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한민국
,
,
,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대한민국
관련 문서
1. 개요2. 역대 대한민국 헌정/정부 체제3. 시대별 역사
3.1. 대한민국 임시정부3.2. 대한민국 제1공화국3.3. 대한민국 제2공화국3.4. 대한민국 제3공화국3.5. 대한민국 제4공화국3.6. 대한민국 제5공화국3.7. 대한민국 제6공화국
4. 미래 전망?
4.1. 남북한 통일4.2. 북방고토 회복4.3. 주변국들의 국경선 변화4.4. 지역갈등 해소4.5. 관련 예측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역사를 정리한 문서다.

2. 역대 대한민국 헌정/정부 체제[편집]

  • 대한민국 제1공화국
  • 대한민국 제2공화국
  • 대한민국 제3공화국
    • 박정희 정부: 1963 ~ 1972
  • 대한민국 제4공화국
    • 박정희 정부: 1972 ~ 1979
      • 최규하 권한대행 체제: 1979
    • 최규하 정부: 1979 ~ 1980
      • 박충훈 권한대행 체제: 1980
    • 전두환 정부: 1980 ~ 1981
  • 대한민국 제5공화국
    • 전두환 정부: 1981 ~ 1988
  •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노태우 정부: 1988 ~ 1993
    • 문민정부(김영삼 정부): 1993 ~ 1998
    • 국민의 정부(김대중 정부): 1998 ~ 2003
    • 참여정부(노무현 정부): 2003 ~ 2008
      • 고건 권한대행 체제: 2004
    • 이명박 정부: 2008 ~ 2013
    • 박근혜 정부: 2013 ~ 2017
      • 황교안 권한대행 체제: 2016 ~ 2017
    • 문재인 정부: 2017 ~ 2022
    • 윤석열 정부: 2022 ~ 2025
      •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
      •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 차기 정부(예정): 2025~2030

3. 시대별 역사[편집]

3.1. 대한민국 임시정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반도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를 받고 있었던 1919년 4월 11일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는 처음에 중화민국 상하이시에 위치했지만 중일전쟁 이후 일본 제국의 공격을 피해 여러 곳으로 옮겨졌다. 그리고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중화민국을 도와 일본 제국의 침략 전쟁에 대항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 제국이 패배한 후, 한반도는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에서 벗어났다. 38도선을 경계로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를 신탁 통치할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는데, 북한에서 사절단을 막아버리고 결국 미국으로부터 관리권을 넘겨받은 유엔은 38선 이남에서만 총선거를 실시하기로 결정한다. 이렇게 한국은 분단될 위기에 처했다. 김구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결국 한국은 남과 으로 분단되고 말았다. 이 과정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정식 정부인 대한민국 정부로 승계되었다.

3.2. 대한민국 제1공화국[편집]

대한민국은 제1공화국 초기에 6.25 전쟁으로 인해 국토가 초토화되었다. 이후 미국의 경제 원조를 통해 경제가 조금씩 성장하게 되었다. 한편, 이승만은 계속적인 개헌으로 독재를 했고, 3.15 부정 선거를 저지르게 되었다.
결국 4.19 혁명으로 이승만이 하야하고 미국 하와이 주로 망명하면서 제1공화국은 사실상 붕괴되었고 5대 총선을 거쳐 의원내각제 헌법을 채택한 제2공화국이 수립되었다.

3.3. 대한민국 제2공화국[편집]

제2공화국 헌법 하에서 윤보선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의원내각제라 실권은 장면 총리에게 있었다.

장면 내각은 1년도 채 안 되는 짧은 임기만을 유지하다 박정희 소장이 주도한 5.16 군사정변으로 무너졌고, 국가재건최고회의라는 군정 체제를 거쳐 개헌을 통해 제3공화국 체제로 이행했다.

3.4. 대한민국 제3공화국[편집]

박정희 대통령제 헌법인 제3공화국 헌법에 따라 당선되었고, 이승만과 마찬가지로 3선 연임을 통한 독재를 했으며, 한편으로는 경제 성장을 추진했다.

그러나 1971년 7대 대선에서 김대중에게 신승을 거두며 더이상 연임이 힘들어졌음을 실감한 박정희는 10월 유신을 단행하여 제4공화국 체제를 수립했다.

3.5. 대한민국 제4공화국[편집]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이른바 '체육관 선거'를 통해 대통령직을 연임하고, 긴급조치를 비롯한 초법적 권한을 휘두르던박정희는 결국 1979년 10월 26일 김재규의 총탄에 맞아 최후를 맞이했다.

