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편집]
2. 노선 정보[편집]
기점 |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동(강동공영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한양아파트.압구정로데오역) | ||
종점 행 | 첫차 | 04:00 | 기점 행 | 첫차 | 05:20 |
막차 | 22:30 | 막차 | 00:03 | ||
평일배차 | 8~12분 | 주말배차 | 토요일 10~13분 / 공휴일 11~14분 | ||
운수사명 | 인가대수 | ||||
노선 | |||||
* 밑줄 친 정류장은 양방향 모두 정차하기 때문에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 해야한다. |
3. 역사[편집]
3.1. 구 361번[편집]
- 구 21번 도시형버스(둔촌동 - 영등포시장) 노선이 전신이다. 당시에는 둔촌2동 약수터 정류장 인근 차고지에서 출발했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가 361번으로 바뀌었으며, 강동공영차고지로 연장되면서 노선이 더 길어졌다. 당시 노선 길이는 무려 왕복 약 70km.노선 길이에 비해 차량이 적어 운행에 애로사항이 많았다. 당시 운행구간은 “강동공영차고지 - 상일동역 - 명일동 - 중앙보훈병원 - 강동역 - 천호역 - 강동구청역 - 성내역 - 잠실역 - 종합운동장 - 삼성역 - 봉은사 - 압구정 - 잠원동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흑석동 - 노량진 - 대방역 - 신길역 - 영등포역“ 이었다. 실제로 강동구에서 영등포구까지 무려 5~6시간. 정체 시에는 8시간까지도 운행했다는 수준으로, 나름 고충이 꽤 있었다고 한다. 노선도 긴 주제에 천호동, 잠실역, 삼성역, 선릉로(분당선 공사), 압구정동(갤러리아, 현대백화점), 고속터미널~노량진(9호선 공사), 영등포역 등 공사와 정체로 악명높은 지역만 전부 골라서 지나갔다.
3.2. 구 342번[편집]
- 터미널에서 유턴해서 서래마을 앞으로 가는데 시행 초기에는 인지도 문제로 수요가 저조했지만 서너달정도 지난 뒤에는 이용객이 상당히 많아졌다. 하지만 신반포역사거리에서의 좌회전이 어렵다는 점과, 서울성모병원사거리 일대의 극심한 정체로 인해서 여전히 말이 많았다. 이 때부터 그나마 배차가 개선되기 시작했다.
3.3. 구 351번[편집]
- 2013년 3월 19일부터 서래마을 대신 동작역(국립서울현충원)에서 유턴하는 것으로 변경되었고, 그와 동시에 번호도 351번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3년 9월 26일부터 강일리버파크 9단지와 10단지(하남고등학교)로 가지 않는다. 관련 공지사항
-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장거리 노선 단축 정책의 일환으로 2017년 1월 7일부터 '영동고 - 압구정로데오역 - 압구정현대아파트 - 압구정역 - 신사중 - 잠원한신아파트 - 고속터미널 - 구/신반포역 - 국립현충원(동작역)' 구간이 단축되고, 압구정로데오역 회차('영동고 → 도산공원사거리 → 신구중 → 성수대교남단사거리 → 압구정로데오역')로 바뀌었다. 그리고 노선이 단축되면서 1대가 3318번으로 넘어갔고, 강동차고지 막차시각이 22:30에서 22:50으로 늦춰졌다.관련 공문 하지만 노선 번호는 그대로 351번으로 유지되었다.
3.4. 현 342번[편집]
- 2017년 2월 4일에 번호가 342번으로 환원되었다. 관련 공문 1기 342번과는(강동차고지 - 건대입구역 - 영동대교 - 압구정역) 기종점만 같을 뿐, 중간 구간을 보면 완전히 다른 노선이긴 하다.
