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편집]
2. 한국사[편집]
2.1. 조선 이전[편집]
발해에서 전국을 5경 15부 62주로 설정했다. 가령 수도가 있는 상경용천부가 그렇다.
한반도에서는 통일신라에서는 도시 규모를 세세하게 따지지 않고[1] 고을들을 군과 현으로 편제했다. 신라는 수도 서라벌을 중심으로 중앙정부의 일원적 행정력이 강하고 지방세력을 발달하지 못하게 관리했기 때문에 행정구역도 주(한 지방 권역)-군(큰 동네)-현(작은 동네)으로 간결하게 구성했었다. 그에 비해 고려는 건국부터 호족 연합체로 시작했고 초기 고려는 다양한 지방세력이 다양한 급으로 존재했기 때문에, 일단 후삼국을 재통일해 신라의 행정구역 체계를 계승했지만 좀 더 다양한 행정구역 구분을 만들고자 했다.
고려에서 부는 고려 초기 왕건이 큰 도시를 중심으로 행정구역 단위로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995년 수도 개경을 개성부라 하였고, 여기에 개성부 지사를 두었으며 1308년 개성 성내만 관할하는 부윤과 성외를 관할하는 개성 현령으로 나누는 등 개편이 있었다. 전국 주요 지방도시에는 부보다 더 위 단위로 대도호부, 도호부가 설치되었다.
한편 고려에는 최상위 행정구역으로 경이 존재했는데, 수도인 개경을 비롯, 서경(평양), 동경(경주)의 3경 체제를 유지하다가 이후 남경(한양)이 추가되어 4경이 되었다. 아래에 나오지만 이 4경이 고려 말에 부로 전환되어 조선시대의 부로 이어진다.
흔히 고려 전기에 3경이 개경, 서경, 동경이었다가 고려 후기에 개경, 서경, 남경으로 바뀌었다고 알려져 있는데, 원래 3경에다가 남경이 추가되어 4경이 된 것이다. 동경의 경우, 11세기초와 13세기초에 경주로 바뀐 적이 두 번 있지만 그 기간은 모두 합쳐서 30여 년에 불과했고 다시 동경으로 환원되어 1308년까지 유지되었다. 4경 중 가장 나중에 설치된 남경(한양) 역시 한때 한양으로 강등되었다가 다시 남경으로 환원되어 1308년까지 유지되었다.
하지만 원 간섭기인 1308년 수도 개경을 제외한 3경이 폐지되고 일괄적으로 부로 바뀌었다. 그리하여 동경은 계림부, 남경은 한양부, 서경은 평양부로 개칭되었다. 이것이 조선시대에 그대로 계승되었다.
한반도에서는 통일신라에서는 도시 규모를 세세하게 따지지 않고[1] 고을들을 군과 현으로 편제했다. 신라는 수도 서라벌을 중심으로 중앙정부의 일원적 행정력이 강하고 지방세력을 발달하지 못하게 관리했기 때문에 행정구역도 주(한 지방 권역)-군(큰 동네)-현(작은 동네)으로 간결하게 구성했었다. 그에 비해 고려는 건국부터 호족 연합체로 시작했고 초기 고려는 다양한 지방세력이 다양한 급으로 존재했기 때문에, 일단 후삼국을 재통일해 신라의 행정구역 체계를 계승했지만 좀 더 다양한 행정구역 구분을 만들고자 했다.
고려에서 부는 고려 초기 왕건이 큰 도시를 중심으로 행정구역 단위로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995년 수도 개경을 개성부라 하였고, 여기에 개성부 지사를 두었으며 1308년 개성 성내만 관할하는 부윤과 성외를 관할하는 개성 현령으로 나누는 등 개편이 있었다. 전국 주요 지방도시에는 부보다 더 위 단위로 대도호부, 도호부가 설치되었다.
한편 고려에는 최상위 행정구역으로 경이 존재했는데, 수도인 개경을 비롯, 서경(평양), 동경(경주)의 3경 체제를 유지하다가 이후 남경(한양)이 추가되어 4경이 되었다. 아래에 나오지만 이 4경이 고려 말에 부로 전환되어 조선시대의 부로 이어진다.
