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운수 차량 | 한성운수 차량 |
1. 노선 정보[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01번 | |||||
| |||||
기점 |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우이동도선사입구.북한산우이역) | 종점 | 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동(서소문) | ||
종점 행 | 첫차 | 04:00 | 기점 행 | 첫차 | 05:10 |
막차 | 23:00 | 막차 | 00:10 | ||
평일배차 | 5~10분 | 주말배차 | 9~14분 | ||
운수사명 | 인가대수 | ||||
노선 |
2. 개요[편집]
3. 역사[편집]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설되었으며, 당시에는 동대문운동장까지만 갔다. 노선은 영신여객에서 운행했던 구 6번 도시형버스(우이동 - 서울역)에서 가지고 왔다.
- 2006년 4월 6일 '도선사입구 - 국립4.19묘지입구사거리'가 '화계사 - 국립4.19묘지입구사거리'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8년 8월 27일 한성운수 차량 2대가 증차되어, 1일 총 운행횟수가 평일 기준 12회 증회되었다. 다만 배차간격에 생기는 변화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관련 게시물
- 2019년 1월 5일부 동아운수의 토요일 운행 댓수가 1대 감차되고 반대로 공휴일은 1대 증차되었다. 1일 총 운행횟수가 토요일 6회 감회되고 공휴일 6회 증회되었으며, 토요일의 최소 배차간격도 기존보다 1분 늘어난 8분으로 조정되었다.관련 공문
- 2019년 3월 18일 평일의 대당 일 운행 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의 일 총 운행횟수가 11회 감회되었다. 이로 인해 평일 배차간격이 1~2분가량 늘었다.관련 공문
- 2020년 1월 17일 복편 도선사입구 정류장이 삭제되었다. 따라서 우이동 종점 방향은 성원아파트에서 내려야 한다.
- 2020년 3월 27일 양 방향으로 '청구아파트(ID 10-564, 10-747)' 정류소에 정차한다.관련 공문
- 2021년 2월 1일 평일/토요일/공휴일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65분에서 170분으로 5분 늘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회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 3회, 토요일/공휴일 각각 11회 감회되었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본래 8~12분이던 토요일/공휴일 배차간격이 9~14분으로 늘었다.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우이1교 - 도봉구민회관'에서는 방향별로 정류소가 다르다. 서대문 행은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사용하는 반면, 우이동행은 수유3동우체국을 지난 후부터 서울 버스 1126번, 서울 버스 도봉05, 서울 버스 도봉06, 서울 버스 도봉07 과 함께 가로변 정류장을 쓴다. 노선 맞교환 전 1165번의 운행 방식을 계승한 것이다. 그래서 도봉구민회관을 이용할 사람이나 창동에 용무가 있는 사람들은 이 노선을 타면 조금 더 편하다.
- 강북삼성병원 앞으로 다니는 노선 중 유일하게 병원 바로 앞 정류장에 정차한다.
- 구 100번의 '도봉구민회관 - 수유역 - 미아사거리역 - 종암동 - 신설동역 - 종로1~6가'를 계승하며, 유일하게 종암동에서 종로를 잇는다. 동대문역까지는 144번과 서울 버스 111이 보완해주지만 111번은 종암동만 운행하고 도봉로는 운행하지 않으며 배차간격이 20분 정도로 꽤 길고, 144번도 양방향별 혼잡하다. 101번은 종암동~종로 수요를 독점하므로 상당한 혼잡도를 자랑한다. 우이동 방면은 평시에도 종로5가만 넘어가면 입석이 발생하며, 퇴근 시간대에는 회차지점인 서대문경찰서부터 자리를 채우고 서소문에서 입석이 되면서 혼잡하다. 더군다나 '서대문경찰서 - 서소문 - 서울신문사'는 악명 높은 정체 구간이라 배차가 굉장히 자주 깨진다. 러시아워에 20분까지 벌어져 뒷차에 헬게이트가 벌어지는 일도 흔하다.
- 서소문 방향으로 이동 시 종암동(종암경찰서~숭례초교)에서 많이 탄다. 고대앞에서는 종로4가에서 승객을 분산시킬 서울 버스 273번이 합류하지만, 273번은 안암역으로 향하니 결국 신설동역까지 가는 중에 사람들이 또 몰린다. 이 구간을 같이 운행하는 144번은 동대문까지만 겹치고, 173번은 배차간격도 나쁜데다 신설동로터리에 정차하지 않고 바로 난계로와 청계천로로 향한다. 서울 경전철 동북선이 개통되어도 강북구->종로 이동 시에는 제기동역에서 갈아타야 해서 이 노선이 수요를 크게 잠식당할 가능성은 낮다. 신설동역에 도착하면 일부 승객들이 내리지만, 대부분의 승객들이 종로5가 너머까지 가므로 여전히 혼잡하다. 2021년에 111번이 서울 면허로 정상화되며 다시 도심으로 들어와서 보완해 주지만 배차간격이 20분 정도로 꽤 길고, 예전과 달리 동대문까지만 가므로 종로와 광화문 수요를 대체하기엔 역부족이다.
- 도봉로 ~ 종로를 운행하는 노선 중 이 노선만 동소문로에 전혀 들어가지 않고 종암동, 고려대학교, 신설동역을 경유해서 종로로 간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0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19,667명 | - |
2014년 | 19,079명 | ▽ 588 |
2015년 | 18,542명 | ▽ 537 |
2016년 | 18,239명 | ▽ 303 |
2017년 | 17,585명 | ▽ 654 |
2018년 | 17,612명 | △ 27 |
2019년 | 18,316명 | △ 704 |
2020년 | 14,577명 | ▽ 3,739 |
2021년 | 13,907명 | ▽ 670 |
2022년 | 15,143명 | △ 1,236 |
2023년 | 15,774명 | △ 631 |
※ 하차 인원 미포함 |
- 2019년 의정부 111번 버스가 하계역으로 단축되면서 대체노선인 이 노선의 승객이 700명 늘었다.
4.2. 노선[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01번 | ||||||||||||||||||||||||||||||||||||||||||||||||||||||||||||||||||||||||||||||||||||||||||||||||||||||||||||||||||||||||||||||||||||||||||||||||||||||||||||||||||||||||||||||||||||||||||||||||||||||||||||||||||||||||||||||||||||||||||||||||||||||||||||||||||||||||||||||||
|
5. 연계 철도역[편집]
- 수도권 전철 3호선: 종로3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