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노선4.2. 사건·사고4.3.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동성교통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5.6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0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303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상대원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신설동(신설동역.서울풍물시장)
종점
첫차
04:00
기점
첫차
05:25
막차
22:20
막차
00:00
평일배차
6~12분
주말배차
토요일 7~13분 /공휴일 8~14분
운수사명
인가대수
39대(예비 1대)[1]
노선
상대원차고지 - 상대원공단 - 상대원시장 - 단대오거리역 - 신흥역.종합시장 - 이마트성남점 - 통계청.태평역 - 가천대역.가천대학교 - 동서울대학교 - 복정역 - 장지역.가든파이브 - 문정역 - 가락시장역 - 송파역 - 석촌역 - 잠실역 - 잠실대교 - 자양동잠실대교북단 - 광진경찰서 - 어린이대공원후문.아차산역 - 군자역.용마초등학교 - 장한평역 - 답십리역 - 동대문구청 → 신설동역.서울풍물시장 → 용두동로터리 → 서울시동부병원 → 동대문구청 → 이후 역순

3. 역사[편집]

  • 구 570번 도시형버스(성남 상대원 - 신설동) 노선이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버스 체계 개편 때 '신설동로터리 - 흥인지문 → 동대문운동장(당시 명칭) → 국립중앙의료원 → 종로5가역 → 흥인지문 → 이후 역순' 구간이 연장되었고, 번호도 303번으로 바뀌었다.
  • 2014년 11월 1일에 3425번이 신설되면서 7대가 감차되었다.
  • 2022년 5월 1일에 이 노선 차량 6대가 4425번으로 이동하였다.
  • 2023년 8월 21일 302번 증편을 위해 2대가 감차되었으며, 동시에 운행시간 현행화를 위해 운행시간이 조정되었다.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동사에서 9401번 다음으로 수요가 많은 노선이다.
  • 2014년 11월 30일부터 상대원1동 차고지의 이동식 가스 충전소 철거의 여파로 운행 횟수가 감소해 배차간격이 1~2분 정도 늘어났다. 이 때문에 상대원1동에서 무려 15km 떨어져 있는 분당영업소까지 원정을 나가서 충전한다. 또한 일부 차량들은 송파공영차고지구미동에 주박한다. 이 때문에 전기버스 충전기가 상대원차고지에 설치됐다.
  • 기사들이 서울시동부병원 정류소에서 살짝 못 미쳐서 차를 세워둔 후 종종 휴식을 취한다. 보통 앞 차와의 간격에 따라 자율적으로 결정한다. 앞 차와의 간격이 많이 벌어지면 그냥 지나치는 편이다.
  • 성남에 광주대단지가 조성된 당시에는 성남에서 서울 가는 노선이 이것(당시 서울시영버스 270번)밖에 없었다. 당시에는 잠실대교도, 송파대로도 천호대로도 없어서 광주대단지에서 서울(동대문) 가는 데만 1시간 30분이 걸렸고, 1971년 8월 광주대단지 사건의 원인 중 하나가 된다.
  • 일부 구간을 제외하면, 422번(구 9403번)과 태평역 이북으로는 양방향은 광진경찰서까지 99% 중복된다. 잠실대교전망쉼터 정차 유무를 제외하면 100% 중복된다. 특히 서울 방면은 아차산역까지 중복된다. 9403번이 중곡동으로 단축되기 전에는 신설동역까지 중복됐다.
  • 2221번, 7211번과 같이 신설동역 회차지 권역번호가 2권역인 것과 달리, 이 노선의 회차지 권역번호는 여전히 0권역이다. [2]

