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사업 계획은 취소 또는 무산되었습니다.
본 문서의 사업 계획은 본래 시행될 예정이었지만, 여러 가지 사유로 인하여 취소되었습니다.
본 문서의 사업 계획은 본래 시행될 예정이었지만, 여러 가지 사유로 인하여 취소되었습니다.
| ||
노선도[2] | ||
노선 정보 | ||
기점 | ||
종점 | ||
운영기관 | ? | |
영업거리 | 약 31.5km | |
궤간 | 1435㎜ | |
역수 | 30[3] | |
전기 | 직류 1500V | |
신호 | ? | |
표정속도 | ? | |
차량기지 | ?[4] | |
지상구간 | ?[5] | |
진행 상황 | 백지화 |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의 3기 지하철 계획에 포함되었던 노선이지만, 현재는 계획이 무산된 도시철도 노선이다.[6]
2. 배경[편집]
당시 1호선의 혼잡도는 현재의 9호선과 맞먹을 정도여서, 이를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그렇게 하여 광명역을 기점으로 토평역까지 가는 노선이 계획된것이다.
3. 역 목록[편집]
- 파랑색 칸은 지상역임을 표시하는 것임.
역번 | ㎞ | 역명 | 승강장 | 등급 | 급행 | 환승노선 | 소재지 | |||
형태 | 횡단 | |||||||||
1028 | 0.0 | │■│ │■│(지상 4층)[8] | 급 | |||||||
1027 | -.- | │■│ (지하 5층)[10] | 급 | ● 7호선 | 서 울 특 별 시 | |||||
1026 | -.- | ■││││■(지하 4층)[11] | 급 | |||||||
1025 | -.- | ■││■(지하 4층)[12] | 급 | |||||||
1024 | -.- | ■││■ (지하 2층)[13] | 급 | |||||||
1023 | -.- | ■││■(지하 4층)[14] | 급 | |||||||
1022 | -.- | ■││■(지하 5층) [15] | 급 | |||||||
1021 | -.- | ││■││(지하 5층)[16] | 급 | |||||||
1020 | -.- | │■│(지하 5층)[17] | 급 | |||||||
1019 | -.- | │■│(지하 7층) [19] | 급 | |||||||
1018 | -.- | │■│(지하 6층) [20] | 급 | |||||||
1017 | -.- | │■│(지하 5층)[22] | 급 | |||||||
1016 | -.- | │■│(지하 7층)[24] | 급 | |||||||
1015 | -.- | ■││■(지하 8층)[26] | 급 | |||||||
1014 | -.- | ■││││■ (지하 7층)[27] | 급 | |||||||
1013 | -.- | ■││■(지하 6층)[29] | 급 | |||||||
1012 | -.- | ■││││■(지하 8층)[30] | 급 | |||||||
1011 | -.- | │■│(지하 8층)[31] | 급 | ● 9호선 | ||||||
1010 | -.- | │■│(지하 4층) | 급 | ● 5호선 | ||||||
1009 | -.- | ■││■ (지하 5층) | 급 | ● 1호선 | ||||||
1008 | -.- | ■││■(지하 4층) | 급 | |||||||
1007 | -.- | ■││■(지하 4층)[35] | 급 | ● 7호선 | ||||||
1006 | -.- | ■││■ (지하 4층) | 급 | |||||||
1005 | -.- | ■││■(지하 4층) | 급 | ● 2호선 | ||||||
1004 | -.- | ■││■ (지하 4층)[38] | 급 | |||||||
1003 | -.- | ■││││ ■ (지하 4층) | 급 | X | ||||||
1002 | -.- | ■││■ (지하 4층) | 급 | |||||||
1001 | -.- | ■││■ (지하 4층)[41] | 급 | |||||||
1000 | -.- | ■││■ (지하 5층) | 급 | 경기도 | ||||||
1000-1 | -.- | ■││■ (지상 1층)[44] | 급 |
4. 여담[편집]
- 신안산선이 일부 구간을 계승할 예정이다.
[1] 노선색은 정해지지 않았으나 신안산선이 이 노선의 일부구간을 계승하므로 신안산선의 색상으로 임의 지정하였다.[2] 시종점과 환승역만 표기하였으며, 언론 기사 등의 자료를 토대로 만든 것이라 실제 계획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3] 서울연구원의 PDF파일 120페이지 부근 참조[4] 광명시 일직동 내지 구리시 토평동으로 검토됨[5] 차량기지가 예정된 광명시 일직동과 구리시 구간이 지상으로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6] 1997년 외환위기로 인해 전부 무산되었다.[7] 언론에서 구리시 종점을 경전철 환승역사로 짓는다는 언급이 있었다.[8] 참고로 이 때 당시 토평동으로 수도권 순환전철이 지나갈 구상도 존재했는데, 9호선도 동측종점에서 순환전철과 접속하려는 것이 검토됐음을 감안했을 때 10호선 또한 이 노선과 접속하기 위해 승강장을 같은 층으로 지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문의해본 결과 순환전철 차량기지랑 같이 공유할 예정이여서 지금은 지하로 하겠지만 그 당시에는 지상역으로 계획되었다고 한다.[9] 단 8호선 연장선 계획은 3기 지하철이 폐기되고 한참 뒤에 나온 계획이긴 하나, 10호선 동측종점 위치를 대조해보면 현재 건설 중인 토평역 위치와 비슷하다.[10] 역 안내도를 보면 지하 2~3층에 빈 공간이 있는데 이 공간에 10호선 승강장이나 본선이 선시공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지하 2층은 기계실 환기실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도면도 확인해본결과 10호선 승강장은 7호선 아래층 지하5층으로 1면 2선 섬식 승강장으로 되어있다고 한다.