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일본/역사
,
,
,
,
[ 정치·군사 ]
[ 역사 ]
[ 사회·경제 ]
경제
지리
사회
언어
과학기술
교육
교통
[ 문화 ]
예술
음식
전통문화
종교 및 신화
스포츠
서브컬처
기타
1. 개요2. 정치, 군사, 외교
2.1. 조정2.2. 막부2.3.
3. 역사
3.1. 겐로쿠 시대3.2. 말기
4. 사회/문화
4.1. 민족4.2. 언어4.3. 문자4.4. 종교 및 사상
4.4.1. 신토4.4.2. 불교4.4.3. 유교4.4.4. 키리시탄(가톨릭)
4.5. 식문화4.6. 과학기술4.7. 예술
4.7.1. 미술4.7.2. 도자기4.7.3. 공연
4.8. 성문화
5. 경제6. 창작물에서의 에도 시대

1. 개요[편집]

에도 막부가 수립된 1603년부터 1868년 막부가 멸망할 때까지를 가리키는 일본사의 시대.

에도는 현재 일본의 수도 도쿄의 옛 이름인데, 에도 시대 일본의 공식적인 수도는 교토였지만, 도쿄가 사실상의 수도로 부상하게 된 시기가 바로 에도 시대였다.

2. 정치, 군사, 외교[편집]

2.1. 조정[편집]

천황과 공경들로 구성된 공식적인 일본의 중앙정부.

그러나 에도 막부에게 실권을 빼앗겨서 사실상 허수아비였다.

2.2. 막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도 막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조정 대신 일본을 통치한 사실상의 중앙정부.

정이대장군(쇼군)은 천황 대신 사실상 일본의 군주로서 통치했으며, 대외적으로 일본을 대표하여 외교를 전담하는 기관 역시 막부였다.

따라서 에도 시대 일본의 대외관계 역시 에도 막부 문서를 참고하도록 하자.

2.3. [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번(일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다이묘들이 다스리던 비공식적 지방정부.

에도 시대 일본에서도 공식적인 지방 행정구역은 고대 율령제 시기에 설치된 국(쿠니)였으나, 실질적으로는 세습 다이묘들이 사적으로 소유한 영지인 이 지방정부 역할을 했다.

3. 역사[편집]

3.1. 겐로쿠 시대[편집]

3.2. 말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막말(일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사회/문화[편집]

4.1. 민족[편집]

4.2. 언어[편집]

4.3. 문자[편집]

4.4. 종교 및 사상[편집]

4.4.1. 신토[편집]

4.4.2. 불교[편집]

4.4.3. 유교[편집]

4.4.4. 키리시탄(가톨릭)[편집]

막부의 탄압으로 인해 지하로 숨어들어 카쿠레키리시탄으로 연명했다.

4.5. 식문화[편집]

4.6. 과학기술[편집]

4.7. 예술[편집]

4.7.1. 미술[편집]

우키요에가 발달했다.

4.7.2. 도자기[편집]

4.7.3. 공연[편집]

가부키를 비롯한 일본 특유의 공연예술 장르가 본격적으로 발달했다.

4.8. 성문화[편집]

5. 경제[편집]

6. 창작물에서의 에도 시대[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