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규정에서 사용을 강제하는 템플릿입니다.

문단에서 사용을 강제하는 템플릿이며, 이 템플릿의 수정 시 알파위키:기본규칙규정의 개정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교통 템플릿
철도역 · 대한민국() · 일본(·노선) · 중국
1. 템플릿의 효력2. 총칙3. 기본정보표/일반철도4. 기본정보표5. 개요6. 역 정보
6.1. 승강장6.2. 인접 정차역
7. 역 주변 정보8. 표9. 노선색10. 일반열차 등급색11. 일제강점기 폐역된 역12. 운행 계통 및 철도거리표
12.1. 기본 형태
12.1.1. 중간역12.1.2. 시종착역12.1.3. 행선지
12.2. 미개통구간
12.2.1. 개통 예정역(미개통역)이 끼어있을 경우12.2.2. 모든 구간이 미개통인 경우12.2.3. 이미 개통된 노선을 연장하는 경우
12.3. 분기역 (노선이 다른 경우)12.4. 분기역 (노선이 같은 경우)12.5. 공용구간12.6. 완급 분리
문서를 생성하기 전에

1. 일반철도역의 경우 - 일반철도와 도시·광역철도를 모두 취급할 경우, 일반철도역으로 칩니다.
 A. 분기역의 경우
  a. 분기 노선 중 간선 철도가 둘 이상인 경우(ex. 순천역, 용산역, 봉양역) - 소속 광역시 또는 도를 붙인다. ex) 봉양역(충청북도)
  b. 분기 노선 중 간선 철도가 하나인 경우(ex. 부전역, 대전역) - 간선 철도명을 붙인다. ex) 대전역(경부선)
  c. 분기는 하는데 지선 철도끼리 분기하는 경우(ex. 가야역) - 본선 쪽의 철도명을 붙인다. ex) 가야역(가야선)
 B. 분기역이 아닌 경우(ex. 좌천역, 전동역, etc.) - 소속 철도명을 붙인다. ex) 좌천역(동해선)
2. 도시·광역철도역의 경우
 A. 타 지역에 동명의 도시·광역철도 취급역이 없는 경우(ex. 범일역) - (도시철도)라고 붙인다. ex) 범일역(도시철도)
 B. 타 지역에 동명의 도시·광역철도 취급역이 있는 경우(ex. 교대역) - 소속 광역시 또는 도를 붙인다. ex) 교대역(서울)

1. 템플릿의 효력[편집]

  • 이 템플릿은 알파위키:편집지침에 명시되어 있어 규정에 준하는 효력을 받습니다.
  • 따라서 토론 합의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자유롭게 추가 및 수정이 가능합니다.

2. 총칙[편집]

  • 대한민국에 소재하는 모든 철도 노선에 대한 문서는 이하를 따릅니다. 폐지되거나 개통 예정인 노선 또한 이와 같습니다.

3. 기본정보표/일반철도[편집]

[1]주역명(병기역명)
(부역명)
시종착
주소
XX시/군 YY구 ZZ로 OOO-OO
운영 기관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개업일
YYYY년 MM월 DD일
YYYY년 MM월 DD일
철도거리표
XX선
역 명
종점
XX선
역 명
기점
XX선
역 명
이 역은 ○○역○○역 사이에 있었으나 폐역되었다./개통준비중이다.

4. 기본정보표[편집]

이 역은 ○○역○○역 사이에 있었으나 폐역되었다./개통준비중이다.

○○驛
Romaja Station
[2]
○○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다 음
-.- km →
주소
○○도 ○○시 ○○구 ○○로 ○○-○
(○○동 ○○-○○)
역 운영기관
파일:한국철도공사 CI.svg
개업일
YYYY년 MM월 DD일
철도거리표
기점
경부선
서 울
경의선
서 울
기점
기점

5. 개요[편집]

노선명의 철도역.[4] ○○도 ○○시/군 ○○읍 ○○리 소재.

6. 역 정보[편집]

해당 역에 관한 정보를 작성합니다.

