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도시철도를 운영하는 교통 기관에 대한 내용은 인천교통공사 문서 참고하십시오.
인천 도시철도 Incheon Metro, 仁川 都市鐵道 | ||
개통년도 | ||
영업거리 | 71.4km | |
노선 수 | 4개 | |
역 수 | 65개 | |
운임제도 | ||
운행시간 | 오전 05:30~익일 오전 01:05, 총 19시간 35분[1] | |
연간 수송인원 | 1억 2,204만 명 | |
궤간 | 1435mm,1850mm | |
전기방식 | ||
집전방식 | ||
통행방향 | ||
운전보안 | ||
배차간격 | 3~12분[2] | |
차량수 | 438량 |
1. 개요[편집]
2. 인천 도시철도 노선 목록[편집]
인천교통공사, 인천국제공항공사에서 관할하며, 현재 개통된 노선은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삼산체육관 ~ 석남 구간[8],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9]로, 네 개이다. 인천광역시를 지나가는 다른 철도 노선, 즉 경인선(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며, 인천국제공항철도는 공항철도주식회사가 운영한다.
인천 도시철도의 운임은 1999년 첫 개통 당시부터 수도권 전철과 공유하여 왔다.[10][11]
인천 도시철도의 운임은 1999년 첫 개통 당시부터 수도권 전철과 공유하여 왔다.[10][11]
2.1. 운행 중인 노선[편집]
운행 중인 인천 도시철도 노선 | ||||||||
노선색 | 운행계통 | 총 길이 | 세부 노선명 | 최초 개통일 | 기점 | 종점 | 소유자 | 운영자 |
연청 | 30.2km | |||||||
연주황 | 29.1km | |||||||
올리브색 | 6.6km | |||||||
노랑 | 6.1km |
2.2. 공사 중인 노선[편집]
2.3. 계획이나 설계 중인 노선[편집]
계획이나 설계 중인 인천 도시철도 노선 | ||||||||
노선색 | 운행계통 | 세부 노선명 | 길이 | 기점 | 종점 | 소유자 | 운영자 | 개통예정일 |
연청 | 3.07km | 미정 | ||||||
연주황 | 검단지선 | 4.45km | ||||||
14.69km | 미정 | |||||||
미정 | ??.?km | 미정[12] | ||||||
연두 | 13.72km | |||||||
빨강 | 23.05km | 미정 | 미정 | 미정 | ||||
파랑 | 10.95km | 미정 | 미정 | 미정 | ||||
18.98km | 미정 | 미정 | 미정 |
가장 큰 문제는 역시 2호선이 경전철로 저 연장계획을 버틸 수 있는가이다. 아무리 지선으로 운용된다 하더라도 2호선의 길이가 50km 가까이로 길어지는데, 경전철로 이 운행거리를 커버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일산신도시에서 김포를 지나 검단, 검암역, 루원시티, 석남, 주안역, 시청, 인천대공원, 시흥시, 광명시를 잇는 노선이 경전철이라면 가축수송이 될 것이 뻔하다. 따라서 경전철 편성의 변경이 불가피한데, 인천 2호선은 건설 당시부터 병결 운행 혹은 4량 1편성 운행을 고려하여 설계되어 있으므로, 인천광역시에서 차량만 발주하면 언제든 4량 운행이 가능하다. 이는 대도시의 주 간선노선으로 건설된 인천 2호선이 타 경전철과 다른 점이다.
2023.02.13. 입찰공고번호 20230217522-00 "제2차 인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수립용역"이 나라장터에 공고 중이다. (과업수행기간 30개월, 시간적 범위 2026~2035)
=== 폐기된 노선 ===
=== 폐기된 노선 ===
자세한 내용은 인천 도시철도 송도트램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영종트램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주안송도선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제물포연안부두선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부평연안부두선 문서 참고하십시오.
