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선은 현재 폐지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지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지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1. 노선 정보[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06번 | |||||
| |||||
기점 | 경기도 의정부시 가능동(대원여객) | 종점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4가(종로5가.광장시장) | ||
종점 행 | 첫차 | 04:00[A] | 기점 행 | 첫차 | 05:25[A] |
막차 | 23:00 | 막차 | 00:20 | ||
평일배차 | 12~15분 | 주말배차 | 토요일 14~17분 / 공휴일 15~20분 | ||
운수사명 | 대원여객 | 인가대수 | 19대(예비 1대)[3] | ||
노선 | 대원여객 - 가능역 - 의정부역 - 회룡역 - 망월사역 - 도봉산역 - 도봉한신아파트 - 서울북부지방법원.검찰청.도봉역.성황당 - 신도봉시장.도봉구청.방학역북부 - 도봉구민회관 - 쌍문역 - 수유3동우체국 - 수유역 - 수유시장.성신여대미아캠퍼스 - 미아역.신일중고 - 미아사거리역 - 길음뉴타운 - 미아리고개.미아리예술극장 -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 삼선교.한성대입구 → 혜화동로터리 → 명륜3가.성대입구 → 창경궁.서울대학교병원 → 종로5가.광장시장 → 방송통신대.이화장 → 혜화역.마로니에공원 → 삼선교.한성대입구 → 이후 역순 |
2. 개요[편집]
대원여객에서 운행했던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5.2km였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13번 도시형버스(가능동 - 종로5가)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회차구간을 동대문, 동대문운동장 경유로 연장하였고 번호도 106번으로 바꾸었다.
- 2004년 10월 14일 연장된 회차구간을 다시 단축했다. 그래서 당시 노선도에 '구 13 변경"으로 표기된 적이 있었다.
- 2017년 8월 21일 현대힐스테이트녹양역 정류장을 들른 후 가능동으로 들어가게 되면서 차고지 승하차가 금지되었다. 관련 공문 즉, 인가상 기점은 여전히 대원차고지(의정부영업소)이나, 이곳에서의 승하차가 불가능해지며 실질적인 기점은 현대힐스테이트녹양역 정류장으로 바뀐 셈. 실제로 이날부터 대원차고지 출발 정류소가 가상 정류장으로 바뀌었고, 2019년 기준 아예 가상정류장 위치와 명칭이 대원차고지에서 녹양사거리로 바뀌었다. 2017년 실행된 몇 안되는 서울시내버스 노선의 시계외 구간 연장으로, 차고지 바로 맞은편의 녹양역지구를 한바퀴 순환한 후 차고지로 들어가거나 서울로 향한다.
- 2018년 1월 1일 6대가 감차되어 107번, 108번, 370번으로 이동되었다. 이로 인해 배차간격이 3~5분정도 길어졌다. 관련 공문
- 2021년 9월 1일 평일에 한해 1대 투입되는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108회에서 107회로 1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21년 11월 15일 현대힐스테이트 구간을 경유하지 않고 차고지에서 바로 가능역으로 가도록 변경되었다. 이로써 2017년 8월 21일 전 노선으로 돌아간 셈이다. 이번 단축으로 인가 운행소요시간은 185분에서 180분으로 줄었으나, 운행횟수 증회나 배차간격 축소는 전혀 없었다.관련 게시물
- [ 변경 전 노선도 보기 ]
- 파일:서울 106 노선도(2021).png
- 2021년 11월 22일부터 동년 11월 28일까지 2416번 신설 준비에 따라 운행 댓수가 임시로 1대 감축되었고, 11월 29일부터는 정규차 3대 전용예비 1대가 정식으로 감차되어 4대 모두 2416번에 투입되었다. 그리하여 평일/토요일/공휴일에 걸쳐 운행 댓수가 4대씩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가 우선 11월 22일부터 28일까지 1주 동안에는 평일 2회, 토요일/공휴일 각각 5회 감회되었으며, 여기에 11월 29일 정식 감차 후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5회 추가 감회되었다. 11월 22일부터 28일까지 1주 동안은 평일 배차간격에는 큰 변동이 없으나 토요일/공휴일의 배차간격이 11~14분/12~15분에서 12~15분/12~16분으로 늘어났고, 11월 29일부터는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2~15분/14~17분/15~20분으로 크게 늘어났다.관련 공문
