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자연 지형
[ 펼치기 · 접기 ]
하천 지형
해안 지형
해양 지형
건조 지형
빙하 지형
카르스트 지형
화산 지형
구조 지형
기타
1. 개요

1. 개요[편집]

감조하천은 바닷물의 밀물과 썰물 영향을 받는 하천을 말한다. 바닷물이 들어올 때 하천 하류로 바닷물이 밀려오고, 썰물이 되면 다시 빠져나가기 때문에 하천의 흐름이 바다의 조수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

보통 하천은 위에서 아래로 흐르지만, 감조하천에서는 밀물이 들어올 때 하천 물이 잠시 역류하기도 하며, 흐름이 느려지거나 물 높이가 상승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이러한 특징은 바다와 가까운 하천 하류에서 주로 나타나며, 바닷물의 영향을 받는 구간을 감조구간이라고 한다.

감조하천에서는 민물과 바닷물이 섞이기 때문에 염분이 일정하지 않고, 강 하류의 생물이나 식생도 일반적인 하천과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수위와 흐름이 수시로 변하므로, 배가 드나들거나 둑을 쌓는 데에도 조심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하구둑이 세워지기 전의 낙동강 하류, 금강 하구, 영산강 하구 같은 곳이 대표적인 감조하천이며, 이들 하천은 바다와 맞닿아 있으면서도 하천의 성격을 함께 가진 독특한 지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