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 구조론의 판 | |||||||||||||||||||||||||||||||||
|
코코스판 Cocos plate | |
![]() | |
코코스판의 지도 | |
분류 | 소판 |
형태 | 해양판 |
면적 | 약 2,900,000 km² |
최고점 | 알 수 없음 |
최저점 | -6,669m[1] |
운동 방향 | 북동 방향 67 mm/년 |
주요 경계 |
1. 개요[편집]
코코스판(Cocos Plate)은 중앙아메리카 서쪽의 동태평양 해저에 위치한 작은 해양판으로, 면적은 약 290만km²이다. 북쪽으로는 북아메리카판[2]과 접하며, 동쪽으로는 멕시코-중미 해구를 따라 북아메리카판 및 카리브판 아래로 섭입한다. 남쪽으로는 갈라파고스 삼중 접합부 부근에서 나스카판과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서쪽 경계는 동태평양 해령을 따라 태평양판과 구분된다.
코코스판은 전역이 해양 지각으로 이루어진 비교적 젊은 해양판으로, 약 2천3백만 년 전에 형성되었다. 과거 거대한 파랄론판이 분리되면서 형성된 잔존 판으로 여겨지며, 현재도 동태평양 해령에서 새로운 지각을 생산하며 동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코코스판의 가장 큰 특징은 동쪽 경계에서의 섭입 활동이다. 코코스판이 북아메리카판 및 카리브판 아래로 빠르게 밀려들어가면서 멕시코와 중앙아메리카에 연쇄적인 화산대를 형성하고 빈번한 지진을 유발한다. 멕시코 화산대와 과테말라-코스타리카 화산호는 이러한 섭입 활동의 결과이며, 그코코스판은 전역이 해양 지각으로 이루어진 비교적 젊은 해양판으로, 약 2,300만 년 전에 형성되었다. 과거 거대한 파랄론판이 분리되면서 형성된 잔존 판으로 여겨지며, 현재도 동태평양 해령에서 새로운 지각을 생산하며 동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코코스판의 가장 큰 특징은 동쪽 경계에서의 섭입 활동이다. 코코스판이 북아메리카판 및 카리브판 아래로 빠르게 밀려들어가면서 멕시코와 중앙아메리카에 연쇄적인 화산대를 형성하고 빈번한 지진을 유발한다. 멕시코 화산대와 과테말라-코스타리카 화산호는 이러한 섭입 활동의 결과이며, 화산의 탄생이 최초로 관찰된 것으로 유명하며, 또는 옥수수밭 화산으로도 불리는 파리쿠틴 산도 여기에 포함된다.
코코스판 자체에는 육상 영토가 없지만, 이 판의 섭입 영향을 받는 국가로는 멕시코, 과테말라, 엘살바도르, 코스타리카, 파나마 등이 있다. 판의 이름은 코스타리카령 코코스 섬에서 유래했으며, 북부에는 멕시코 앞바다의 리베라판이 인접해 있다. 주요 지형으로는 중앙아메리카 해구(코코스판과 카리브판 및 북아메리카판의 경계), 동태평양 해령(코코스판과 태평양판의 경계), 그리고 갈라파고스 열점에 의해 형성된 해산 및 갈라파고스 제도 북쪽 일부가 포함된다.
코코스판은 규모가 작은 판임에도 불구하고 지진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섭입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단층 미끄럼 주기가 짧아 큰 지진이 자주 발생하며, 이에 따라 중앙아메리카 지역은 세계에서 지진위험도가 높은 곳 중 하나로 꼽힌다. 또한, 코코스판은 생성(동태평양 해령)에서 소멸(섭입대)까지의 거리가 짧아 해양판의 수명이 상대적으로 짧은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판구조론의 물질 순환 연구에서 중요한 사례로 언급된다.