흔히 고려 전기에 3경이 개경, 서경, 동경이었다가 고려 후기에 개경, 서경, 남경으로 바뀌었다고 알려져 있는데, 원래 3경에다가 남경이 추가되어 4경이 된 것이다. 동경의 경우, 11세기초와 13세기초에 경주로 바뀐 적이 두 번 있지만 그 기간은 모두 합쳐서 30여 년에 불과했고 다시 동경으로 환원되어 1308년까지 유지되었다. 4경 중 가장 나중에 설치된 남경(한양) 역시 한때 한양으로 강등되었다가 다시 남경으로 환원되어 1308년까지 유지되었다.
하지만 원 간섭기인 1308년 수도 개경을 제외한 3경이 폐지되고 일괄적으로 부로 바뀌었다. 그리하여 동경은 계림부, 남경은 한양부, 서경은 평양부로 개칭되었다. 이것이 조선시대에 그대로 계승되었다.
2.2. 조선[편집]
2.2.1. 한성부[편집]
2.2.2. 유수[편집]
종2품 유수(留守)는 한성부처럼 팔도 관찰사의 관할을 받지 않는 명목상 경관직, 즉 중앙관으로, 유수가 파견된 부는 한성부처럼 도 관할 밖의 중앙 직할이었다. 조선에서는 정식 명칭은 아니었지만 유수 파견 부를 오늘날 편의상 다른 역사 용어에서 따와서 유수부라고도 한다. 조선에서의 품계는 종2품으로 다른 관찰사나 지방 부윤과 같았지만 실제로는 대개 차기 대신 후보군이었던 관찰사와 달리 대개 이미 대신을 역임한 관료가 보임되었고, 형식적으로 유수 2인을 두어 1인은 관찰사가 겸임하는 형식을 취했지만 실제 행정 면에서는 관찰사 관할에서 벗어나 있었다. 때문에 조선 전기 전국 광역행정구역의 지방관을 일컬을 때는 '각 도 관찰사와 개성 유수'라 하였다. 이는 원래 유수는 당나라의 동도(낙양), 송나라의 동경(개봉-이 때는 응천부 도읍 시절)처럼 제2수도를 관장하는 관직이었기 때문이다.
처음 유수가 설치된 것은 개성부였다. 이때까지만 해도 유수가 특별히 군사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던 것은 아니었고 단순히 옛 수도로서 건국 초 사실상 부수도의 역할을 수행했던 위상을 고려한 것이었다. 원래 조선 건국 초에 수도 기능이 남아있어 한성과 왕복하며 사용하던 개성을 유후사(留後司)라 하고 유후와 부유후를 두던 것을, 세종 대에 앞의 당나라와 송나라 사례를 들어 개성의 유후사를 부로, 유후를 유수로 고친 것이 시초였다.[2] 이후 경국대전에 명시되었다. 개성부 유수는 형식적으로 2인으로 1인은 경기 관찰사가 겸했으나, 경기 감영이 한성부 근처 돈의문 밖에 있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1인이었다. 사실상 경기 관찰사가 개성 유수에 묻어서 경관직 대우를 받는 모양새로, 덕분에 감영이 한성부 근처에 있으면서도 외관직이 되는 사태를 피할 수 있었다. 이후 설치된 모든 유수 파견 부도 마찬가지로 관찰사가 형식적으로 유수를 겸했다. 다른 행정구역의 경우 아래에서 보듯이 관찰사 겸직인 지역에서는 서윤이 실무를 관장했는데 개성부는 경기 관찰사를 위한 자리를 마련해 놓고도 원래 유수를 둔 것만 봐도 취급이 남다르다. 또한 개성 유수는 육조의 참판, 판서와 팔도의 관찰사를 역임한 이후에 가는 자리로 위상 자체가 관찰사보다 확실히 높았다.
정묘호란 전까지는 개성부가 유일한 유수부였으나, 양란 이후 조선 후기에 수도 방어 군사 요충지로 비상시 수도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시설이 요구되면서 강화부(1627년), 광주부(1683년 설치, 1690년 폐지, 1795년 재설치), 수원부(1793년), 춘천부(1888년)에 차례로 유수가 파견되었다. 원래 강화도호부, 광주목은 임진왜란 전후로 부윤급 부로 승격되었었는데, 강화부는 정묘호란 때 인조가 강화로 피신했다가 환도한 뒤 1627년 이후 강화행궁이 조성되면서, 광주부는 병자호란 때 인조가 피신한 남한산성 및 남한산성 행궁이 위치한 곳으로 수어청을 기반으로 숙종 때 잠깐 유수가 파견되었다가 정조 때 최종적으로 승격되면서 유수부가 되었다. 수원도호부는 수원화성 및 화성행궁 축조로, 춘천도호부는 임오군란으로 인해 수원부, 춘천부로 승격되어 유수가 파견되었다.