- 2024년 8월 3일에 폐선되었다. 동년 6월에 폐선 계획이 수립되었으며, 차량은 3324번과 341번, 3323번 증차분으로 이동된다. 폐선 안내문 마지막 줄에 "오랜 세월을 우리 106번 버스와 함께해 주신 고객 여러분 덕분에 우리 대원여객이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라는 문구처럼 1972년부터 KD 운송그룹의 모체가 된 舊 13번 시내버스의 역사는 52년만에 막을 내렸다. 하지만 의정부시와 도봉구에서의 강력 반발로 결국 의정부시에서 2025년에 106번을 대체하는 노선 신설 계획을 밝혔으며, 신설 노선 개통전 대책으로 106-1번이 신설됐다. 서울 구간이 모조리 없어지면서 도봉산역으로 단축됐지만, 실질적으로는 구 13번 → 106번의 후신으로 볼 수 있으며, 그나마 구 13번의 역사를 어느 정도 계승은 하고 있다. 의정부시 인스타그램 안내 게시물
4. 특징[편집]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의정부시내에서 종로5가까지 도봉로와 동소문로를 완주하는 노선으로 이 라인에서 가장 오래된 노선 중 하나인 만큼 인지도가 매우 높다. 주로 의정부에서 도봉산역, 쌍문역 등 지하철역을 연계하는 역할을 맡고 있으며 간혹 미아리나 혜화까지 이용하는 장거리수요도 존재한다. 다만, 의정부에서 종로까지 가는 장거리 수요는 수도권 전철 1호선에 밀려 아예 없다.
- 도봉산역부터 종로5가까지 구간은 중복 노선이 워낙 많다보니 존재감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특히 종로5가에서 끊기기에 강남, 시청, 용산, 여의도 등 더 먼 방향으로이나 이동하는 140번, 150번, 160번도 있고 중간에서 만나는 다른 중복 노선들도 행선지가 다양하다보니 보조 형태를 지니지만, 도봉로 버스수요와 전철수요가 워낙 높아서 출퇴근시간대에 이 노선의 혼잡도는 높은 편이다. 장거리 행선지인 130번, 140번, 150번, 160번 등은 장거리승객이 기점부부터 자리를 깔고와 중간에 내리지 않고 끝까지 이동하다보니 수유 이남 구간에서 단거리이동으로 목적으로 이용하려는 사람에게는 버스이용이 어려운 상황이 생긴다. 장거리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어 구간수요를 크게 책임져준다.
- 차고지에 가스 충전소가 없어, 가능동에서 약 9km 떨어져 있는 민락동영업소에서 충전한다.
- 2017년까지 32대로 운행하던 노선이 2023년 기준 18대로 절반 가까이 감차되어 과거에 비해 이용하기가 많이 어려워졌으며 수요도 많이 감소하였다. 주말에는 최대 40분씩 배차가 벌어질 때도 있으니 주의하자.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06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21,205명 | - |
2014년 | 20,349명 | ▽ 857 |
2015년 | 19,437명 | ▽ 912 |
2016년 | 19,507명 | △ 70 |
2017년 | 18,177명 | ▽ 1,330 |
2018년 | 12,317명 | ▽ 5,860 |
2019년 | 11,149명 | ▽ 1,168 |
2020년 | 9,039명 | ▽ 2,110 |
2021년 | 9,604명 | △ 565 |
2022년 | 9,036명 | ▽ 568 |
2023년 | 9,276명 | △ 240 |
※ 하차 인원 미포함 |
- 2017~2018년 1년 사이에 승객수가 크게 준 것을 볼 수 있는데, 한 해 동안 2번에 걸쳐 32대에서 24대로 8대나 감차된데다 대당 운행횟수까지 한 번 감축되어서 그런 것이다. 그에 따라 대당이용승객이 3년새 100명 가까이 줄어들었다.
- 2022년 또 4대나 감차되면서 코로나 시국이 완화되었지만, 대부분의 노선의 승객이 증가한 와중에 이 노선의 승객은 감소했다.
* 하지만 2023년에 다시 240명이 증가하면서 희망이 생겼다.
5. 연계 철도역[편집]
- 서울 지하철 7호선: 도봉산역
- 의정부 경전철: 회룡역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성신여대입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