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 구조론의 판 | |||||||||||||||||||||||||||||||||
|
1. 개요[편집]
동남극판은 지구의 주요 지각 판 중 하나로, 남극 대륙의 동부를 차지하는 거대한 판이다. 이 판은 주로 안정 지괴로 이루어져 있어 지각 활동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며, 주변 판들과의 경계에서 매우 느리게 이동한다.
2. 주요 경계[편집]
3. 지질학적 특징[편집]
동남극판은 아주 오래된 암석으로 이루어진 대륙 지각을 포함하고 있으며, 두꺼운 빙하층으로 덮여 있어 직접적인 지질 조사가 어렵다. 이 판은 원래 로디니아 초대륙의 일부로 형성된 후, 이후 곤드와나 초대륙의 중심부를 이루었으며,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마다가스카르 등과 함께 하나의 대륙 덩어리를 형성했다. 곤드와나가 해체되면서 현재의 동남극판으로 분리되었으며, 주로 안정적인 지괴와 두꺼운 대륙 지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4. 기후 변화와 지각 반응[편집]
동남극판은 현재 안정적인 판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나,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한 빙하 감소가 지각에 미치는 영향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빙하가 줄어들면 지각이 반응하여 빙하 후퇴 반동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빙하의 무게가 감소하면서 지각이 서서히 융기하는 과정으로, 장기적으로 지형 변화와 미세한 지각 운동을 유발할 수 있으며, 위성 측정을 통해 동남극판의 미세한 판 운동과 지각 변형이 연구되고 있다. 이는 남극의 기후 변화, 빙상 변화, 그리고 과거 초대륙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