조선 후기에 지정된 유수부들은 각종 이변으로 수도 기능이 마비되었을 때를 대비하기 위해 설치되었기 때문에 주요 군사 시설과 함께 수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종 자료 보존 시설, 행궁과 같은 행정 시설을 갖추었다. 따라서 비상 시의 예비 수도라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의 유수부는 그 위상으로 치면 상위 행정구역을 두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현대 한국의 광역시와 비슷하지만, 지방 거점 도시라는 점에서는 아래의 부윤급 부들이 현 광역시에 더 부합한다. 또 사령부 소재지라는 측면도 있다. 따라서 현대와의 직접 비교는 다소 어려우나 일단 수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계획 도시라는 점, 지역 규모와는 무관하게 선정되었다는 점에서 특별자치시와 그나마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처음 유수가 설치된 것은 개성부였다. 이때까지만 해도 유수가 특별히 군사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던 것은 아니었고 단순히 옛 수도로서 건국 초 사실상 부수도의 역할을 수행했던 위상을 고려한 것이었다. 원래 조선 건국 초에 수도 기능이 남아있어 한성과 왕복하며 사용하던 개성을 유후사(留後司)라 하고 유후와 부유후를 두던 것을, 세종 대에 앞의 당나라와 송나라 사례를 들어 개성의 유후사를 부로, 유후를 유수로 고친 것이 시초였다.[2] 이후 경국대전에 명시되었다. 개성부 유수는 형식적으로 2인으로 1인은 경기 관찰사가 겸했으나, 경기 감영이 한성부 근처 돈의문 밖에 있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1인이었다. 사실상 경기 관찰사가 개성 유수에 묻어서 경관직 대우를 받는 모양새로, 덕분에 감영이 한성부 근처에 있으면서도 외관직이 되는 사태를 피할 수 있었다. 이후 설치된 모든 유수 파견 부도 마찬가지로 관찰사가 형식적으로 유수를 겸했다. 다른 행정구역의 경우 아래에서 보듯이 관찰사 겸직인 지역에서는 서윤이 실무를 관장했는데 개성부는 경기 관찰사를 위한 자리를 마련해 놓고도 원래 유수를 둔 것만 봐도 취급이 남다르다. 또한 개성 유수는 육조의 참판, 판서와 팔도의 관찰사를 역임한 이후에 가는 자리로 위상 자체가 관찰사보다 확실히 높았다.
정묘호란 전까지는 개성부가 유일한 유수부였으나, 양란 이후 조선 후기에 수도 방어 군사 요충지로 비상시 수도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시설이 요구되면서 강화부(1627년), 광주부(1683년 설치, 1690년 폐지, 1795년 재설치), 수원부(1793년), 춘천부(1888년)에 차례로 유수가 파견되었다. 원래 강화도호부, 광주목은 임진왜란 전후로 부윤급 부로 승격되었었는데, 강화부는 정묘호란 때 인조가 강화로 피신했다가 환도한 뒤 1627년 이후 강화행궁이 조성되면서, 광주부는 병자호란 때 인조가 피신한 남한산성 및 남한산성 행궁이 위치한 곳으로 수어청을 기반으로 숙종 때 잠깐 유수가 파견되었다가 정조 때 최종적으로 승격되면서 유수부가 되었다. 수원도호부는 수원화성 및 화성행궁 축조로, 춘천도호부는 임오군란으로 인해 수원부, 춘천부로 승격되어 유수가 파견되었다.
조선 후기에 지정된 유수부들은 각종 이변으로 수도 기능이 마비되었을 때를 대비하기 위해 설치되었기 때문에 주요 군사 시설과 함께 수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종 자료 보존 시설, 행궁과 같은 행정 시설을 갖추었다. 따라서 비상 시의 예비 수도라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의 유수부는 그 위상으로 치면 상위 행정구역을 두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현대 한국의 광역시와 비슷하지만, 지방 거점 도시라는 점에서는 아래의 부윤급 부들이 현 광역시에 더 부합한다. 또 사령부 소재지라는 측면도 있다. 따라서 현대와의 직접 비교는 다소 어려우나 일단 수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계획 도시라는 점, 지역 규모와는 무관하게 선정되었다는 점에서 특별자치시와 그나마 가깝다고 볼 수 있다.
