경우도 있고, 특정 연도 또는 특정 국가의 존속을 기준으로 대륙사 또는 세계사의 시대를 나누는 방식 자체가 낡았다고 보는 시각도 있지만, 아직까지는 1453년을 기준으로 삼는 방식이 통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