또한 명칭이 인천 도시철도임에도 불구하고 인천 1·2호선, 서울 7호선, 자기부상선 모두 인천역을 지나지 않는다. 이는 인천이 행정구역이 지속적으로 확장되는 과정에서 인천역이 지역의 중심에서 벗어났기 때문이다. 인천항 일대만 인천 시가지였던 1945년 해방 이전까지는 정말로 인천역이 인천의 중심이었지만[20] 인천이 발전하면서 다핵도시로 바뀐 현재는 부평역이 사실상 인천의 관문역이 됐다. 부평역은 서울과 인천을 이어주는 간선철도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인천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이 만나고, 여객열차가 운행하지 않는 인천광역시에서 그나마 일반 여객열차와 비슷한 포지션을 맡고 있는 경인선 특급·급행열차가 인천 진입 후 처음으로 정차하는 역이자 인천광역시 관내에서 이용객이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21]
[1] 수도권 전철 중에서도 종착역행 막차 시간이 늦은 편이다. [2] 1호선 4~8분, 2호선 3~6분, 7호선 4~12분[3] 인천교통공사 관할 외 인천 지역의 다른 철도 대중교통까지 포함되어 있다.[4] 2022년 기준. 까치울-상동 구간은 부천구간으로 인천 도시철도에 해당하지 않지만, 인천교통공사가 수탁 운영중에 있어 노선도에 표기하였다.[5] 사진에 오류가 있는데 7호선은 앞에 I가 붙지 않는다.[6] 2022년 기준.[7] 급행·특급 계통이 상시 운행되는 노선, 다른 광역철도와 병주운행하는 노선, 별도의 유료 등급이 운행되는 노선, 번호 노선인 경전철, 도시철도 간 직통운행하는 노선, 중형 전동차로 운행하는 노선, 자기부상열차, 궤도운송수단 등.[8] 이 구간을 인천교통공사가 운영하게 되면서 인천 북부 횡축 교통을 담당하는 인천 지하철 3호선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9] 인천광역시 관내에서 운행하며 도시철도법이 적용되는 인천 도시철도 노선이다. 다만 운영사는 인천교통공사가 아닌 인천국제공항공사이다.[10] 정액권 시절부터 인천지하철, 서울지하철/서울도시철도, 철도청 노선 간 호환 사용이 가능했고, 환승 게이트와 같은 제 2의 분리장치 없이 운임구역을 완벽하게 공유하였다. 그런데 요금체계가 완전 별개로 아는 사람들이 많아서 당시 정기권에는 "훼손된 승차권은 수도권 전철 모든 역에서 교환 가능"이라는 문구가 써져있었다.[11] 예외로, 자기부상철도는 전 구간 무료이다.[12] 2040년경 예정[13] 한때 인천시는 구획 내부에 철도가 관통하지 않았던 청라 지역에 7호선 연장 대신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청라지선을 검토한 바 있었지만 청라지역 주민들의 강력한 반발과 수도권 전철 7호선 연장 요구로 무산되었다.[14] 현재 일반철도인 제2공항철도로 재추진중.[15] 수도권 전철이었다면 インチョンターミナル이라고만 표기하고, 그렇게 읽었을 것이다.[16] 까치울~석남.[17] 1호선은 국제업무지구행, 송도달빛축제공원행, 동막행, 예술회관행, 2호선은 운연행 7호선은 석남행.[18] 부산 도시철도 전동차 진입음도 뱃고동과 갈매기 소리지만 인천 도시철도에서 나는 소리의 톤이 낮다.[19] 1호선은 계양행, 박촌행, 신연수행, 2호선은 검단오류행, 7호선은 장암행, 도봉산행, 수락산행, 태릉입구행, 청담행, 내방행, 온수행.[20] 현재 인천의 서쪽 끄트머리에 있는 동인천역이 '동'인천역인 이유 또한 동인천역 일대인 인현동, 송현동 쪽이 당시 인천 시가지의 동쪽 끝이었기 때문이다.[21] 다만 2025년부터 인천발 KTX가 운행함에 따라 부평역이 가지고 있는 인천의 관문역이라는 타이틀을 KTX 시발역인 송도역이 넘겨받을 예정이다. 인천시는 인천발 KTX의 인천역 연장 추진을 위한 용역을 준비 중이나, 실현 가능성은 미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