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JR 홋카이도 ]
노선
연계 노선
등급
운행 차종
차량기지
운전지령소
삿포로 종합지령소
[ JR 동일본 ]
노선
연계 노선
등급
도호쿠~홋카이도
야마가타&아키타
조에츠
호쿠리쿠
운행 차종
200 / 400 / E1 / E2 / E3 / E4 / E5 / E6 / E7 / E8
차량기지
신칸센 종합 차량센터 / 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 / 야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 / 아키타 차량센터 / 나가노 신칸센 차량센터 / 도쿄 신칸센 차량센터 / 오야마 신칸센 차량센터 / 모리오카 신칸센 차량센터 / 아오모리 신칸센 차량센터 / 나스시오바라 신칸센 차량센터
운전지령소
신칸센 종합지령소
[ JR 도카이 ]
노선
연계 노선
등급
운행 차종
0 / 100 / 300 / 700 / N700 / N700S / L0
차량기지
오이 차량기지 / 미시마 차량소 / 시나가와 차량기지 / 토리카이 차량기지
차량 공장
하마마츠 차량공장
운전지령소
신칸센 제2종합지령소
[ JR 서일본 ]
노선
연계 노선
등급
도카이도-산요
산요-큐슈
호쿠리쿠
운행 차종
0 / 100 / 300 / 500 / 700 / N700 / N700S / W7
차량기지
하쿠산 종합 차량소 / 하카타 종합 차량소 / 오카야마 신칸센 운전소 / 히로시마 신칸센 차량기지
운전지령소
카나자와 신칸센 지령소 / 하카타 종합지령센터
[ JR 큐슈 ]
노선
연계 노선
등급
산요-큐슈
니시큐슈
운행 차종
차량기지
운전지령소
하카타 신칸센 종합지령소
신칸센 E6계 전동차
新幹線 E6系 電車
Shinkansen E6 Series
파일:E6East.jpg
외부
차량 정보
열차 형식
신칸센 입선용 전동차/고속철도차량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전동차
편성
7량 1편성
운행 노선
도입시기
2012년~2014년
제작사
소유기관
운영기관
차량기지
차량 제원
[ 펼치기 · 접기 ]
편성무게
306.5 t
편성길이
148.65m
전장
20,500㎜[2]
전폭
2,945㎜
전고
3,650㎜
궤간
1,435㎜
대차
볼스터리스 대차
DT210, DT210A (전동차)
TR7009 (부수차) 틸팅 장치 탑재
풀 액티브 서스펜션(전 차량)
토션바 식 안티 롤링 장치 [3]
사용전압
교류 25,000V/20,000V 50Hz 가공전차선
신호장비
DS-ATC, RS-ATC[4], ATS-P
제어방식
동력장치
농형 3상 유도전동기
기어비
(전동기 : 차축) 기준으로 31 : 82
= 대략 1:2.645
제동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편성출력
6,000kW
최고속도
설계
360㎞/h
영업
재래선 : 130㎞/h[5]
고속선 : 320㎞/h
기동 가속도
1.71㎞/h/s(도쿄~모리오카)
2.0㎞/h/s(모리오카~아키타)
감속도
5.2㎞/h/s
전동차 비
5M 2T

1. 개요2. 차량 스펙3. 운용4. 갑종회송 당시5. 그 외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JR 동일본에서 운행하는 미니 신칸센 차량.

아키타 신칸센의 2세대 차량으로 도호쿠 신칸센 구간에서 최고 속도 320km/h 운전을 위해 개발된 차량으로써, 도호쿠 신칸센 속도 증속을 위한 시험차 FASTECH 360의 미니신칸센 규격인 FASTECH 360 Z를 기반으로 양산되었다.

2013년 3월 16일 의 다이어 개정에서 "슈퍼 코마치"라는 이름으로 운행을 시작하면서 E5계와 병결하여 300km/h로 운행을 시작하였다.

2014년 3월 15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아키타 신칸센의 모든 E3계를 대체하면서 슈퍼 코마치에서 슈퍼를 떼고 코마치로 운용되고 있으며, 다이어 개정을 통해 320km/h로 증속하였다. E5계·H5계 와 병결 운용하여, E5계로 운행되는 야마비코, 나스노의 증결 편성에도 투입되고 있다.

2. 차량 스펙[편집]

도호쿠 신칸센에서 신칸센 E5계 전동차가 300km/h의 속도로 영업운전을 하고 있었으나, E5계가 하야테나 야마비코로 투입되는 경우 미니 신칸센 차량인 신칸센 E3계 전동차와 병결을 하게 되는데, E3계의 최고 속도는 275km/h에 불과해서 E5계가 제속도를 못내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JR 동일본은 E6계를 개발하여 320km/h의 속도로 E5+E6 병결 운행을 하고 있다. 이외 E3의 차량 수명도 14년이 다 되어가는 시점에서 교체해야 할 신형 차량을 제조할 필요성이 있기도 했다.