코코스판은 전역이 해양 지각으로 이루어진 비교적 젊은 해양판으로, 약 2천3백만 년 전에 형성되었다. 과거 거대한 파랄론판이 분리되면서 형성된 잔존 판으로 여겨지며, 현재도 동태평양 해령에서 새로운 지각을 생산하며 동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코코스판의 가장 큰 특징은 동쪽 경계에서의 섭입 활동이다. 코코스판이 북아메리카판 및 카리브판 아래로 빠르게 밀려들어가면서 멕시코와 중앙아메리카에 연쇄적인 화산대를 형성하고 빈번한 지진을 유발한다. 멕시코 화산대와 과테말라-코스타리카 화산호는 이러한 섭입 활동의 결과이며, 그코코스판은 전역이 해양 지각으로 이루어진 비교적 젊은 해양판으로, 약 2,300만 년 전에 형성되었다. 과거 거대한 파랄론판이 분리되면서 형성된 잔존 판으로 여겨지며, 현재도 동태평양 해령에서 새로운 지각을 생산하며 동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코코스판의 가장 큰 특징은 동쪽 경계에서의 섭입 활동이다. 코코스판이 북아메리카판 및 카리브판 아래로 빠르게 밀려들어가면서 멕시코와 중앙아메리카에 연쇄적인 화산대를 형성하고 빈번한 지진을 유발한다. 멕시코 화산대와 과테말라-코스타리카 화산호는 이러한 섭입 활동의 결과이며, 화산의 탄생이 최초로 관찰된 것으로 유명하며, 또는 옥수수밭 화산으로도 불리는 파리쿠틴 산도 여기에 포함된다.
코코스판 자체에는 육상 영토가 없지만, 이 판의 섭입 영향을 받는 국가로는 멕시코, 과테말라, 엘살바도르, 코스타리카, 파나마 등이 있다. 판의 이름은 코스타리카령 코코스 섬에서 유래했으며, 북부에는 멕시코 앞바다의 리베라판이 인접해 있다. 주요 지형으로는 중앙아메리카 해구(코코스판과 카리브판 및 북아메리카판의 경계), 동태평양 해령(코코스판과 태평양판의 경계), 그리고 갈라파고스 열점에 의해 형성된 해산 및 갈라파고스 제도 북쪽 일부가 포함된다.
코코스판은 규모가 작은 판임에도 불구하고 지진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섭입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단층 미끄럼 주기가 짧아 큰 지진이 자주 발생하며, 이에 따라 중앙아메리카 지역은 세계에서 지진위험도가 높은 곳 중 하나로 꼽힌다. 또한, 코코스판은 생성(동태평양 해령)에서 소멸(섭입대)까지의 거리가 짧아 해양판의 수명이 상대적으로 짧은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판구조론의 물질 순환 연구에서 중요한 사례로 언급된다.
2. 지질[편집]
코코스판은 동태평양 해령과 코코스 해령을 따라 해저 확장으로 형성되었으며, 이 지역은 지질학자들이 코코스-나스카 확장 중심이라고 부르는 복잡한 판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동태평양 해령에서 생성된 코코스판은 동쪽으로 이동하며,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카리브판 아래로 밀려 들어가거나 끌려가면서 섭입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판의 선단부가 높은 압력과 온도에 의해 가열되며, 방출된 수분이 상부 맨틀의 연약권에서 맨틀 암석을 부분적으로 용융시켜 마그마를 형성한다. 생성된 마그마는 지각을 따라 상승하며, 초고온의 물과 함께 강한 압력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의 결과로 코코스판이 섭입되는 북동쪽 지역에는 중앙아메리카 화산호가 형성되었으며, 이 화산대는 코스타리카에서 과테말라까지 이어지는 연속적인 화산 지대를 구성한다. 또한, 이 지역에는 멕시코 북부까지 확장되는 지진 활동대가 존재하며, 이는 코코스판의 지속적인 섭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코코스판은 주변 판들과의 경계를 통해 다양한 지질학적 특징을 보인다. 북쪽으로는 중미 해구에서 북아메리카판과 카리브판 아래로 섭입되며, 동쪽으로는 파나마 단층대를 따라 카리브판과 접하고 있다. 남쪽으로는 코코스-나스카 확장 중심에서 나스카판과 경계를 이루며, 서쪽에서는 동태평양 해령을 따라 태평양판과 접하면서 지속적으로 새로운 해양 지각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함께, 코코스판의 서쪽에는 갈라파고스 열점이 존재하며, 이 지역에서 해양 지각이 이동하면서 갈라파고스 제도가 형성되었다. 갈라파고스 열점은 갈라파고스 상승대을 따라 위치하고 있으며, 이곳에는 갈라파고스판이라는 작은 미소판이 존재한다.
