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열점 지역 | ||||||||||||||||
|
1. 개요[편집]
하이난 화산 지대는 중국 하이난 섬 북부를 덮고 있는 화산 지대로, 약 4,100km²에 걸쳐 분포한다. 주로 플라이스토세(Pleistocene)와 홀로세(Holocene) 시대에 형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까지도 일부 화산 활동이 보고되었다. 특히, 19세기와 20세기에 소규모 분화가 기록된 바 있어, 완전히 비활성화된 화산 지대가 아니라는 점이 주목된다.
2. 화산 지형과 구조[편집]
하이난 화산 지대에는 플라이스토세-홀로세 시대에 형성된 총 58개의 톨레이트질 화산 원뿔이 분포하고 있다. 이 중에서 가장 잘 보존된 두 개의 화산 원뿔은 레이후링(Leihuling)과 마안산(马鞍山, Ma'anshan)으로, 두 화산은 동서 방향으로 이어진 균열대 위에 위치해 있다.
이 균열대에는 젊은 화산 원뿔 30개가 추가로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스산(石山, Shishan)과 융싱(永兴, Yongxing)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된다. 이 지역의 지질 구조와 과거 화산 활동을 분석한 결과, 동서 방향의 균열이 마그마 상승을 유도하는 주요 경로였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 균열대에는 젊은 화산 원뿔 30개가 추가로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스산(石山, Shishan)과 융싱(永兴, Yongxing)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된다. 이 지역의 지질 구조와 과거 화산 활동을 분석한 결과, 동서 방향의 균열이 마그마 상승을 유도하는 주요 경로였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3. 역사적으로 기록된 분화[편집]
하이난 화산 지대에서 역사적으로 확인된 화산 분화는 두 차례 보고되었다.
- 1883년 - 링가오(Lingao) - 지역링가오(Lingao) 화산 원뿔에서 소규모 균열 분화(fissure eruption)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진다. 분화 시기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19세기 후반의 사건으로 추정된다.
- 1933년 - 청마이(Chengmai) 지역 - 1933년 6월 26일(±4일) 난서링 능선(Nansheling Ridge)에서 또 다른 소규모 균열 분화가 발생하였다. 이 분화는 약 2주 후인 1933년 7월 8일경 종료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두 사례는 하이난 화산 지대가 비교적 최근까지도 활동성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며, 향후 추가적인 화산 활동이 발생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을 시사한다.
4. 현재 연구 및 지질학적 중요성[편집]
하이난 화산 지대는 중국 내에서도 비교적 활발한 화산 지대로 분류되며, 연구자들은 이 지역의 지각 활동과 화산 활동의 상관관계를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히, 플라이스토세 이후에도 화산 활동이 지속된 점, 그리고 최근까지 균열 분화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지질학적 가치가 높다.
현재까지 밝혀진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하이난 화산 지대는 단순한 독립 화산계가 아니라, 지각 내 깊은 균열과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더 자세한 활동 패턴을 밝혀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더불어 화산 지대는 주변 판의 경계와 인접해 있긴 하지만 섭입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 화산 기원에 대해서는 많은 이론이 있으며 그 중 하나로 열점 이론이 제시되었다.
현재까지 밝혀진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하이난 화산 지대는 단순한 독립 화산계가 아니라, 지각 내 깊은 균열과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더 자세한 활동 패턴을 밝혀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더불어 화산 지대는 주변 판의 경계와 인접해 있긴 하지만 섭입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 화산 기원에 대해서는 많은 이론이 있으며 그 중 하나로 열점 이론이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