양산 차량은 7량 편성으로 모터카가 5량, 무동력차량이 2량이며[6] VVVF 인버터는 E5•H5계와 동일하게 도시바, 히타치, 미쓰비시제 3사 제품이 탑재되어 있다. 기존의 E3계가 6량 1편성인데 반해 이 녀석이 7량 1편성인 이유는 별것 없다. E3계는 로즈 노즈 타입(6m), E6계는 롱 노즈 타입(13m)이다. 당연히 같은 량으로 편성하면 좌석이 적어지므로 1량을 추가. 양산 차량의 편성기호는 'Z'편성으로, 2010년 6월에 시험용으로 도입된 양산 선행 편성은 S12편성을 부여받고 신칸센 종합 차량센터에 소속되며, 나머지 Z편성(Z2편성을 시작으로 도입되는 순서대로 번호가 부여)들은 아키타 차량센터에 소속되지만 운용 상 차이는 없다.

하야부사로 운행되는 신칸센 E5계 전동차와의 연결을 위해 11호차에는 자동연결기와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는 덮개가 설치되어있다. 하지만 평소에 연결할 일이 없는 17호차 쪽의 연결기는 자동연결기가 아니며, 덮개도 고정식이라 자동으로 열리지 않는다.

팬터그래프는 12호차와 16호차에 장착되어 있으며 진행방향 후부 쪽 1개만 올린다. 이외에도 E5계와 더불어 고속주행을 위하여 전 편성에 소음 최소화를 위한 차음판이 부착되어있다.

E6계가 E5계 개발을 위한 시험차인 FASTECH 360에 기반하여 양산된 만큼, E5계에 들어가 있는 설비는 거의 다 들어가 있다. 단지, 재래선 규격에 맞추기 위해 작아지고, 보조 스텝을 만드는 등의 차이점이 있으며, E5계·E7계에 있는 그랑 클라스 또한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E5계와 비교해 차량 하부의 기기 재배치 및 방음재 추가, 기존의 E5계에서는 그란 클래스에만 적용되었던 풀 액티브 서스펜션이 전 차량에 도입되는 등 전체적으로 승차감 향상에 많은 신경을 썼다.

신칸센규격 구간 내에서 최고속도 320km/h, 기동가속도 1.71km/h/s, 아키타 신칸센 구간인 재래선 구간에서는 최고속도 130km/h, 기동가속도 2.0km/h/s로 주행 가능하다.
차체 틸팅장치의 도움으로 반경 4,000m의 커브에서도 최고속도인 320km/h로 주행할 수 있다고 한다. 단, 틸팅 기능은 재래선 구간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디자인은 페라리의 디자이너로 알려진 오쿠야마 키요유키가 감수하였다.

3. 운용[편집]

2013년 3월 16일의 다이어 개정부터 아키타 신칸센 슈퍼 코마치호로 투입되었으며, 2014년 3월 15일 다이어 개정으로 아키타 신칸센에서 E3계를 완전히 대체하고 E5계와 320km/h 로 증속하여 운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 풀 액티브 서스펜션을 이용한 틸팅 기능이 갖춰져 있다.

2013년 1월 21일에는 언론 시승회가 있었다. 이후 26일에는 일반인 시승회가 실시되었으며 3월 26일 첫 운행을 시작하였다. 2013년 기준 슈퍼 코마치는 4왕복이 운행되고 있으며 누가 JR돈일본 아니랄까봐 무서운 속도로 E3계를 치환하여 코마치에도 투입하고 있다. 다만 JR의 대규모 시간표 개정은 수시로 하는 것이 아니라 1년에 1번 정도 이루어지다 보니 코마치에 투입된 E6계는 E3계 시각표와 동일하게 운행하고 있다. 2013년 9월 28일자로 다시 시간표 개정이 실시되어, 기존의 코마치호를 3왕복 대체하여 매일 정기열차 기준으로 슈퍼 코마치가 7왕복, 코마치가 8왕복 (그 중 E6계로 3왕복이 운행된다)으로 운행하게 된다. 이 시점에 투입되는 E6계 편성은 총 13편성이 되며, 일부는 E5계와 병결된 상태로 코마치 외에도 토호쿠 신칸센 내의 야마비코, 나스노 호로도 운행되며, 모리오카에서 발착하는 하야부사의 병결 편성으로도 운행되고 있다. 2013년 10월 이후에도 매달 1-2편성 정도의 추세로 도입되어 2014년 봄 현재 24편성이 도입되었다.

2014년 3월 15일의 시간표 개정에서 E3계를 모두 대체하여 투입되며, 이에 따라 '슈퍼 코마치'에서 '슈퍼'를 떼고 '코마치'호로 하야부사호와 함께 320km/h로 운용되고 있다.