2.2.3. 부윤[편집]
종2품 부윤(府尹)[3]이 파견된 지방의 부는 관찰사의 관할 구역에 포함된다. 조선 전기에는 경주부(1392), 평양부(1392), 전주부(1392), 함흥부(1406) 4곳이 있었는데, 이중 경주부(계림부)와 평양부는 한성부(한양부), 개성부와 함께 고려의 4경에서 이어져 오던 대도시였고, 고려 말 개편된 부라는 명칭을 조선 조에 들어서도 그대로 사용하였다. 조선 개창 직후 태조는 왕가인 전주 이씨의 (명목상) 어향(御鄕)인 전주목을 완산부로 승격시켰다. 이후 태종은 완산부를 전주부로 고치고 전주 이씨의 실제 고향인 함흥(함주목)을 함흥부로 승격시켰다.
이후 16세기 말 ~ 17세기 초 임진왜란 전후로 광주목, 의주목, 강화도호부가 승격되어 광주부(1577년), 의주부, 강화부가 되었다가, 강화부는 정묘호란 이후, 광주부는 숙종 시절 잠깐 유수부로 바뀌었다가 정조 때 유수 파견이 확정되었다. 이후 지방에는 5개 부(평양부, 경주부, 전주부, 함흥부, 의주부)가 조선 말까지 유지되었다. 각 도의 관찰사 역시 종2품으로 품계상으로는 부윤과 관찰사가 동급이었지만, 실제 행정 면에서는 명백히 도의 지휘 하에 있었다.
하지만 원래 평안도와 함경도에서만 그러던 것을 양란 이후 경기를 제외한 모든 관찰사가 감영 소재지 고을의 수령도 겸임하였기 때문에 이중에서 감영 소재지가 아니었던 경주를 제외하면 전주, 평양, 함흥 부윤은 각각 전라도, 평안도, 함경도 관찰사[4]가 겸임했다. 나머지 부윤들은 관찰사가 본직이고 부윤은 겸직이었기 때문에 조선 후기에 부윤이라는 관직명이 실제로 사용된 것은 경주 부윤이 유일했다. 관찰사와 부윤 겸직 체제가 유지되면서 이들 부에는 실질적으로 육방관속 중 이방을 겸임하는 종4품의 서윤(庶尹)을 두었다.[5] 이러한 겸임 체제는 부윤급 부만 이런 것이 아니고, 강원도 관찰사는 원주 목사, 황해도 관찰사는 해주 목사, 충청도 관찰사는 공주 목사, 경상도 관찰사는 대구 도호부사를 겸임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법제화되었다. 흔히 회자되는 '평양 감사(=관찰사)도 저 싫으면 그만'이라는 속담도 사실 '평안 감사'로 고쳐 불러야 옳은 게, 도지사에 해당하는 평안감사가 평양 부윤의 기능까지 겸했던 게 나중에 '평양 감사'로 와전되어버렸기 때문이다. 그래서 엄밀히 말하면 '평양 감사'는 틀린 말이고 평안 감사가 맞는 말이다.
1895년에는 23부제가 실시되고 팔도가 폐지되며, 여러 개의 군을 묶는 상위 행정구역의 이름으로 의미가 크게 바뀌었으며 이의 수장은 부장관(府長官)이라고 불렀다. 기존 부목군현들의 등급은 모두 군으로 통일되었다. 1년 뒤 13도제로 바뀌면서 부는 다시 도 아래의 행정구역으로 환원되었고, 현재의 시에 해당하는 행정 단위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모든 부의 장관이 윤(尹)으로 통일되었다. 이 경향은 일제강점기로도 이어졌다. 경성부, 평양부, 부산부처럼. 8.15 광복 이후 1949년 8월 15일에 모조리 시(市)로 바뀌었다.[6]
이후 16세기 말 ~ 17세기 초 임진왜란 전후로 광주목, 의주목, 강화도호부가 승격되어 광주부(1577년), 의주부, 강화부가 되었다가, 강화부는 정묘호란 이후, 광주부는 숙종 시절 잠깐 유수부로 바뀌었다가 정조 때 유수 파견이 확정되었다. 이후 지방에는 5개 부(평양부, 경주부, 전주부, 함흥부, 의주부)가 조선 말까지 유지되었다. 각 도의 관찰사 역시 종2품으로 품계상으로는 부윤과 관찰사가 동급이었지만, 실제 행정 면에서는 명백히 도의 지휘 하에 있었다.