6.1. 승강장[편집]

  • 우측통행인 경우
A ↑
C
C'
↓ B
  • 좌측통행인 경우
↑ A
C
C'
B ↓
C
노선명
완급여부/열차종류
주요역1·주요역2·주요역3·종점 방면
C'
노선명
완급여부/열차종류
주요역4·주요역5·주요역6·종점 방면

6.2. 인접 정차역[편집]


||<-4><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bgcolor=#f5f5f5,#373a3c><:>[[파일:노선로고.svg|width=17]] [[비와코선|ㅇㅇ선]]||
||<:><width=34%>[[기점역|{{{#000000,#ffffff {{{-2 기점 방면}}}}}}]][br][[이전역|이 전]][br]← 2.5 km||<-2><:><width=32%><bgcolor=#열차컬러>[[열차명|[[파일:열차로고.png|width=75]][br]{{{-2 {{{#d7b64d [등급] 열차명[br][等級] 列車名}}}}}}]]||<:><width=34%>{{{#000000,#ffffff {{{-2 [[종점역1|{{{#000000,#ffffff 종점1}}}]]·[[종점역2|{{{#000000,#ffffff 종점2}}}]] 방면}}}}}}[br][[다음역1|다음1]][br]5.2 km →[br][[다음역2|다음2]][br]75.2 km →||

  • 도시철도, 광역철도 운행계통에 급행이 존재하는 경우 인접 정차역으로 표시해야 합니다.
  • 이전역/다음역에는 모든 편성 열차로 갈 수 있는 직전/직후역 을 먼 순서 또는 가까운 순서[5]대로 위에서 아래로 표기합니다.[예시5]
  • 열차명 링크와 열차로고는 문서나 파일이 있는 경우에만 붙입니다.
  • 열차명 아랫줄에 소괄호로 정차편성, 정차횟수, 정차요일, 진행방향 등을 짧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 고유 열차명이 없는 경우 등급의 대괄호를 풀고 단독으로 표기합니다.
  • 인접 정차역 란은 상단 정보표의 이전역/다음역 위치와 맞춥니다. 시라사기나가하마역마이바라역에서 방향이 반대로되어있으나, 이는 기본정보표 란의 방향과 맞춘 것입니다.

7. 역 주변 정보[편집]

역 주변에 대한 정보를 기재합니다.

8. [편집]

이 표는 여객열차 운행계통에만 씁니다. 일단 도시철도는 위의 우측 틀에 나온 것과 같이 기재해 주시면 됩니다.

9. 노선색[편집]

노선색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 일반철도 노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의 노선명과 우측 부가정보에 적용합니다. 흰색 글씨는 #fff, 검은색 글씨는 #000의 헥스 코드를 사용합니다.
노선색
헥스 코드
수도권 전철 1호선
#0052a4
서울 지하철 2호선
#00a84d
수도권 전철 3호선
#ef7c1c
수도권 전철 4호선
#00a4e3
수도권 전철 5호선
#996cac
서울 지하철 6호선
#cd7c2f
서울 지하철 7호선
#747f00
서울 지하철 8호선
#e6186c
서울 지하철 9호선
#bdb092
인천국제공항철도
#0090d2
공항철도 직통열차
#f97600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ffcd12
인천국제공항 셔틀트레인
#0D3692
인천 도시철도 1호선
#759cce
인천 도시철도 2호선
#f5a251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77c4a3
수도권 전철 경춘선
#178c72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fabe00
수도권 전철 신분당선
#d4003b
수도권 전철 경강선
동해선 광역전철
(코레일 블루)
#0054a6
수도권 전철 서해선
#8fc31f
용인 에버라인
#56ab2d
의정부 경전철
#fb8100
김포 도시철도
#ad8605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797979(배경색)
#dbd350(글자색)
서울 경전철 신림선
#797979(배경색)
#6789ca(글자색)
부산 도시철도 1호선
#f06a00
부산 도시철도 2호선
#81bf48
부산 도시철도 3호선
#bb8c00
부산 도시철도 4호선
#217dcb
부산 도시철도 5호선
#ff007a
양산 도시철도
#a2272a
부산김해경전철
#875cac
대구 도시철도 1호선
#d93f5c
대구 도시철도 2호선
#00aa80
대구 도시철도 3호선
#ffb100
대구 도시철도 4호선
#004eff
대구 도시철도 엑스코선
#66cc00
광주 도시철도 1호선
#009088
광주 도시철도 2호선
#0471c3
대전 도시철도 1호선
#007448
순천만 스카이큐브
#1E487F

10. 일반열차 등급색[편집]

등급색
헥사코드
KTX
#003da5
ITX-새마을
#c30e2f
누리로
#3d99c2
무궁화호
#f55839

11. 일제강점기 폐역된 역[편집]