- 한편 중앙보훈병원역에서의 서울 지하철 9호선 환승편의 증진을 목적으로, 2019년 1월 14일에 340번에서 2대를 가져와 요일에 상관없이 일 운행횟수가 10회씩 증회되었다. 이에 따라 전반적인 배차간격도 종전보다 1~2분 가량 줄었다.관련 공문
- 2021년 들어 고덕강일2지구 입주로 인한 교통대책으로 기존 경로에서 고덕강일2지구를 경유하는 노선 조정을 강동구에서 시도하고 있으나, 기존 구간(강일리버파크 및 고덕, 상일, 명일동 아파트)의 반발이 거센 상황으로 갈등이 심화되는 중이다. 노선변경안은 마을버스 못지않은 심한 굴곡을 수반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관련 게시물
- 2021년 8월 9일을 기해 기점 막차 시각이 22:50에서 22:30으로 앞당겨졌으며, 이와 함께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200분에서 205분으로 또 늘어나며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도 재차 감축되어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 횟수가 103회/94회/89회에서 101회/92회/87회로 감회되었다.관련 공문 본래는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를 추가로 감축되지만 같은 날을 기해 2대가 증차되면서[7] 운행 댓수가 평일의 경우는 2대,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1대씩 증편되고,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 횟수도 110회/97회/92회로 각각 7회/3회/3회씩 증회되며 배차간격도 11~14분/12~15분/13~16분에서 9~12분/10~13분/12~15분으로 줄어들 예정이었는데, 하남시와의 협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342번의 증차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으나, 2021년 9월 1일부터 증차되어 운행을 시작했다.[8]관련 공문(당초 계획)관련 공문(342번 관련 재협의 요청)#(342번 최종 운행계통 변경)
- 2021년 9월 29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200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210분으로 늘어닜다. 이에 따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도 전일에 걸쳐 감회되고,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횟수도 110회/97회/92회에서 106회/92회/88회로 각각 4회/5회/4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2008년 12월 20일에 맞춤버스로 8361번이 출퇴근시에만 잠실역 이후 곧바로 강변북로로 들어가 여의도와 영등포까지 가는 노선이 개통되었으나, 2009년 12월 19일에 폐선되었다.
- 중앙보훈병원역 개통 이후에는 9호선 이용객들로 혼잡을 이루기도 한다. 때문에 증차가 이뤄지고 있다.
- 강일초등학교에서 양방향 정차하기 때문에 행선판을 잘 보고 타면 된다.압구정로데오역 방향강동차고지 방향행선판 문구 없음차고지행
4.1. 노선[편집]
| ||||||||||||||||||||||||||||||||||||||||||||||||||||||||||||||||||||||||||||||||||||||||||||||||||||||||||||||||||||||||||||||||||||||||||||||||||||||||||||||||||||||||||||||||||||||||||||||||||||||||||||||||||||||||||||||||||||||||||||||||||||||||||||||||||||||||||||||||||||||||||||||||||||||||||||||||||||||||||||||||||||||||||||||||||||||||
4.2.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42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11,772명 | - |
2014년 | 11,869명 | △ 97 |
2015년 | 11,379명 | ▽ 490 |
2016년 | 11,050명 | ▽ 329 |
2017년 | 9,455명 | ▽ 1,595 |
2018년 | 9,827명 | △ 372 |
2019년 | 11,428명 | △ 1,601 |
2020년 | 9,285명 | ▽ 2,143 |
2021년 | 9,927명 | △ 642 |
2022년 | 11,493명 | △ 1,566 |
2023년 | 12,114명 | △ 621 |
2024년 | 12,603명 | △ 489 |
※ 하차 인원 미포함 |
- 2018년 12월에 새로 개통된 중앙보훈병원역을 연계하는 특성이 생겨 원래 351번 시절 수준까지 승객이 늘어났다.
- 강동리버스트 아파트단지를 경유하게 변경됨에 따라 2021년~2022년에 승객이 약 2,200명 정도 늘었다.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1] 예비차는 평일에 정상운행 상용차와 같은 형태로 운행한다.[2] 토요일 22대 / 공휴일 20대 운행[3] 당시 운행시간은 왕복 245분, 운행횟수는 평일 104회, 토요일 96회, 공휴일 84회였고 배차간격 은평일 9~15분, 토요일 9~16분, 공휴일 10~18분이었다.[4] 361번으로 운행하던 당시에는 스마트폰과 버스정류장 도착안내 전광판이 없던 시절이었다. 버스를 타려면 일단 정류장에 나가서 버스가 올때까지 하염없이 기다려야 했었다.[5] 신반포역까지 간 뒤, 남쪽으로 내려와 서래마을입구를 거쳐 회차하는 형태로 바뀌었다.[6] 노선 변경에 가장 결정적인 요인으로는 강동구청에서 시행한 342번 노선 설문조사인데, 변경 찬성이 무려 70% 이상이라고 한다.# 게다가 고덕강일2지구는 서울 전역을 기준으로 보더라도 세대 수에 비하면 대중교통이 매우 열악한 상황이라 노선 확충이 필요한 실정이긴 했다.[7] 증차분은 2대 모두 3412번 감차분이다.[8] 이에 따라 3412번에서 감차되어 342번 증차분으로의 투입이 예정되어 있던 차량 2대는 일단 3412번 배속을 유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3412번은 감차조치가 이미 선 반영된 운행계통으로 운행 중이었다.[9] 현재 폐선 후 38번으로 대체됨[10] 압구정 방면 삼성2문화센터 하차. 강일동 방면 라마다 서울호텔앞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