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판 구조론의
[ 펼치기 · 접기 ]
주요 판들
소판
주요판 및 소판에 속한 미소판 목록
아프리카판
남극판
호주판
카리브판
코코스판
유라시아판
나스카판
북아메리카판
태평양판
필리핀해판
스코샤판
소말리아판
남아메리카판
양쯔판
Yangtze plate
파일:YangtzePlate.png
양쯔판의 지도
분류
소판
형태
대륙판과 해양판 혼합
면적
약 2,000,000 km²
최고점
2,142m[1]
최저점
알 수 없음
운동 방향
남동 방향 15mm/년
주요 경계
홍하 단층 등
1. 개요2. 지질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양쯔판(Yangtze Plate)은 중국 남부와 대만 일부를 포함하는 소판으로, 중국 양쯔강(长江) 유역에 걸쳐 있어 명명되었다. 면적은 약 2,000,000 km² 정도이며, 북쪽과 서쪽은 유라시아판과 함께 아무르판과 경계를 이루고, 동쪽은 동중국해-오키나와 분지에서 오키나와판과, 남쪽은 순다판필리핀 해판과 접한다.

양쯔판은 흔히 화남블록(South China Block)으로 불리며, 주로 대륙지각으로 구성된 판이다. 중국의 양쯔강 중하류 평원, 쓰촨 분지, 그리고 대만 서부 등이 이 판에 속한다. 판 내부는 비교적 안정적이지만, 북서쪽 변두리는 과거 판내 충돌로 형성된 산맥 지형[3]이 있다. 판 전체가 동남쪽 방향으로 완만히 회전·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양쯔판의 북서쪽 경계는 중국 내륙의 롱먼산 단층대(Longmenshan Fault)로, 이곳에서 2008년 쓰촨(원촨) 대지진(Mw 7.9)이 발생하여 양쯔판과 유라시아판의 충돌 응력이 드러났다. 남쪽 경계는 베트남-남중국해 부근의 홍하 단층대로, 순다판과의 사이에서 좌수향 변환 운동이 나타난다. 동쪽으로는 대만 인근에서 양쯔판 조각과 필리핀해판오키나와판이 만나는 복잡한 경계를 이루며, 이곳에 충돌대가 형성되어 대만 산지를 만들고 잦은 지진이 발생한다. 양쯔판 내부는 큰 활동이 없으나, 판 남동부 연안 지역(예: 광둥성)에서 미소 지진이 산발적으로 보고된다.

양쯔판에는 중국의 중남부 지역[4]과 대만 섬 서부가 포함된다. 판 경계 지형으로는 쓰촨 분지 가장자리의 롱먼산맥(2008년 지진 발생지), 남중국해 북부의 오키나와 해곡 및 타이완 충돌대, 그리고 중국-베트남 접경의 홍하 단층이 있다. 판 내부에는 양쯔강 유역 평원과 융귀(楊貴) 고원 등이 포함된다.

양쯔판은 선캄브리아대에 독립된 미대륙이었던 로디니아 초대륙의 조각으로 여겨지며, 약 7억 5천만 년 전에 로디니아가 분리될 때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다른 북중국 지괴와 충돌·융합하여 오늘날의 중국 대륙을 형성하였다. 현대에 와서도 양쯔판과 주변 판의 경계에서는 1976년 탕산 대지진, 2008년 쓰촨 지진 등 거대 재해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판 내부에서도 응력 집중 지역에서는 대규모 지진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양쯔판과 아무르판의 경계부인 중국 동부 탄루 단층대 등의 활동도 지속적으로 관측되고 있어, 동아시아 대륙판 조각들의 미세한 운동은 현재 진행형이다.