[11] 주변에 중랑천이 있기 때문에 지하 4층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다.[12] 주변에 중랑천이 있기 때문에 지하 4층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다.[13] 지하 2층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다.[14] 지상에 대형 철도역사가 위치하고 1호선이 지하로 지나가기 때문에 최소 지하 4층 이상으로 내려가야 한다.[15] 2호선 승강장이 지하 1층에 있고 고산자로 하부를 따라가는 12호선과 달리 10호선은 건물 하부를 뚫어야 하기에 12호선보다 깊게 위치했을 것으로 보인다. 12호선은 지하 3층, 10호선은 지하 5층으로 되었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다.[16] 주변에 청계천을 건너야 하기때문에 지하 5층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다.[17] 6호선 공사시 선시공한 지하 3층의 환승통로 양 옆으로 6호선 본선이 지나가고 있고 다음 역인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의 깊이가 엄청나기 때문에 때문에 탑승 방향 전환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선 지하 5층에 승강장이 위치해야 한다. 또한 10호선이 관통하는 마장로의 폭이 꽤 좁은 편이기 때문에 TBM이나 NATM 공법을 통해 섬식 승강장으로 계획했을 거라 추정된다.[18] 간혹 동대문역과 환승하는 걸로 표기된 지도도 있지만, 언론 기사에서는 항상 이 곳을 환승지점으로 표기했다. 마른내길 잘 가다가 뜬금없이 동대문역으로 북진하는 것도 이상하고, 동대문역에서 신당역으로 다시 내려왔다가 마장동~청량리 쪽으로 올라가면 선형이 심하게 굴곡이 지게 된다.[19] 2호선이 지하 2층, 4호선이 지하 3층, 5호선이 지하 5층에 승강장이 위치해 있고 지하 4층에는 5호선 대합실이 있기 때문에 그리고 신안산선 초기종단면도 확인해본 결과 제일깊게 나와있어 승강장은 지하 7층에 위치해야 한다. 또한 10호선이 관통하는 마른내로의 폭도 꽤 좁은 편이기 때문에 TBM이나 NATM 공법을 통해 섬식 승강장으로 계획했을 거라 추정된다. [20] 2호선이 지하 2층, 5호선이 지하 5층에 승강장이 위치해 있고 다음 역인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의 깊이가 엄청나기 때문에 승강장은 지하 6층에 위치해야 한다. 또한 10호선이 관통하는 마른내로의 폭도 꽤 좁은 편이기 때문에 TBM이나 NATM 공법을 통해 섬식 승강장으로 계획했을 거라 추정된다.[21] 3호선과 만날 기회는 여기밖에 없다.[22] 2호선이 지하 2층, 3호선이 지하 3층에 승강장이 위치해 있기 때문에 승강장은 최소 지하 4층에 위치해야 하지만 다음 역인 을지로4가역의 깊이가 엄청난 편이라 더욱 깊었을 수 있다. 지하 5층 또한 10호선이 관통하는 마른내로의 폭도 꽤 좁은 편이기 때문에 TBM이나 NATM 공법을 통해 섬식 승강장으로 계획했을 거라 추정된다.[23] 일단 회현사거리에서 11호선과 만난다고 되어있는데, 위치상 막장환승이 되더라도 회현역과 통합했을 가능성이 크다. 10호선은 이미 서울역과 동대문역사공원역이 4호선과 환승역이라 굳이 필요없지만, 11호선은 여기 아니면 4호선과 만날 수가 없다.[24] 지하 통신 케이블선과 각종 지장물이있으며 4호선이 지하 4층에 있고 10호선이 11호선보다 먼저 개통예정이기 때문에 10호선은 그 전역이 서울역이고 공항철도 서울역이 지하 7층이기 때문에 그 밑 지하 8층 회현과 가까워서 구배비율 안전으로 해서 10호선은 지하 7층, 11호선은 환승편의를 위해서 지하 6층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다.[신]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신안산선으로 부활 예정.[26] 공항철도 서울역이 지하 7층이고 또한 4호선과 1호선 경의중앙선 건물 하부를 통과하기 때문에 지하 8층 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다.[27] 일단 바로 전 역인 공덕역은 최소 지하6층 이하로 내려가야하는데다가, 만리재라는 지명에서 추측할 수 있듯 동네가 언덕 지형이라, 본선에 급구배를 주더라도 심도가 깊어질 수 밖에 없다.[29] 제일 깊은 공항철도 승강장이 지하 5층에 위치하고 인근 건물 하부를 관통해야 하기 때문에 승강장은 지하 6층에 위치했을 것이다.[30] 한강을 하저터널로 통과하기 때문이며 여의나루 마포구간처렴 심도가 깊고 출발하자마자 바로 한강이여서 지하8층 으로 이루어졌을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다.[31] 한강을 하저터널로 통과하기 때문이며 여의나루 마포구간처렴 심도가 깊고 출발하자마자 바로 한강이여서 지하8층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다. 9호선은 지하 3층.[32] 보통 유치선 용도로 활용되는 3련 박스 구조물이 5호선 공사시 선시공되어 있는 걸 보면 중간타절역으로 고려했을 가능성이 있다.[34] 도림동(道林洞)의 '도'와 신길동(新吉洞)의 '신'을 합친 것이다.[35] 지하 3층에 환승통로를 7호선 공사시 선시공했기 때문에 승강장은 지하 4층에 위치했을 것이다.[38] 주변에 언덕이 있어서 승강장은 지하 4층에 위치했을 것이다.[41] 주변에 언덕이 있어서 승강장은 지하 4층에 위치했을 것이다.[44] 지금은 지하역으로 되어있지만 3기 지하철 계획 당시에는 차량기지 내부에 있는 지상역으로 계획되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