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仙石線 Senseki Line | 센세키선 | |
노선 정보 | |
분류 | 간선 |
기점 | |
종점 | |
역 수 | 33 |
개업일 | |
소유자 | |
운영자 | |
사용차량 | |
차량기지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49.0㎞ |
궤간 | 1067㎜ |
선로구성 | 복선 (아오바도리~히가시시오가마) 단선 (히가시시오가마~이시노마키) |
사용전류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폐색방식 | 속도제어식, 자동폐색식 |
신호장비 | |
최고속도 | 95㎞/h |
실측지도 상의 센세키선 |
전구간 주행영상 |
1. 개요[편집]
1.1. 노선 데이터[편집]
- 구간: 전장 50.8km (지선 포함)
- 관할
- 동일본 여객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아오바도리~이시노마키 49.0km
- 일본 화물철도
- 리쿠젠야마시타~이시노마키항 1.8km (제1종 철도사업자)
- 리쿠젠야마시타~이시노마키 1.4km (제2종 철도사업자)
- 궤간: 1067mm
- 역수
- 여객역: 32
- 화물역: 1
- 복선구간
- 복선: 아오바도리~히가시시오가마
- 단선
- 히가시시오가마~이시노마키
- 리쿠젠야마시타~이시노마키항
- 전화구간
- 본선: 전구간 직류 1500V
- 화물지선: 비전화
- 폐색방식
- 이동폐색식: 아오바도리~히가시시오가마
- 특수자동폐색식: 히가시시오가마~이시노마키
- 자동폐색식: 리쿠젠야마시타~이시노마키항
- 신호장비
- ATACS: 아오바도리~히가시시오가마
- ATS-SN: 히가시시오가마~이시노마키
- 최고속도: 95km/h
- 운전지령소: 미야기노CTC (미야기노 종합사무소)
- 운전취급역: 미야기노 신호장, 이시노마키
- 준운전취급역: 히가시시오가마
- 차량기지: 센다이 차량센터 미야기노 파출소
- 센다이 근교구간: 전구간
- 특정도구시내 센다이 시내: 아오바도리~나카노사카에
- 교통카드 호환지역: 전구간
- 영업본부: 센다이 지사
2. 역사[편집]
원래 민영 철도인 미야기 전기철도에 의해 처음 개통되었으며 1944년에 국유화되어 센세키선으로 개칭되었다. 덕분에 도호쿠에서 유일하게 직류 전철화된 국철 노선이 되었다. 1987년 JR 동일본, JR 화물이 각각 노선을 승계하였다.
2000년 3월 11일에 센다이 시내 구간인 센다이역 - 리쿠젠하라노마치역 구간이 지하화되었다. 센세키선의 전신인 미야기 전기철도가 남기고 간 노선은 센다이 중심부를 이리저리 휘저은 후 도호쿠 지방의 관문인 센다이역 현관 앞까지 발을 뻗고 있어, 각종 소음 문제와 함께 수많은 열리지 않는 건널목을 만들어내고 있는 상황이었다. 선형이 불량하여 열차 운행 속도가 떨어지는 문제도 있었다. 지하철 난보쿠선과의 환승 거리가 길다는 점을 고려하여 기존 역사가 있던 동광장에서 멈추지 않고 서광장의 지하철 센다이역 부근까지 연장하여 역을 추가로 만들었는데, 이 때 추가로 만들어진 서측 역사가 아오바도리역이다. 첫 구상 시에는 아오바도리역이 센다이역, 지금의 지하 센다이역은 센다이히가시구치(仙台東口)역으로써 계획되었으나 개통 전에 지금의 형태로 확정되었다.
한때는 지하철 토자이선과의 직통 운행도 고려되었으나, 두 노선의 역을 별개로 건설하는 형태로 변경되었다.[3] 그래서 JR 센세키선이 아오바도리역으로 대신 들어가주는 형태가 되었는데, 어차피 JR은 지자체 보조금을 받아 센다이 시내 지하화공사를 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부담이 적었던 점도 있다. 센세키선이 아오바도리까지 연장되면서, 서쪽에서 아오바도리를 타고 오는 지하철 토자이선은 센다이역 인근 구조물을 피해가기 위해 선형이 매우 불량해졌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어 전선이 운행 중단되었는데, 3월 28일 아오바도리-코즈루신덴 구간이 재개되었고, 복구까지 임시 버스가 운행되었으며, 그 후 순차적으로 영업이 재개되어 2015년 5월 30일, 4년 2개월만에 전선 복구되었다. 미야기현 무라이 요시히로 지사도 기쁨을 표했을 정도. 해안가라 피해가 컸던 리쿠젠오츠카역 - 리쿠젠오노역 구간은 기존 노반을 사용하지 않고 직선화된 새로운 경로로 복구되었다. 여기에 센세키토호쿠라인이 개통하며 거리 단축 효과가 커져 센다이역 - 이시노마키역 간 운임도 인하되었다.