박정희가 사후, 최규하가 보궐선거를 통해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그러나 79년 12월 12일 하나회의 쿠데타로 인해 최규하가 실각한 후 80년 대선에서 전두환이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3.6. 대한민국 제5공화국[편집]

전두환은 겉으로는 7년 단임의 5공 헌법을 제정하며 이승만, 박정희와 차별화된 면모를 보이는 듯했으나, 불법구금과 민간인 사찰, 고문, 언론 통제 등 비롯한 독재적, 권위주의적 통치는 마찬가지였다.

결국 전두환에 독재에 반발하는 6.10 민주 항쟁이 일어났고, 결국 6.29 선언이 발표되어 대한민국의 민주화는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3.7. 대한민국 제6공화국[편집]

6.29 선언 이후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윤석열이 차례대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또한 대한민국의 경제도 조금씩 성장했고, 2022년에 대한민국의 국력은 일본과 프랑스의 국력보다 강해졌다.

4. 미래 전망?[편집]

4.1. 남북한 통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남북한 통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은 민주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고, 경제 성장도 빠르게 진행되어 선진국이 되었으나, 분단이라는 상황 때문에 전쟁 위험이 없다고 할 수 없다. 그래서 남북한 통일은 대한민국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다. 만약 남북한이 대한민국 주도로 통일된다면 대한민국은 옛 북한 지역을 개발할 가능성이 높다. 옛 북한 지역을 개발해야 중국, 러시아 등과 교역하기 편리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한미군은 계속해서 대한민국에 주둔해 있을 가능성이 높다. 남북한이 대한민국 주도로 통일되면 대한민국이 중국, 러시아와 접경하게 되는데, 미국은 중국, 러시아와의 갈등이 크기 때문이다.


남북한이 통일되면 통일 한국의 한반도 북부의 자원 이용이 가능해지고 통일 한국이 안정해지는 등 이점이 많다.

4.2. 북방고토 회복[편집]

대한민국이 북한을 병합하여 남북한 통일이 이루어질 경우, 대한민국이 러시아, 몽골, 중국과의 관계가 심하게 악화되면 간도나 남연해주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할 가능성이 있다. 이 상황에서 미국과 중국 또는 러시아 간의 전쟁이 일어나면 대한민국은 미국에 협력할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되면 대한민국은 중국 또는 러시아와 직접적으로 전쟁을 할 가능성이 크므로, 이 전쟁에서 대한민국이 승리한다면 간도나 남연해주를 완전히 또는 어느 정도 회복할 수 있다.

대한민국이 전쟁 없이 간도나 남연해주를 회복하는 방법도 있는데, 바로 간도나 남연해주를 매입하는 것이다. 대한민국이 남북한 통일 이후 경제력이 매우 좋아진다면 러시아, 몽골, 중국에게서 간도와 남연해주를 매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과정은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크다. 2022년 기준으로 러시아몽골은 대한민국보다 사실상 경제력이 약하지만 중국은 지구에서 미국 다음으로 경제력이 강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이 북방고토(간도, 남연해주)를 회복하게 된다면 만주족이 중국러시아로부터 독립할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되면 대한민국의 접경국은 러시아, 만주족의 국가, 몽골, 중국이 된다. 또한 간도에 거주하던 조선족들은 한민족이 되고, 그 외 간도에 거주하던 민족들[1]은 한국인이 된다. 그리고 대한민국은 영토가 매우 넓어지고 한민족 외의 많은 민족들도 한국인이 되기 때문에 연방제가 실시될 가능성이 높다.

4.3. 주변국들의 국경선 변화[편집]

남북한이 대한민국 주도로 통일되면 중국의 세력 확장이 저해될 가능성이 높다. 만약 이 상태에서 중국의 국력이 약화되면 몽골이 내몽골을 수복하는 등 영토가 넓어지는 등의 변화가 일어나 대한민국의 주변국들의 국경선이 변할 수 있다. 관련 영상.

4.4. 지역갈등 해소[편집]

현재 대한민국에는 지역갈등이 있다. 대표적으로 영남호남의 갈등이 있다. 영남에서는 보수주의가 우세하고, 호남에서는 진보주의가 우세하다. 그래서 선거 때마다 영남에서는 보수정당 소속의 후보에게 표가 몰리고, 호남에서는 진보정당 소속의 후보에게 표가 몰린다. 또한 대한민국에는 서울 공화국 현상으로 인해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갈등도 존재한다.

만약 대한민국의 지역갈등이 지속되거나 심해진다면 사회 통합이 저해되어 다른 국가들과의 경쟁에서 불리해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지역갈등이 해소된다면 다른 국가들과의 경쟁에서 유리해질 수도 있다.

4.5. 관련 예측[편집]


과학자들은 미래에 대륙들이 이동하여 한반도와 일본 열도가 이어지고 호주와도 접할 것으로 예측하기도 한다. 이렇게 되면 대한민국은 그 때까지 존속해 있다면 일본, 호주 등과의 무역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7문서의 r15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만주족, 몽골족, 위구르족, 한족, 후이족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