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107_서74사5092.jpg
파일:1670421987160.jp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07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07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의정부시 민락동(민락엘레트19단지후문)
종점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6가(동대문)
종점
첫차
04:10
기점
첫차
06:00
막차
22:30
막차
00:10
평일배차
10~13분
주말배차
토요일 14~17분 / 공휴일 17~21분
운수사명
인가대수
25대(예비 1대)[1][2]
노선
민락엘레트19단지후문 - 송양초등학교 - 송양고등학교 - 단독주택단지 - 송현고등학교 - 민락주공2단지 - 송산1동주민센터 - 구306보충대 - 동국대사범부속영석고등학교 - 신곡지하차도 - 장암주공5단지 - 도봉차량기지앞 - 도봉산역 - 도봉역 - 방학역 - 쌍문역 - 수유역.강북구청]] - 미아역 - 미아사거리역 - 길음뉴타운 -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 삼선교.한성대학교 → 혜화동로터리 → 창경궁.서울대학교병원 → 이화동(이화장) → 동대문 → 종로5가.효제초등학교 → 혜화역.마로니에공원 → 삼선교.한성대학교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대원여객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1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12-1번 도시형버스(민락동 - 종로5가)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가 107번으로 바뀌었다.
  • 2005년 3월 1일 1152번 지선버스가 수유역에서 노원역으로 단축되는 과정에서 증차가 이뤄졌다.
  • 2012년 12월 12일 낙양동 차고지 이전 및 민락2지구 교통편 마련을 위해 민락2지구까지 연장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당시엔 민락동 상가지구와 부용마을3단지 쪽 도로가 개통되지 않아 이마트 의정부점으로 우회하였다. 이후 도로가 완공되면서 민락동 상가지구/부용마을3단지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16년 8월 22일 굴곡 완화를 이유로 부용마을아파트정문, 송산초교를 거치지 않고 송양고에서 송산주공아파트 2.3.5.6단지로 바로 간다. 관련 공문
  • 2017년 12월 31일 종로 중앙버스전용차로의 완공으로 기존 종로6가(종로5가역 4번 출구) 정류소가 폐쇄되면서 무정차 통과한다.
  • 2018년 1월 1일 106번에서 감차된 차량 중 3대가 투입되었고 막차의 차고지 도착시간을 앞당기기 위해 막차시간이 40분 당겨졌다. 관련 공문[3] 그런데,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기간 동안 저상버스 4대와 운전 기사까지 지원을 가면서, 연초에 증차했던 의미가 한 동안 사라지다시피했다.
  • 2020년 1월 29일 정규차 4대와 예비차 1대가 감차되었으며, 감차된 차량들은 모두 같은 날 신설된 01번으로 이동되었다. 이에 따라 운행 댓수가 평일의 경우 4대,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3대씩 줄었고,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의 경우 16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12회씩 감회되었으며 전일에 걸쳐서 최소 배차간격은 1분씩, 최대 배차간격은 2분씩 늘어났다. 관련 공문1관련 공문2
  • 2020년 11월 23일부터 11월 30일까지 전기버스 출고에 의한 차량 이동 및 그에 따른 재도색 작업 실시를 위해 한시적으로 평일의 운행 댓수가 1대씩 줄었었고 1일 총 운행횟수도 4회 감회 운영되었다. 다만 이 기간동안 최소/최대 배차간격에 대한 변동은 없었다.관련 공문
  • 시기미상으로 의정부민락BRT정류소앞 정류장을 양방향 추가 정차하고 있다.
  • 2021년 8월 2일 송현고등학교-어룡역-충의중학교 구간을 용민로 직통으로, 그리고 민락초등학교-산들마을2단지-민락중학교 구간은 용현로 직통으로 변경하며 이와 동시에 현재 04:00/22:20인 기점 첫막차시각이 04:10/22:30으로 10분씩 늦춰진다. 또한 이번 노선 조정으로 운행거리가 줄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235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평일 220분, 토요일/공휴일 215분으로 줄어들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도 전일에 걸쳐 증편되었다. 이번 노선조정 및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의 경우는 각각 4회씩, 공휴일의 경우는 3회 증회되었으며, 다만 최소/최대 배차간격은 전일에 걸쳐 변동 없이 유지되었다.관련 공문
  • 2021년 9월 6일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평일 230분, 토요일/공휴일 225분으로 늘어나면서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고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24회/104회/87회에서 120회/100회/84회로 감회되었다. 다만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최소/최대 배차간격의 변동은 없을 예정이다.관련 공문
  • 2021년 10월 5일 3대가 감차되었다.[4] 이번 감차로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운행 댓수도 3대씩 감축되었고 1일 총 운행횟수도 120/100/84회에서 108/88/72회로, 전일에 걸쳐 12회씩 감회되었다. 이번 감차 및 운행계통 변동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의 각 배차간격도 7~11분/10~13분/11~15분에서 9~12분/11~15분/13~18분으로 크게 늘어났다.관련 공문
  • 2021년 11월 22일부터 동년 11월 28일까지 2416번 신설 준비에 따라 운행 댓수가 평일은 2대, 토요일/공휴일은 각각 1대씩 감축되었고, 동년 11월 29일부터는 4대가 감차되어[5] 전일에 걸쳐 운행 댓수가 4대씩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가 우선 11월 22일부터 28일까지 1주 동안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4회씩 감회되었고 여기에 11월 29일부터는 평일의 경우 8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12회씩 추가로 감회되었다. 이번 조치에 따라 우선 11월 22일부터 28일까지 1주 동안은 평일 배차간격에는 큰 변동이 없으나 토요일/공휴일의 배차간격이 11~15분/13~18분에서 11~16분/14~19분으로 늘었었고, 11월 29일부터는 평일/토요일/공휴일의 각 배차간격이 기존 9~12분/11~16분/14~19분에서 10~13분/14~17분/17~21분으로 늘어나게 되었다.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심야에 민락동으로 가는 유용한 노선으로 이 노선의 막차를 놓칠 가능성이 있거나 이미 놓친 상황이라면 노원역/마들역/수락산역 등지로 이동한 뒤에 우선 민락2지구 방향으로는 3600번을, 장암동/신곡동 방향으로는 3100번, 3200번, 3500번, 3600번을 이용하면 된다.
