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티베리우스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이름을 사용한 다른 인물에 대한 내용은 티베리우스(동명이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중간기
중간기
티베리우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로마 제국 제2대 황제
티베리우스
Tiberius
파일:티베리우스.webp
이름
티베리우스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
TIBERIVS CAESAR AVGVSTVS[1]
출생
기원전 42년 11월 16일
사망
37년 3월 16일 (향년 77세)[2][3]
로마 제국 미세눔
재위 기간
로마 황제
14년 9월 18일 ~ 37년 3월 16일
(22년 5개월 26일)
전임자
후임자
[ 펼치기 · 접기 ]
존호
티베리우스 카이사르, 디비 아우구스티 필리우스, 아우구스투스
TIBERIVS CAESARㆍDIVI AVGVSTI FILIVSㆍAVGVSTVS
TIBERIVS CLAVDIVS NERO[5]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
TIBERIVS IVLIVS CAESAR AVGVSTVS[6]
티베리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
배우자
빕사니아 아그리피나 (기원전 19년 결혼 / 기원전 11년 이혼)
대 율리아 (기원전 11년 결혼 / 기원전 2년 이혼)
자녀
게르마니쿠스(입양)
네로 카이사르(후원, 입양),
드루수스 카이사르(후원, 입양)
아버지
어머니
형제
공직 경력
칸타브리아 트리부누스 밀리툼(기원전 25년)
재무관(기원전 24년)
법무관(기원전 16년)
갈리아 총독(기원전 16년)
집정관 I(기원전 13년)
집정관 II(7년)
집정관 III(18년)[9]
집정관 IV(21년)[10]
집정관 V(31년)[11]
수여 권한
트리부니키아 포테스타스(기원전 6년 6월 26일 ~ 기원전 1년 6월 25일)[12]
트리부니키아 포테스타스(서기 4년 6월 26일 ~ 37년 3월 16일)[13]
임페라토르
VIII(기원전 9년, 기원전 8년, 서기 6년, 8년, 9년, 11년, 13년, 16년)
개선식
정규 개선식 I(12년 10월)
1. 개요

1. 개요[편집]

[1] 전임자인 양부 아우구스투스와 마찬가지로 율리우스 카이사르를 강조하지 않고, 단순히 카이사르라고 표기해 칭호로 사용했다.[2] 78번째 생일을 딱 8달 남기고 사망했다.[3] 77년 120일[4] 로마 원로원 회의록, 로마 공식 관보를 사료로 기록한 타키투스, 디오 카시우스의 표기에 의거.[5] 태어날 당시 본명[6] 아우구스투스의 정식 양자 입적 후의 공식 이름. 따라서 본인 역시 양자 입적 직후부터 모든 공문서, 사문서에 이 이름을 서명했고, 원로원 역시 그를 티베리우스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 또는 티베리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라고 부름.[7] 기원전 10년생. 고향은 이탈리아 북부 도시인 아퀼레이아로 대 율리아와의 사이에서 얻었다. 전체 이름은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로, 통칭인 티베릴루스는 아버지 티베리우스와 조부 아우구스투스에게 불린 통칭이며 애칭이다. 그 뜻은 '작은 티베리우스'를 뜻한다. 출생 이후 아버지 티베리우스에게 큰 기쁨을 줬으나 생후 6개월에 요절했다. 티베릴루스가 죽으면서 티베리우스, 대 율리아 부부의 대립과 리비아 드루실라, 대 율리아의 고부갈등, 아우구스투스와 대 율리아의 대립이 시작됐다고 한다.[8] 티베리우스의 의붓아들이자 조카로 대 율리아와 아그리파 사이에서 태어난 유복자. 아우구스투스에게 티베리우스가 양자 입적될 당시 같이 입양됐지만 아우구스투스에게 파양되고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가문에서 추방됨.[9] 게르마니쿠스와 함께 재임.[10] 드루수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함께 재임.[11] 세야누스를 숙청하기 위해 함께 취임한 뒤, 세야누스를 제거하자마자 사임.[12] 임기 5년 형태로 부여됐다.[13] 매년 갱신 형태의 종신 부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