동일본 대지진 당시 205계 1편성이 한 승객의 지혜로 쓰나미를 피해간 기적이 있었다. 탑승한 인원들은 다음날 아침 모두 구조되었다. 안타까운 것은 노비루역에서 출발했던 상행 열차(M09)는 쓰나미에 휩쓸리고 말았다. 살아남은 편성(M16)은 9개월 동안 머물러 있다가[4] 크레인에 의해 을종회송되었다.[5]
전선 개통과 함께, 센다이역-시오가마역-타카기마치역-이시노마키역을 잇는 운행계통이 신설되었으며 센세키토호쿠라인(仙石東北ライン)'이라는 애칭으로 운행된다. 센세키토호쿠라인을 이용하면 고속화되어 있는 도호쿠 본선으로 마츠시마역까지 빠르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이시노마키 방면 속달 열차는 전부 센세키토호쿠라인으로 전환되었고 센세키선 자체의 속달 열차는 폐지되었다. 수도권으로 따지면 센세키 쾌속선 정도의 역할을 해주는 셈이며, 센세키토호쿠라인 열차는 센세키선 내에서 지정된 정차역만 정차한다.
센세키토호쿠라인의 열차는 타카기마치역에서 센세키선 센다이/아오바도리 방면 열차와 다이어가 연계된다.
2000년 3월 11일에 센다이 시내 구간인 센다이역 - 리쿠젠하라노마치역 구간이 지하화되었다. 센세키선의 전신인 미야기 전기철도가 남기고 간 노선은 센다이 중심부를 이리저리 휘저은 후 도호쿠 지방의 관문인 센다이역 현관 앞까지 발을 뻗고 있어, 각종 소음 문제와 함께 수많은 열리지 않는 건널목을 만들어내고 있는 상황이었다. 선형이 불량하여 열차 운행 속도가 떨어지는 문제도 있었다. 지하철 난보쿠선과의 환승 거리가 길다는 점을 고려하여 기존 역사가 있던 동광장에서 멈추지 않고 서광장의 지하철 센다이역 부근까지 연장하여 역을 추가로 만들었는데, 이 때 추가로 만들어진 서측 역사가 아오바도리역이다. 첫 구상 시에는 아오바도리역이 센다이역, 지금의 지하 센다이역은 센다이히가시구치(仙台東口)역으로써 계획되었으나 개통 전에 지금의 형태로 확정되었다.
한때는 지하철 토자이선과의 직통 운행도 고려되었으나, 두 노선의 역을 별개로 건설하는 형태로 변경되었다.[3] 그래서 JR 센세키선이 아오바도리역으로 대신 들어가주는 형태가 되었는데, 어차피 JR은 지자체 보조금을 받아 센다이 시내 지하화공사를 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부담이 적었던 점도 있다. 센세키선이 아오바도리까지 연장되면서, 서쪽에서 아오바도리를 타고 오는 지하철 토자이선은 센다이역 인근 구조물을 피해가기 위해 선형이 매우 불량해졌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어 전선이 운행 중단되었는데, 3월 28일 아오바도리-코즈루신덴 구간이 재개되었고, 복구까지 임시 버스가 운행되었으며, 그 후 순차적으로 영업이 재개되어 2015년 5월 30일, 4년 2개월만에 전선 복구되었다. 미야기현 무라이 요시히로 지사도 기쁨을 표했을 정도. 해안가라 피해가 컸던 리쿠젠오츠카역 - 리쿠젠오노역 구간은 기존 노반을 사용하지 않고 직선화된 새로운 경로로 복구되었다. 여기에 센세키토호쿠라인이 개통하며 거리 단축 효과가 커져 센다이역 - 이시노마키역 간 운임도 인하되었다.