  • 민락동에서는 10-1번, 10-2번, 10-3번과 경쟁하는 노선이기도 하다. 차이점은 이 노선은 도봉산역을 넘어 동대문까지 가지만, 10-1번/10-2번/10-3번은 도봉산역까지만 간다. 대신 민락동에서 도봉산역까지 걸리는 시간은 10-1번과 10-2번이 더 짧은데 이는 저 두 노선들은 신평화로를 이용해 다이렉트로 가는 반면, 이 노선은 용현동도 들르고 신곡동도 들르고 하기 때문이다. 또 하나의 큰 차이점은, 10-1번이 훨씬 일찍 끊긴다. 00:00 즈음이면 도봉산역에서 민락동 방향 막차가 끊긴다.
  • 도봉산역부터 종로5가까지 구간은 중복 노선이 워낙 많다보니 존재감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특히 종로5가에서 끊기기에 강남, 시청, 용산, 여의도 등 더 먼 방향으로이나 이동하는 140번, 150번, 160번도 있고 중간에서 만나는 다른 중복 노선들도 행선지가 다양하다보니 보조 형태를 지니지만, 도봉로 버스수요와 전철수요가 워낙 높아서 출퇴근시간대에 이 노선의 혼잡도는 높은 편이다. 장거리 행선지인 130번, 140번, 150번, 160번 등은 장거리승객이 기점부부터 자리를 깔고와 중간에 내리지 않고 끝까지 이동하다보니 수유 이남 구간에서 단거리이동으로 목적으로 이용하려는 사람에게는 버스이용이 어려운 상황이 생긴다. 장거리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어 구간수요를 크게 책임져준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07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8,179명
-
2014년
17,035명
▽ 1,144
2015년
16,249명
▽ 786
2016년
15,414명
▽ 835
2017년
15,231명
▽ 183
2018년
15,692명
△ 461
2019년
16,305명
△ 613
2020년
12,559명
▽ 3,746
2021년
11,756명
▽ 803
2022년
10,415명
▽ 1,341
2023년
10,444명
△ 29
※ 하차 인원 미포함
  • 2015년에는 새로 생긴 10-2번 버스가 수요를 분산해주고 있어서 승객이 감소하였다.
  • 2021년 민락동 구간 직선화로 어룡역 연계 기능이 사라진데다, 더불어 타 노선 신설 또는 증차 목적의 감차가 여러 차례 시행되면서 인가 대수가 줄어든 영향으로 800명 감소하였다.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 1 • 2권역(의정부, 구리, 남양주) 방면 ]
의정부시
수락리버 단일
구리/남양주
201구리
202담터
1155담터
수락리버: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터: 남양주방면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방면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 3 • 4권역(하남, 성남) 방면 ]
하남시
341초이
370초이
3217위례
성남시
초이: 초이동 / 위례: 하남시위례도서관
[ 4 • 5권역(과천, 안양, 군포, 의왕) 방면 ]
과천/안양/군포/의왕
과천/안양/군포
안양/군포
안양시 단독
500석수역
5618석수역
152교대
6515교대
과천시 단독
의왕: 의왕시까지 경유, 군포시 내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 교대: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디: 잔디마을만 정차
[ 5 • 6권역(광명, 부천) 방면 ]
광명시
철산리버 단일
부천시
철산리버 단일: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 7권역(고양, 양주, 파주) 방면 ]
고양시
단일(난방공사)
단일(대덕동)
난방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정류장만 정차 / 대덕동: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1] 토요일 18대 / 공휴일 14대 운행[2] 예비차는 106번, 111번과 공동사용.[3] 실은 이미 2016년 2월 말에도 비슷한 이유를 들어 막차를 40분 앞당기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당시 서울시에서 검토 결과 부적절하다면서 무산시켰었다. 출처[4] 감차분은 341번 증차분으로 투입되었다.[5] 감차분은 모두 2416번에 투입되었다.[6] 송산1동주민센터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