4.1. 노선[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03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용두로타리한국의류시험연구원
06104
신설동역
06102
서울시동부병원
06182
신설동역.서울풍물시장
06008
이상 편도 회차 구간
용두동신동아아파트
06162
서울시동부병원
06007
용두역
06161
-
동대문구청
06017
동대문구청
06006
신답초등학교.청계한신휴플러스
06004
신답초등학교.청계한신휴플러스
06005
답십리역사거리
04001
답십리역사거리
06001
청년회의소.서울새활용플라자
04002
청년회의소
06002
장한평역
04003
장한평역
06003
군자교입구
05002
군자교입구
05001
군자역.용마초등학교
05004
군자역.용마초등학교
05003
중곡동입구삼거리
05008
중곡동입구삼거리
05005
어린이대공원후문아차산역
05007
어린이대공원후문아차산역
05006
구의2동주민센터입구
05151
구의2동주민센터입구
05152
구의사거리
05153
구의사거리
05154
광진경찰서
05145
광진경찰서
05146
광진구청
05175
광진구청
05148
-
동서울우편집중국앞
05192
자양동잠실대교북단
05188
자양동잠실대교북단
05194
잠실대교전망쉼터
24480
잠실대교전망쉼터
24479
잠실역.잠실대교남단
24002
잠실역.잠실대교남단
24001
-
잠실역.롯데월드몰
24017
석촌호수.한솔병원
24004
석촌호수.한솔병원
24003
석촌역
24006
석촌역
24005
송파역
24008
송파역
24007
가락시장.가락시장역
24010
가락시장.가락시장역
24009
문정로데오거리입구
24012
문정로데오거리입구
24011
문정법조단지.건영아파트
24014
문정법조단지.건영아파트
24013
장지역.가든파이브
24016
장지역.가든파이브
24015
-
복정역1번출구
24305
장지동
24340
복정역2번출구
24420
복정동행정복지센터
48068
복정동행정복지센터
48058
-
복정초등학교
48070
동서울대학교
48066
동서울대학교
48065
복정파출소.복정캠퍼스맛집거리
05170
복정파출소.복정캠퍼스맛집거리
05205
복우물.웃말입구
48059
복우물.웃말입구
48067
가천대역.가천대학교
48069
가천대역.가천대학교
48019
수진리고개.태평고개
48020
수진리고개.태평고개
48023
-
성남수정경찰서
48021
통계청.태평역
48027
통계청.태평역
48024
중앙시장.농협
48032
중앙시장
48031
삼성생명.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48011
성남수정새마을금고.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48656
성남시의료원.신흥1동행정복지센터
48030
성남시의료원.신흥1동행정복지센터
48028
신흥역.종합시장
49021
신흥역.종합시장
48017
성남우체국
49023
성남우체국
48016
단대오거리역.(구)종점
48003
단대오거리역.세이브존
48005
상대원고개
49070
상대원고개
49020
상대원시장
49071
상대원시장
49073
대원터널앞사거리
49048
대원터널앞사거리
49052
상대원1동행정복지센터
49064
상대원1동행정복지센터
49069
공단본부.샤니
49065
공단본부.샤니
49068
고려당사거리
49067
고려당사거리
49066
공단오거리.공단주유소
49049
공단오거리.공단주유소
49063
스타타워.동방렌탈
49060
스타타워.동방렌탈
49059
보통골동양공업사
49061
보통골동양공업사
49062
상대원차고지
49090·49089

4.2. 사건·사고[편집]

  • 2020년 6월 13일, 리치웨이발 집단 감염의 여파로 상대원차고지 소속 시내버스 기사 2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서울특별시는 “코로나 감염 예방 차원에서 밀접 접촉자를 포함한 303번 노선 기사 전원에 대한 코로나19 검사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50% 수준으로 감축 운행을 하느라 배차간격이 30분을 넘어 1시간까지 벌어졌다. 검사 결과 전원 음성판정이 나와 6월 15일부터 정상적으로 운행한다.
  • 2024년 7월 3일 서울 성동구 용답동 서울교통공사 사거리 부근에서 이 노선의 차량이 신호대기중이던 앞 차량을 들이받아 승객 5명이 부상을 당했다.[3]

4.3.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03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28,085명
-
2014년
27,940명
▽ 145
2015년
25,385명
▽ 2,555
2016년
24,431명
▽ 954
2017년
25,340명
△ 909
2018년
25,367명
△ 27
2019년
25,672명
△ 305
2020년
21,983명
▽ 3,689
2021년
23,026명
△ 1,043
2022년
23,853명
△ 827
2023년
22,705명
▽ 1,148
2024년
21,568명
▽ 1,137
※ 하차 인원 미포함
  • 전체적으로 감소추세에 있다. 감차 문제가 주 원인인데, 특히 2015년 3425번의 신설로 차량 7대가 감차되고, 상대원 차고지 CNG 충전소 철거로 인한 배차간격 증가로 인해 승객이 2,550명이나 줄었으며, 2022~2023년까지 8대나 감차되면서 코로나 19 시국 완화 시기에 오히려 줄었다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 1 • 2권역(의정부, 구리, 남양주) 방면 ]
의정부시
수락리버 단일
구리/남양주
201구리
202담터
1155담터
수락리버: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터: 남양주방면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방면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 3 • 4권역(하남, 성남) 방면 ]
하남시
341초이
370초이
3217위례
성남시
초이: 초이동 / 위례: 하남시위례도서관
[ 4 • 5권역(과천, 안양, 군포, 의왕) 방면 ]
과천/안양/군포/의왕
과천/안양/군포
안양/군포
안양시 단독
500석수역
5618석수역
152교대
6515교대
과천시 단독
의왕: 의왕시까지 경유, 군포시 내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 교대: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디: 잔디마을만 정차
[ 5 • 6권역(광명, 부천) 방면 ]
광명시
철산리버 단일
부천시
철산리버 단일: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 7권역(고양, 양주, 파주) 방면 ]
고양시
단일(난방공사)
단일(대덕동)
난방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정류장만 정차 / 대덕동: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1] 토요일 34대 / 공휴일 29대 운행[2] 한때 종로까지 진출하며 303 노선번호를 배정받았으나 1년만에 다시 단축했는데, 이때 노선번호를 변경하지 않았다.[3] 성동구서 시내버스 추돌…승객 5명 부상[4] 동대문구청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