하지만 원래 평안도와 함경도에서만 그러던 것을 양란 이후 경기를 제외한 모든 관찰사가 감영 소재지 고을의 수령도 겸임하였기 때문에 이중에서 감영 소재지가 아니었던 경주를 제외하면 전주, 평양, 함흥 부윤은 각각 전라도, 평안도, 함경도 관찰사[4]가 겸임했다. 나머지 부윤들은 관찰사가 본직이고 부윤은 겸직이었기 때문에 조선 후기에 부윤이라는 관직명이 실제로 사용된 것은 경주 부윤이 유일했다. 관찰사와 부윤 겸직 체제가 유지되면서 이들 부에는 실질적으로 육방관속 중 이방을 겸임하는 종4품의 서윤(庶尹)을 두었다.[5] 이러한 겸임 체제는 부윤급 부만 이런 것이 아니고, 강원도 관찰사는 원주 목사, 황해도 관찰사는 해주 목사, 충청도 관찰사는 공주 목사, 경상도 관찰사는 대구 도호부사를 겸임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법제화되었다. 흔히 회자되는 '평양 감사(=관찰사)도 저 싫으면 그만'이라는 속담도 사실 '평안 감사'로 고쳐 불러야 옳은 게, 도지사에 해당하는 평안감사가 평양 부윤의 기능까지 겸했던 게 나중에 '평양 감사'로 와전되어버렸기 때문이다. 그래서 엄밀히 말하면 '평양 감사'는 틀린 말이고 평안 감사가 맞는 말이다.
1895년에는 23부제가 실시되고 팔도가 폐지되며, 여러 개의 군을 묶는 상위 행정구역의 이름으로 의미가 크게 바뀌었으며 이의 수장은 부장관(府長官)이라고 불렀다. 기존 부목군현들의 등급은 모두 군으로 통일되었다. 1년 뒤 13도제로 바뀌면서 부는 다시 도 아래의 행정구역으로 환원되었고, 현재의 시에 해당하는 행정 단위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모든 부의 장관이 윤(尹)으로 통일되었다. 이 경향은 일제강점기로도 이어졌다. 경성부, 평양부, 부산부처럼. 8.15 광복 이후 1949년 8월 15일에 모조리 시(市)로 바뀌었다.[6]
2.2.4. 도호부[편집]
대도호부(大都護府)는 목사와 같은 정3품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가 다스렸다. 안동, 강릉, 영흥, 영변, 창원 5곳이 지정되었다.[7]
도호부(都護府)는 종3품 도호부사(都護府使)가 다스렸다. 안주, 북청]], 길주도호부사는 절도사가 겸임했다. 대도호부까지는 국가에서 별도로 분류한 지정 행정구역이지만, 도호부는 일반 행정구역으로 그냥 군의 인구가 많아지면 승격하는 식이라 그 수가 계속 증가하였다.
원래 도호부라는 명칭은 중국에서 새로 정복한 이민족을 통치하기 위해 변방에 둔 군정기구를 가리키는 것이었고, 도호부, 도독부 제도에서의 장은 도호, 도독이었다. 고려에서 이 제도를 모방하여 후삼국 호족 잔당 세력들이나 말갈 부락들의 요충지에 설치했다가 후에 삼국인들이 동화되며 일반 행정구역화되었고 현지화되면서 지방관도 도호부사로 불렸다. 이 명칭이 그대로 남아 조선시대에도 보편화되었다. 현 안동, 안변이 그때의 이름(안동도호부, 안변도호부)이 그대로 남은 것.
대도호부사와 도호부사는 대개 '부사(府使)'로 줄여 불렀다. 현 대한민국에서 '○○광역시장'을 줄여 그저 '○○시장'이라고 곧잘 통용하는 것과 비슷한 이치다. 마찬가지로 대도호부, 도호부 자체도 '부'로 줄여서 불렀다.
