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しん)(はこ)(だて)(ほく)()
Shin-Hakodate Hokuto Station

파일:JRH_Wlogo.svg
JR 홋카이도
신하코다테호쿠토역
시종착
주소
홋카이도 호쿠토시 이치노와타리1초메 1-1
北海道北斗市市渡1丁目1-1
역 운영기관
파일:JR 홋카이도 로고_light.svg파일:JR 홋카이도 로고_dark.svg
개업일
1902년 12월 10일
노선거리표
홋카이도 신칸센
신하코다테호쿠토
종점

삿포로 방면
신야쿠모
(미개통)
54.1 km →
하코다테 본선
신하코다테호쿠토
파일:신하코다테호쿠토역.jpg
역사
파일:Oshima-ono_201105.png
오시마오노역 시절 (2011년 5월)
1. 개요2. 역 및 승강장 구조3. 인접 정차역

1. 개요[편집]

기본 정보
[ 펼치기 · 접기 ]
역 구내도
파일:신하코다테호쿠토_구내도.jpg
시설 정보
지정석 발권기
자동발매기

(6:00~19:00)

(직원 통화 가능)
예약표 수령
화장실(안쪽)
화장실(바깥쪽)
×
Kitaca 정보
사용
충전
발매
역 등급
업무위탁역 (하코다테역 관리)
외부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JRH_Wlogo.svg
홋카이도 호쿠토시에 위치한 JR 홋카이도 홋카이도 신칸센하코다테 본선의 역이다.

개업 당시 역명은 '혼고역(本郷駅)'이었으며 1942년에 '오시마오노역(渡島大野駅)'으로 개칭되었다. 2016년 3월 26일 홋카이도 신칸센이 개통됨에 따라 '신하코다테호쿠토역'으로 개칭되었다. 가칭은 '신하코다테역'이었으며, 역명으로 '신하코다테' 혹은 '신하코다테호쿠토'를 주장하는 하코다테시와 '호쿠토하코다테'를 주장하는 호쿠토시가 갈등하다가 홋카이도 도청의 중재 하에 타협하여 신하코다테호쿠토가 되었다.

역 주변에는 소규모의 시가지가 조성되어 있고, 그 외 대부분은 숲 아니면 논밭이다.

여기서 하코다테까지는 하코다테 본선 하코다테역 기준으로 약 17km 떨어져 있다. JR 홋카이도는 하코다테역에서 이 역까지의 하코다테 본선 구간을 전철화[1]하고, 이 역에서 하코다테역까지 이어주는 하코다테 라이너를 투입하고 있다. 여기서 하코다테역까지는 17분(하코다테 라이너 쾌속)~29분(디젤동차) 걸린다. 그 외에도 하코다테 각지에서 신하코다테호쿠토역을 연결하는 시내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홋카이도 신칸센이 개통된 날에 맞춰 역 내에 북두의 권의 주인공 켄시로의 동상이 세워졌다.

하코다테본선 남쪽구간의 전철화 한계지점이다. 홋카이도 내 전철화구간은 여기서 오타루역이나 히가시무로란역까지는 올라가야 볼 수 있다.

현재 신칸센이 서는 역 중 최북단에 있는 역이나, 향후 삿포로역까지 연장되면 신오타루역에 자리를 넘겨주게 된다.

2. 역 및 승강장 구조[편집]

2면 3선식 승강장의 지상/고가역으로 양쪽 홈은 과선교로 연결되어 있다. 자세한 모습은 이곳을 참조. (pdf 파일)1,2번과 11번 승강장은 계단을 오르지 않고 환승 가능하다. 삿포로까지 개통해도 특별한 일이 없는 한 동일승강장 환승이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4
3
2
1
11
12
13
환승용
개찰구
종착역 (신야쿠모 ↓)
1
상행
2
하행
상행
하코다테 방면 <특급>
3·4
하행
오누마코엔 · 모리 · 오샤만베 방면 <보통>
상행
하코다테 방면 <보통>
11·12
상행
13
하행
미사용 승강장 (삿포로까지 연장시 사용)

3. 인접 정차역[편집]

[1] 홋카이도 신칸센이 삿포로까지 개통하면 하코다테 본선 구간은 병행재래선이 되어 JR 홋카이도에서 떨어져나가고 노선의 인근 지자체에서 영업을 떠맡게 된다. 지자체에서 이를 수용하는 조건으로 내건 게 하코다테 본선 구간의 전철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