12. 운행 계통 및 철도거리표[편집]

12.1. 기본 형태[편집]

틀 길이, 높이 관련
  • 틀의 총 너비가 360px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므로, 3등분인 <width=120px>를 좌우 중간 틀에 넣습니다.
    • width 문법은 테이블(표) 내 한 줄만 적용시키면 전체에 적용됩니다.
  • 틀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고 싶을 경우 <height=80px>를 각 줄에 넣습니다.
  • TEXT가 틀 범위를 넘어간다면 간소화시키거나 [br]을 이용한 강제 개행 등으로 처리합니다.

틀 색상 관련
  • <tablebgcolor=#xxxxxx>문법을 사용하면 테이블(표) 전체의 바탕 색상이 #xxxxxx으로 일괄 적용됩니다.
  • <rowbgcolor=#xxxxxx>문법을 사용하면 문법을 사용한 가로줄의 바탕 색상이 #xxxxxx으로 일괄 적용됩니다.
  • <colbgcolor=#xxxxxx>문법을 사용하면 문법을 사용한 세로줄의 바탕 색상이 #xxxxxx으로 일괄 적용됩니다.

<tablebgcolor=#ff0000> 사용

<rowbgcolor=#ff0000> 사용

<colbgcolor=#ff0000> 사용

12.1.1. 중간역[편집]

  • <bgcolor=#009088>에서 #009088는 배경색이고,
    [[노선명|{{{-1 {{{#ffffff 노선명[br](역번호)}}}}}}]]에서 #ffffff는 글자색입니다.
    bgcolor의 색상에 맞춰 글자색을 #000000(검정) 혹은 #ffffff(하양)으로 맞춥니다.
  • 운행계통 중간역
  • 철도거리표 중간역

12.1.2. 시종착역[편집]

  • 도시철도 시종착역
  • 번외
    • 차량기지명이 길어 강제개행이 일어날 경우 차량기지명을 간소화하거나 {{{-2 }}} 문법을 사용해 글자 크기가 작아지도록 조정합니다.
  • {{{-2 }}} 문법 미사용 시
  • {{{-2 }}} 문법 사용 시
  • 차량기지명 간소화
  • 철도거리표의 경우 기점/종점으로 표기합니다.
XX선
역 명
종점
기점
XX선
역 명

12.1.3. 행선지 [편집]

  • 순환선의 경우 기점 자리에 외선순환, 종점 자리에 내선순환을 적습니다.

12.2. 미개통구간[편집]

행선지와 노선명에 -- -- 문법을 삽입하면 취소선을 그을 수 있습니다.

12.2.1. 개통 예정역(미개통역)이 끼어있을 경우[편집]

  • 기점 ~ A ~ B ~ C(개통예정) ~ D ~ E ~ 종점의 경우
기점 방면
A
← x.x ㎞
종점 방면
D
C
x.x ㎞ →
기점 방면
B
← x.x ㎞
XX선
C
(미개통)
종점 방면
D
x.x ㎞ →
기점 방면
B
C
← x.x ㎞
종점 방면
E
x.x ㎞ →

12.2.2. 모든 구간이 미개통인 경우[편집]

12.2.3. 이미 개통된 노선을 연장하는 경우 [편집]

  • 연장 전 종점(기점)역
  • 연장구간 중간역
  • 연장구간 종점(기점)역
시종착

12.3. 분기역 (노선이 다른 경우)[편집]

12.4. 분기역 (노선이 같은 경우)[편집]

12.5. 공용구간[편집]

12.6. 완급 분리[편집]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F0000,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OO급행)]
  • 활용 예시
[1] 정차하는 최고등급의 열차 색상을 표에 입힙니다.[2] 한자 역명 및 로마자 역명 표기. 한자 표기가 없는 경우 한글로 기입[3] 모든 노선의 주소가 같은 경우 이 부분은 생략합니다.[4] 역번이 있을 경우 '노선명 ○○○번'으로 적습니다. (예: 서울 지하철 2호선 201번.)[5] 관련해서 편집 분쟁이 발생한 경우 먼 순서[예시5] 30편성 열차가 A역 다음 B역에 1편성, C역에 12편성, D역에 17편성 정차한다면 BCD역을 모두 표기[7] xx년 x월 연장다음역 개통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