코코스판의 북쪽에는 리베라판이 자리하고 있으며, 이 판은 약 500만에서 1,000만 년 전 코코스판에서 분리된 것으로 추정된다. 두 판 사이에는 명확한 변환 단층이 존재하지 않지만, 구조적으로 독립적인 움직임을 보이며 미소판으로 간주된다. 리베라판 역시 코코스판과 마찬가지로 중미 해구에서 섭입 과정을 거치며, 멕시코 서부 해안에서 지진 활동을 유발하는 주요한 지질구조 요소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코코스판의 섭입은 중미와 멕시코 지역에서 강력한 지진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대표적인 사례로 1985년 멕시코시티 대지진이 있으며, 이는 판이 북아메리카판 아래로 섭입하면서 발생한 강진으로 멕시코시티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했다. 또한, 2017년 치아파스 지진 역시 같은 판 구조로 인해 발생한 강진으로 기록되었다. 한편, 2001년 엘살바도르 지진은 1월과 2월에 연이어 발생했으며, 이 역시 코코스판이 카리브판 아래로 섭입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단층대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처럼 코코스판의 움직임은 중앙아메리카와 멕시코 지역의 화산 활동과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판의 지속적인 이동과 섭입 과정은 이 지역의 지질학적 특징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코코스판은 주변 판들과의 경계를 통해 다양한 지질학적 특징을 보인다. 북쪽으로는 중미 해구에서 북아메리카판과 카리브판 아래로 섭입되며, 동쪽으로는 파나마 단층대를 따라 카리브판과 접하고 있다. 남쪽으로는 코코스-나스카 확장 중심에서 나스카판과 경계를 이루며, 서쪽에서는 동태평양 해령을 따라 태평양판과 접하면서 지속적으로 새로운 해양 지각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함께, 코코스판의 서쪽에는 갈라파고스 열점이 존재하며, 이 지역에서 해양 지각이 이동하면서 갈라파고스 제도가 형성되었다. 갈라파고스 열점은 갈라파고스 상승대을 따라 위치하고 있으며, 이곳에는 갈라파고스판이라는 작은 미소판이 존재한다.
코코스판의 북쪽에는 리베라판이 자리하고 있으며, 이 판은 약 500만에서 1,000만 년 전 코코스판에서 분리된 것으로 추정된다. 두 판 사이에는 명확한 변환 단층이 존재하지 않지만, 구조적으로 독립적인 움직임을 보이며 미소판으로 간주된다. 리베라판 역시 코코스판과 마찬가지로 중미 해구에서 섭입 과정을 거치며, 멕시코 서부 해안에서 지진 활동을 유발하는 주요한 지질구조 요소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코코스판의 섭입은 중미와 멕시코 지역에서 강력한 지진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대표적인 사례로 1985년 멕시코시티 대지진이 있으며, 이는 판이 북아메리카판 아래로 섭입하면서 발생한 강진으로 멕시코시티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했다. 또한, 2017년 치아파스 지진 역시 같은 판 구조로 인해 발생한 강진으로 기록되었다. 한편, 2001년 엘살바도르 지진은 1월과 2월에 연이어 발생했으며, 이 역시 코코스판이 카리브판 아래로 섭입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단층대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처럼 코코스판의 움직임은 중앙아메리카와 멕시코 지역의 화산 활동과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판의 지속적인 이동과 섭입 과정은 이 지역의 지질학적 특징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