동일본 대지진 당시 205계 1편성이 한 승객의 지혜로 쓰나미를 피해간 기적이 있었다. 탑승한 인원들은 다음날 아침 모두 구조되었다. 안타까운 것은 노비루역에서 출발했던 상행 열차(M09)는 쓰나미에 휩쓸리고 말았다. 살아남은 편성(M16)은 9개월 동안 머물러 있다가[4] 크레인에 의해 을종회송되었다.[5]
전선 개통과 함께, 센다이역-시오가마역-타카기마치역-이시노마키역을 잇는 운행계통이 신설되었으며 센세키토호쿠라인(仙石東北ライン)'이라는 애칭으로 운행된다. 센세키토호쿠라인을 이용하면 고속화되어 있는 도호쿠 본선으로 마츠시마역까지 빠르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이시노마키 방면 속달 열차는 전부 센세키토호쿠라인으로 전환되었고 센세키선 자체의 속달 열차는 폐지되었다. 수도권으로 따지면 센세키 쾌속선 정도의 역할을 해주는 셈이며, 센세키토호쿠라인 열차는 센세키선 내에서 지정된 정차역만 정차한다.
센세키토호쿠라인의 열차는 타카기마치역에서 센세키선 센다이/아오바도리 방면 열차와 다이어가 연계된다.
3. 역 목록[편집]
표기 | 이름 |
特 | 특별쾌속 |
快 | 쾌속 |
통과하는 열차는 연회색으로 표기되어 있다. |
JR 센세키선 | |||||
역명 | km | 우등 | 환승노선 | 위치 | |
0.0 | 센 다 이 시 | 아오바구 | |||
0.5 | 特 快 (지상 승강장) | 미야기노구 | |||
1.3 | |||||
2.4 | |||||
3.2 | |||||
4.0 | |||||
5.6 | |||||
미야기노 신호장 (宮城野信号場) | 6.8 | ||||
7.7 | |||||
8.6 | |||||
10.3 | |||||
타가조 (多賀城) | 12.6 | 타가조시 | |||
게바 (下馬) | 14.4 | ||||
니시시오가마 (西塩釜) | 15.2 | 시오가마시 | |||
혼시오가마 (本塩釜) | 16.0 | ||||
히가시시오가마 (東塩釜) | 17.2 | ||||
리쿠젠하마다 (陸前浜田) | 20.3 | 미 야 기 군 | 리후정 | ||
마츠시마카이간 (松島海岸) | 23.2 | 마츠시마정 | |||
타카기마치 (高城町) | 25.5 | 特 快 | ¶JR 동일본 ●센세키토호쿠라인[8] | ||
테타루 (手樽) | 27.3 | 特 快 | |||
리쿠젠토미야마 (陸前富山) | 28.6 | 特 快 | |||
리쿠젠오츠카 (陸前大塚) | 30.8 | 特 快 | 히가시마츠시마시 | ||
토나 (東名) | 32.2 | 特 快 | |||
노비루 (野蒜) | 33.4 | 特 快 | |||
리쿠젠오노 (陸前小野) | 36.0 | 特 快 | |||
카즈마 (鹿妻) | 37.6 | 特 快 | |||
야모토 (矢本) | 40.2 | 特 快 | |||
히가시야모토 (東矢本) | 41.6 | 特 快 | |||
리쿠젠아카이 (陸前赤井) | 43.1 | 特 快 | |||
이시노마키아유미노 (石巻あゆみ野) | 45.2 | 이시노마키시 | |||
헤비타 (蛇田) | 46.6 | 特 快 | |||
리쿠젠야마시타 (陸前山下) | 47.6 | 特 快 | ¶JR 화물 화물 지선 | ||
이시노마키 (石巻) | 49.0 | 特 快 |
3.1. 화물 지선[편집]
[1] 일본에서 개발한 CBTC의 일종이며, 2011년 10월에 시범 도입되었다.[2] 센다이역과 아오바도리역은 500m밖에 안 떨어져 있어 사실상 같은 역으로 봐도 된다.[3] 센세키선과 직통 운행을 할 경우 센다이 지하철 토자이선의 센다이역이 현재의 센세키선 센다이역(동광장측)에 위치하게 되어 난보쿠선과의 환승 거리가 너무 길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무엇보다 토자이선도 건설비를 줄여야했던 자금사정과 더불어 노선 자체가 고저차 때문에 구배가 엄청 심해서 일반적인 모터를 쓰는 중전철로 짓는것 자체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다.[4] 구글 스트리트뷰로 본 205계 M16 편성.[5] 해당편성은 손상된 부분도 없었고 직원들이 방문하여 점검을하다가 회송되어 중검수까지 받은뒤에야 다시 영업운전에 복귀[6] 센세키선 승강장은 아오바구가 아닌 미야기노구에 위치[7] 이와키리 방면[8] 마츠시마 방면[9] 일부정차[10] 일부열차 오나가와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