도호부(都護府)는 종3품 도호부사(都護府使)가 다스렸다. 안주, 북청]], 길주도호부사는 절도사가 겸임했다. 대도호부까지는 국가에서 별도로 분류한 지정 행정구역이지만, 도호부는 일반 행정구역으로 그냥 군의 인구가 많아지면 승격하는 식이라 그 수가 계속 증가하였다.
원래 도호부라는 명칭은 중국에서 새로 정복한 이민족을 통치하기 위해 변방에 둔 군정기구를 가리키는 것이었고, 도호부, 도독부 제도에서의 장은 도호, 도독이었다. 고려에서 이 제도를 모방하여 후삼국 호족 잔당 세력들이나 말갈 부락들의 요충지에 설치했다가 후에 삼국인들이 동화되며 일반 행정구역화되었고 현지화되면서 지방관도 도호부사로 불렸다. 이 명칭이 그대로 남아 조선시대에도 보편화되었다. 현 안동, 안변이 그때의 이름(안동도호부, 안변도호부)이 그대로 남은 것.
대도호부사와 도호부사는 대개 '부사(府使)'로 줄여 불렀다. 현 대한민국에서 '○○광역시장'을 줄여 그저 '○○시장'이라고 곧잘 통용하는 것과 비슷한 이치다. 마찬가지로 대도호부, 도호부 자체도 '부'로 줄여서 불렀다.
2.3. 부 부활 논의[편집]
현재 부 제도는 철폐되었지만, 1995년 지방자치제가 부활하면서 내무부 직할이라는 의미의 '직할시' 명칭이 지방자치제의 취지와 모순된다고 하여 개칭안으로 현행 '광역시'와 함께 '부'가 고려되기도 했다. 이 무렵의 논의를 보면 직할시의 이름을 일괄적으로 부로 바꾸는 방안과, 기존의 5대 직할시 중 부산과 인천만 중앙 정부 직할의 광역자치단체 지위를 유지하되, 직할시에서 부로 간판을 바꿔달고(부산직할시→부산부 등), 나머지 3대 직할시는 다시 격하시켜 원 소속도로 환원시키되 광역시라는 이름을 달게하는 방안(대구직할시→경상북도 대구광역시 등) 등이 거론되었다.
도 폐지론자들을 중심으로 부 행정구역을 부활시키자는 의견도 있다.
도 폐지론자들을 중심으로 부 행정구역을 부활시키자는 의견도 있다.
3. 일본[편집]
현재 일본의 경우 광역자치단체 이름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오사카부와 교토부가 있다. 도도부현 참고. 동양에서 부는 본래 주요 도시에 설치되는 것이어서 현재 한국의 광역시와 비슷했지만, 현재 일본에서는 패전 이후 제정된 지방자치법에 따라 일반 행정구역인 현과 동일한 법령을 적용받으며, 영어 명칭도 현과 같은 Prefecture를 쓴다. 그냥 좀 더 유서 깊은 도시였다는 상징성 정도만 남아있다. 설치 당시에는 부 산하의 중심도시는 원래 부지사 직속이었지만, 지금은 전부 해당 시의 시장이 관할하게 되었다. 오사카부 오사카시, 교토부 교토시처럼 말이다. 따라서 이 시들도 지금은 별도의 시장을 뽑는다.
오늘날의 도쿄도 또한 1943년 이전까지는 도쿄부였고, 23개 자치구로 이루어진 도쿄도 구부 지역은 도쿄부 도쿄시에 해당했다. 1943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도쿄부는 도쿄도로 전환, 도쿄부 도쿄시는 폐지 후 도쿄도 직할의 수많은 자치구로 전환되었다.
현재 일본의 부나 구한말 23부제의 부, 현대 한국의 도 폐지 개편안에서의 부는 영어로 Prefecture로 번역될 수 있지만, 일제강점기 조선의 부는 City로 번역되는 편이다. 일제강점기 당시 한반도의 부는 광역 행정구역이 아니라 도 산하의 일개 도시에 설정된 행정구역이었기에 Prefecture라고 보기 힘들었기 때문.
오늘날의 도쿄도 또한 1943년 이전까지는 도쿄부였고, 23개 자치구로 이루어진 도쿄도 구부 지역은 도쿄부 도쿄시에 해당했다. 1943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도쿄부는 도쿄도로 전환, 도쿄부 도쿄시는 폐지 후 도쿄도 직할의 수많은 자치구로 전환되었다.
