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대한민국
관련 문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png
국기
생몰년도
1919년 ~ 1948년
위치
서울(명목상)[1]
정부 소재지
건국 이전
대한제국(명목상)
일본령 조선(실질적)[2]
후신
대한민국 제1공화국

1. 개요2. 역사
2.1. 설립2.2. 해체 및 계승
3. 연호4. 박물관5. 논란
5.1.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독립에 기여를 못했는가?5.2. 현대 대한민국의 법통 계승 논쟁: 임정법통론
6. 여담


1. 개요[편집]

1919년부터 대한민국 제1공화국 수립 직전까지 있었던 임시정부이다.

2. 역사[편집]

2.1. 설립[편집]

일제강점기로부터 벗어나고자 설립되었다. 당시 여러 개의 임시정부가 있었는데 합의를 보며 이곳으로 모았다.
그리고 이승만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초대 대통령이였다.

하필 왜 상하이냐 하면 당시 일본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대한제국을 확인할 수 있는 곳이면서 또 대한민국이랑 가까운데 항구가 있는 곳이 바로 상하이기 때문이다.

2.2. 해체 및 계승[편집]

미군정이 종식되고 제헌국회에서 공식 국호로 대한민국을 채택하면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공식적으로 해체되고 대한민국 제1공화국으로 계승되었다.

3. 연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연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박물관[편집]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썼던 건물이 전시되어 있다.

5. 논란[편집]

5.1.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독립에 기여를 못했는가?[편집]

그렇지 않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제2차 세계 대전중화민국 편에 서서 싸웠고, 비록 전투병 파병은 아니지만 서방 연합국인 미국, 영국과 협력하기도 했다.

5.2. 현대 대한민국의 법통 계승 논쟁: 임정법통론[편집]

6. 여담[편집]

만약, 6.25전쟁에서 북한이 승리했다면 , 이것이 부활했을 가능성도 있었다 . 실제로 미국이 대한민국 정부 서사모아 보내려고 한 생각도 했었다.당시 맥아더가 이 생각을 했었다고 카더라
[1] 1945년 이전.[2] 임시정부는 일제의 조선 식민지화를 불법 강제 점령으로 간주하고, 스스로 구한국(대한제국)의 판도를 그대로 계승한다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