2022년 3월 후쿠시마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Z9편성의 탈선사고가 발생했고, 결국 폐차되었다.

4. 갑종회송 당시[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H200-22_E6_series_Z9_Nishi-Kokubunji_20130601.jpg

여태 JR 동일본은 E5계 등 새로 제작한 풀 사이즈 신칸센 차량을 육로보다는 주로 해상운송을 통해 센다이의 차량기지로 운송해 왔다. 이는 신칸센 차량의 크기가 재래선의 차량한계보다 훨씬 커서 대차를 바꿔 끼운다 해도 재래선을 운행할 경우 차량에 손상이 가기 때문이다.

그러나 E6계는 차체가 재래선 규격에 맞춰 제작했기 때문에(왜인지는 미니 신칸센 문서를 참조) 위 사진과 같이 대차만 협궤용으로 갈아끼우면 재래선을 문제 없이 달릴 수 있다. 물론 신호체계와 전류가 달라 타 노선상에서의 자력회송은 불가능하여 영업운전시에는 시행하지 않고, 갑종회송시에 이런 식으로 운송하는 정도로만 시행한다.


덕분에 갑종운행당시 간사이지방에서 E6계가 달리는 상당히 희귀한 광경이 펼쳐지기도 하였다. 한큐 전철 전동차와 나란히 달리는것이 상당히 인상적.

여담으로 JR도카이나 JR서일본의 신칸센 차량은 주로 육로를 통해 운송한다. 차량 제작공장이 차량기지와 비교적 가까워 차량으로 운송해도 될 정도이기 때문. 실제로 '모두의 철도'라는 방송에서 N700계 차량의 제작과정을 방송한 적이 있었는데, 토요카와에 있는 제작공장에서 하마마츠에 있는 JR도카이의 차량기지까지 트레일러로 운송하는 장면이 있었다.

5. 그 외[편집]

  • 가끔 모리오카역 타자와코선 재래선 승강장에 주박, 정차하는 보기 희귀한 광경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타자와코선 궤간 규격이 표준궤로 신칸센과 동일해서 그렇다. 열차 지연시를 제외하면 심야에는 신칸센 선로를 비워두어야 하는데 심야에 모리오카에 도착하는 임시 열차가 운영될 때도 타자와코선 승강장에서 종착한다.
  • 겨울철 혹한기때 붙은 얼음이 도호쿠 신칸센에서 떨어져나가 시설물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타자와코선 오카마역에 설치되어 있는 융설 설비에서 대차에 온수를 정기적으로 분사한다.
E6계 데뷔 기념 CM
C61형 증기 기관차가 SL아키타코마치라는 이름을 달고 오우 본선에서 운행했을때 E6계 슈퍼코마치와 병주하는 장면이 포착된 적도 있었다. 영상을 잘 보면 사실상 경주가 아닌가 싶다, 오히려 E6이 더 빨리 움직임 [7]
  • 2014년 로렐상을 수상했다.

6. 둘러보기[편집]

파일:JRE_Wlogo.svg
JR 동일본
철도 차량
현역 [ 펼치기 · 접기 ]
영업용 전동차
신칸센
E2E3E5E6E7E8
특급형
E001185253255E257E259E261E353E655E657E751
일반형
E127E129E131205209211E217E231E233E235EV-E301E501E531701719E721EV-E801
영업용 기동차
일반형
영업용 객차
특급형
일반형
32364350
기관차
C57C58C61D51
사업용 차량
신칸센
전동차
퇴역 [ 펼치기 · 접기 ]
영업용 전동차
신칸센
200400E1E4
특급형
157165183189251E351457485583651
일반형
12101103105107113115123201203207-900215301E331901
영업용 기동차
급행형·특급형
일반형
2035373845141
영업용 객차
급행형·특급형
103560
일반형
기관차
사업용 차량
신칸센
전동차
90193143145441443497740743E991E993E995
기동차
객차
31347890
[1] 도쿄~모리오카 구간[2] 선두차는 23,075㎜[3] 차체와 대차 프레임을 토션바 로 연결하여 대차의 사행동을 억제한다고 한다.[4] DS-ATC 작동 불능시 사용하는 대용폐색시스템이다. 이 경우 속도가 110으로 제한된다.[5] 아키타 신칸센 모리오카~오마가리~아키타 한정[6] 선두칸인 11호차부터 Mc-T-M-M-M-T-Mc 구조인데 동력칸인 11호차가 그린샤고 뒤의 무동력칸이 일반석인 특이한 구조를 하고 있다.[7] 사실 이런 일이 처음 있는 건 아닌데, 과거 E3계 또한 오우 본선에서 C11형 증기 기관차와 함께 달렸던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