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중화민국
,
,
,
,
1. 개요2. 헌법3. 오권분립에 따른 헌법기관 구조
3.1. 정권: 정부총통과 국민대회
3.1.1. 정부총통
3.1.1.1. 총통3.1.1.2. 부총통3.1.1.3. 총통부
3.1.2. 국민대회
3.2. 치권: 5원
3.2.1. 행정원3.2.2. 입법원3.2.3. 사법원3.2.4. 감찰원3.2.5. 고시원
4. 정당5. 특징
5.1. 국부천대 이전
5.1.1. 임시정부 시기5.1.2. 북양정부 시기5.1.3. 국민정부 시기
5.2. 국부천대 이후
5.2.1. 대만 독립 세력과 양안 통일 세력의 대립

1. 개요[편집]

중화민국(대만)의 정치를 다루는 문서

중화민국은 대통령제의 성격이 강한 이원집정부제 민주 공화국으로, 직접선거에서 선출된 총통[1]이 행정부에 해당하는 행정원의 수반(행정원장)을 임명하여 행정을 책임지며 입법, 사법, 감찰, 고시(인사)의 4원이 이를 견제하는 오권분립 체제이다.

다만 5권 가운데 감찰과 고시의 권한이 미약하기에 실질적으로는 행정, 입법, 사법으로만 나뉘른 타국의 삼권분립과 다를 바 없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 헌법[편집]

3. 오권분립에 따른 헌법기관 구조[편집]

3.1. 정권: 정부총통과 국민대회[편집]

3.1.1. 정부총통[편집]

3.1.1.1. 총통[편집]
3.1.1.2. 부총통[편집]
3.1.1.3. 총통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화민국 총통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 국민대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화민국 국민대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치권: 5원[편집]

3.2.1. 행정원[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화민국 행정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 입법원[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화민국 입법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3. 사법원[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화민국 사법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4. 감찰원[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화민국 감찰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5. 고시원[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화민국 고시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정당[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화민국/정당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특징[편집]

5.1. 국부천대 이전[편집]

5.1.1. 임시정부 시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화민국 임시정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2. 북양정부 시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화민국 북양정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3. 국민정부 시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화민국 국민정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국부천대 이후[편집]

5.2.1. 대만 독립 세력과 양안 통일 세력의 대립[편집]

현대 중화민국의 정치 구도는 크게 민주진보당을 위시한 대만 독립 세력과 중국국민당을 위시한 양안[2] 통일 세력의 대립이다.

전자가 대만이 중국과는 다른 민족 정체성을 가진 점을 강조하며 중화민국이 중국 정체성을 탈피하고 대만 섬의 독립국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후자는 중국의 정통정부로서의 중화민국을 강조하고 양안 통일을 추구한다.

이처럼 국가 정체성에 대한 기본적인 전제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두 진영은 좀처럼 타협이 쉽지 않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의 위협이라는 안보 문제까지 결부되어 양안관계 이슈가 다른 모든 정치 이슈를 잡아먹는 현상이 자주 나타난다.
[1] 대통령에 대응된다.[2] 대만해협을 사이에 둔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