현재 일본의 부나 구한말 23부제의 부, 현대 한국의 도 폐지 개편안에서의 부는 영어로 Prefecture로 번역될 수 있지만, 일제강점기 조선의 부는 City로 번역되는 편이다. 일제강점기 당시 한반도의 부는 광역 행정구역이 아니라 도 산하의 일개 도시에 설정된 행정구역이었기에 Prefecture라고 보기 힘들었기 때문.
4. 중국[편집]
명청대에 성 휘하의 행정구역으로 부가 설치되었으며, 하위 행정구역인 현보다는 한 단계 높은 행정구역이었기 때문에 현대의 지급시와 위상이나 기능이 비슷하였다. 청 말기까지 성의 하위 행정구역으로 기능하였으나, 청 말기부터 점진적으로 폐지되다가 중화민국 북양정부 시기인 1914년에 완전히 폐지되었고 새롭게 설치된 도(道)가 그 기능을 대신하였다.
[1] 각 주 중심지와 소경이 있었지만 이들은 대도시라서 분류했다기보단 구 고구려와 구 백제를 포용해 안고 가야 하는 통일신라가 시행한 지역안배의 성격이 크다. 구 삼국 영역마다 주는 3군데씩 소경은 2군데씩(구 신라 영역은 수도 경주 포함) 배정했기 때문[2] 개성에 대한 조선왕조의 특별대우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3] 윤(尹)이라는 관직이 현대인들에게는 워낙 생소한데, 윤은 과거 중국 한나라 군현제에서 수도권 지역 특별 행정구역 장관의 관직명인 동시에 행정구역명 그 자체로 쓰여 좌빙익과 우부풍 역시 관직명인 동시에 사실상 행정구역명이다. 낙양 관할지역은 하남윤, 장안 관할지역은 경조윤으로 편성되었다. 삼국시대 촉한, 오는 칭왕 혹은 칭제 이후에도 수도를 윤으로 편성하지 않고 모두 군으로 놔두었다. (촉한은 당연한 게 성도는 어디까지나 장안이나 낙양 수복 이전까지의 임시수도일 뿐이고, 오의 경우에는 후술할 원술 세력을 흡수하면서 피드백을 한 것으로 보인다. 아무리 한나라가 망조라고 하지만 선양이나 계승이 아닌 별개의 개념을 내세우는 건 여전히 반감을 부른다는 걸 감지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원술의 중나라는 본거지인 구강군을 회남윤으로 개칭하였다. 이후 한의 멸망을 거쳐 경조와 하남이 군 혹은 부로 편성되면서 윤은 행정구역명의 성격이 사라지고 관직명으로 남았다.[4] 조선 초 영안도 시절에는 감영이 영흥에 있었고 영안도 관찰사가 영흥 부윤을 겸임했다.[5] 목급 행정구역에서도 서윤이라는 직위가 있었다. 원래 이방은 아전으로 중인 신분이며 직위도 낮았지만, 서윤은 비록 실질적으로 이방을 겸임한다 해도 대도시의 실무를 관장하며 중앙 조정의 임명을 받는 엄연한 양반이었으며 양반가의 족보에도 당당히 관직이 올라갔다. 관찰사가 윤이나 부사를 겸임하는 도시에서는 서윤이 사실상 부정(府政)을 도맡았으며 이 때문에 특히 평양 서윤은 꽤 비중있는 자리였다. 한성부에도 서윤이 있었는데 한성 서윤은 그 위에 정2품 판윤과 3품의 좌윤, 우윤이 있어 평양 서윤만한 실세는 못 되었다. 다만 어쨌거나 경관직이라는 점에서는 평양 서윤보다 위상이 높았다. 더불어 함흥부의 경우는 판관이 최선임 전임직이었다.[6] 이에, 1949년 8월 14일에 읍에서 부로 승격된 수원, 김천, 포항, 순천, 여수는 단 하루만 '부'로 존재했다.[7] 안동은 정조 시기 정치적인 사건에 연루되어 대도호부에서 강등당한 전적이 있다. 영흥은 잠깐 부윤급 부였다가 감영이 다시 함흥부로 옮겨가면서 격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