2. 지질[편집]

양쯔판은 아시아 대륙 내부에서 가장 안정적인 강괴 가운데 하나로 알려져 있다. 북쪽으로는 북중국 강괴, 남서쪽으로는 인도판, 동쪽으로는 필리핀해판과 접하며, 이들 판과의 오랜 상호작용을 통해 복잡한 단층대와 판 경계 구조가 형성되었다. 현재도 일부 지역에서는 단층 운동과 연약권 변형이 지속되고 있으며, 과거 수십 억 년에 걸친 지질 활동의 흔적이 뚜렷하게 남아 있다.

양쯔판의 북쪽 경계에는 탄루 단층대가 위치해 있으며, 이 단층대는 북중국 강괴와의 고대 판 경계를 따라 형성된 구조다. 지각의 열적 약화와 기계적 변형이 집중되는 이 지역은 대륙 내부에서 지진 활동이 활발히 일어날 가능성이 큰 곳으로 평가된다. 오랜 시간 축적된 변형대의 구조는 판 충돌과 그로 인한 응력 분포의 방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질 단서로 작용한다.

양쯔판의 지질학적 역사는 선캄브리아기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장난 지향사대와 남중국 지대에서의 암석 분석을 통해, 양쯔판의 지각은 10억 년 이상 된 기원을 지닌 것으로 밝혀졌으며, 고생대 이전부터 여러 차례의 판 충돌과 조산 운동을 경험해왔다. 이러한 지질 작용은 지각의 두께와 구성뿐 아니라, 이후의 변성 작용과 구조적 재편성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 약 7억 년 전에는 섭입된 판의 일부가 하부 맨틀에서 파괴되면서 열이 상승하고 화산 활동이 촉진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신원생대 동안 광범위한 화성 작용이 발생하였다.

열 구조 측면에서 양쯔판은 지구 전역에서 가장 낮은 열류 밀도를 가진 안정 지각 중 하나로 분류된다. 이는 깊고 두터운 암권에 기인하며, 지열 유동이 제한되고 마그마 활동도 극히 낮은 특성을 보인다. 최근의 열 구조 예측 연구에서는 양쯔판의 대부분 지역이 열적으로 매우 안정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지각 운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지질학적 정체성의 근거가 된다. 그러나 양쯔판 하부는 여전히 외부 판들과의 상호작용 영향을 받고 있다. 인도판이 동쪽으로 섭입하면서 티베트 고원과 양쯔판 경계의 하부 암권에는 연약권이 형성되었고, 이는 지진 활동과 내부 변형을 유도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판 경계에서의 화성 작용은 광물 자원의 형성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양쯔판 경계 지대에서는 지각 충돌과 마그마 상승에 따라 수열 작용이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이로 인해 금을 비롯한 광물 자원이 집중적으로 매장되었다. 미캉산 지역에서 진행된 연구는 특히 이러한 지질 작용이 금광의 생성 과정과 깊은 연관이 있음을 보여준다.

현대에 들어서도 양쯔판은 여전히 천천히 변화하고 있다. 신생대 이후 필리핀해판이 양쯔판 하부로 섭입하면서, 동부 지역의 암권이 부분적으로 용융되고 지각의 확장 현상이 관측되었다. 이로 인해 본래 안정된 강괴였던 양쯔판의 동부 지역은 열적·구조적으로 약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일부 지점에서는 지열 자원 분포와 마그마 활동에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양쯔판은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안정된 강괴 구조를 바탕으로, 대륙 내부의 지질 구조와 진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외부 판과의 경계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지각 변형은 지진과 자원 형성의 원인으로 작용하며, 과거의 변형 흔적은 현재와 미래의 지질 활동을 예측하는 데 핵심적인 자료가 된다. 이처럼 양쯔판은 고지질학적 역사와 현대 지구조 운동이 겹쳐지는 복합적 공간으로, 지질학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연구 대상으로 평가된다.

3. 관련 문서[편집]

[1] 고양이 산[2] (Kitten Mountain,중국어: 猫儿山)[2] 뭐라고 발음해야하는 지 못찾음[3] 친링 산맥 등[4] 쓰촨성, 후베이성, 후난성, 장쑤성, 저장성, 광둥성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