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의 역사 | ||||||
|
1. 개요[편집]
네 황제의 해는 69년에 로마 제국에서 네 명의 황제가 연이어 즉위하며 극심한 정치적 혼란이 발생한 시기를 가리킨다. 이 해는 네 명의 황제가 차례로 권력을 장악하고 몰락하는 과정에서 내전과 반란이 격화되었으며, 로마 제국의 권력 구조가 급격하게 변화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 사건은 68년 네로 황제가 자결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갈바가 원로원의 지지를 받아 황제로 즉위하였으나, 그의 엄격한 통치와 재정 개혁이 군대와 시민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켜 69년 초 오토에 의해 살해당했다. 오토는 황제로 즉위하였으나, 이미 게르마니아 지역에서 비텔리우스가 황제를 자칭하며 군사를 일으킨 상황이었다. 결국 두 세력은 충돌하였고, 오토는 패배 후 자결하였다.
비텔리우스는 새로운 황제로 즉위하였지만, 그의 사치스러운 생활과 무능한 통치는 다시 로마 시민들과 군대의 불만을 초래하였다. 이에 제국의 동방에서 군사적 기반을 가진 베스파시아누스가 황제로 선포되었으며, 그의 군대가 로마로 진격하여 비텔리우스를 몰아내고 처형하였다. 결국 69년 말, 베스파시아누스가 새로운 황제로 자리 잡으며 플라비우스 왕조를 열었다.
네 황제의 해는 로마 제국이 황제 중심의 통치 체제로 완전히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군대의 충성심과 정치적 영향력이 더욱 강해지는 결과를 초래했다. 또한, 이 사건 이후 로마 제국은 플라비우스 왕조를 통해 비교적 안정된 통치 시기로 접어들었다.
이 사건은 68년 네로 황제가 자결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갈바가 원로원의 지지를 받아 황제로 즉위하였으나, 그의 엄격한 통치와 재정 개혁이 군대와 시민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켜 69년 초 오토에 의해 살해당했다. 오토는 황제로 즉위하였으나, 이미 게르마니아 지역에서 비텔리우스가 황제를 자칭하며 군사를 일으킨 상황이었다. 결국 두 세력은 충돌하였고, 오토는 패배 후 자결하였다.
비텔리우스는 새로운 황제로 즉위하였지만, 그의 사치스러운 생활과 무능한 통치는 다시 로마 시민들과 군대의 불만을 초래하였다. 이에 제국의 동방에서 군사적 기반을 가진 베스파시아누스가 황제로 선포되었으며, 그의 군대가 로마로 진격하여 비텔리우스를 몰아내고 처형하였다. 결국 69년 말, 베스파시아누스가 새로운 황제로 자리 잡으며 플라비우스 왕조를 열었다.
네 황제의 해는 로마 제국이 황제 중심의 통치 체제로 완전히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군대의 충성심과 정치적 영향력이 더욱 강해지는 결과를 초래했다. 또한, 이 사건 이후 로마 제국은 플라비우스 왕조를 통해 비교적 안정된 통치 시기로 접어들었다.
2. 역대 황제[편집]
3. 여담[편집]
7세기 동로마 제국의 이라클리오스 왕조에서도 한 해에 황제가 4명인 해가 있었는데, 본문과의 차이점은 집안 싸움(...)이었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