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편집]
2. 노선 정보[편집]
| |||||
기점 |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 종점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여의도환승센터) | ||
종점 행 | 첫차 | 04:00 | 기점 행 | 첫차 | 05:40 |
막차 | 22:00 | 막차 | 23:50 | ||
평일배차 | 7~11분 | 주말배차 | 토요일 7~13분 / 공휴일 8~14분 | ||
운수사명 | 인가대수 | ||||
노선 |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 양원역 - 망우동고개 - 망우역 - 상봉역 - 면목역 - 사가정역 - 면목두산아파트 - 국민은행장안동지점 - 촬영소사거리 - 답십리도서관 - 청량리역 - 제기동역 - 신설동역 - 동대문역 - 종로3가.탑골공원 - 을지로입구역.광교 - 남대문시장 - (→ 염천교 →/← 숭례문 ← 서울역버스환승센터(6번 승강장) ←) - 서울역서부 - 숙대입구역.청파동주민센터 - 용산경찰서 - 원효로3가 - 청암동강변삼성아파트 - 강변북로 - 마포대교 → 삼부아파트 → 여의도중학교 → KBS별관 → 여의도역 → 여의도환승센터 → 파크원타워.LG트윈타워 → 마포대교 → 이후 역순 |
3. 역사[편집]
- 구 53번 도시형버스(휘경동 - 영등포) 노선이 전신이다. 북부운수 운행 이전에는 혁성운수가 운행했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장안동 구간을 직선화 함과 동시에 면목4동까지 연장되었다. 그리고 노선 번호도 262번으로 바뀌었다.
- 구 139번 도시형버스(문래동 - 면목동)를 대체하기 위하여 2004년 10월 22일에 면목역 경유로 바뀌었다.
- 2005년 1월 6일에 면목동 방향만 면목초교 경유로 바뀌었다. 원래는 2004년 12월 20일에 변경할 예정이었지만, 연기되었다.
- 여의도버스환승센터가 완공되면서 2005년 7월 10일에 '여의도역 → 여의도지하차도 → 국회의사당(U턴) → KBS → 영등포역 → 영등포시장 → 전경련회관 → 여의도역' 구간이 '여의도역 → 여의도지하차도 → 국회의사당 → 여의서로 → 전경련회관 → 여의도환승센터 → 증권거래소 → 여의도역'으로 단축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05년 7월 19일에 기점이 중랑구민회관에서 중랑공영차고지로 바뀌면서, '사가정역 - 중랑구민회관' 구간이 '사가정역 - 서일대학 - 망우역 - 양원역 - 중랑공영차고지'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06년 1월 12일에 '망우역 - 사가정역' 구간이 서일대학 경유에서 상봉역, 면목로 경유로 바뀌었다.
- 2008년 1월 21일에 원효대교 경유에서 마포대교 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0년 5월 17일부터는 대원여객과 공동 배차를 시작했다. 폐선된 1151번에서 11대가 들어왔고, 북부운수의 11대가 타 노선으로 이동되었다.
- 2014년 1월 16일에 삼각 노선트레이드로 대원여객 대신 메트로버스가 공동 배차에 참여하게 되었다.
- 2014년 6월 5일부터 신내3지구(우디안아파트)를 경유한다.
- 2014년 7월 18일에 여의도 구간 중 국회의사당·KBS 구간이 단축되어 '여의도역 → 여의도지하차도입구 → 여의도환승센터'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5년 2월 16일부터 중랑공영차고지 내부 승차가 금지되고, 새로 신설된 중랑공영차고지삼거리(07462) 정류장부터 승객을 취급했다.
- 종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 후 중랑공영차고지 방면 운행시 남대문로에서 우회전으로 종로 진입이라 종로2가(01013) 정류장을 한때 무정차 통과했지만 2018년 6월 18일부터 다시 정차한다.
- 2018년 상반기 정기노선조정으로 인해, 2018년 3월 16일부터 여의도에서 '마포대교 → 유진투자증권 → 한국거래소 → 여의도환승센터 → 마포대교' 구간만 운행할 예정이었다. (기존 구간인 샛강역, 여의나루역은 162번, 261번 등으로 환승하여 이동) 처음에는 청암동까지의 단축이 검토되었으나, 여의도 구간 단축에 대해 서명의견 조회 결과 반대 민원이 많아 '여의도공원 - 여의도지하차도' 구간만 경유하지 않도록 계획을 수정한 것이다. 그러나 3월에 실행 보류가 결정되며 추후 재조정 대상으로 빠졌으며, 7월 말에 있던 재심의에서도 노선 변경이 부결되어 현재의 노선을 유지하게 되었다. 관련 보고서
- 2018년 12월 21일부터 기존에 정차하지 않던 여의도 방면의 을지로입구.광교 정류장에도 정차한다.
- 2019년 7월 22일부터 전농사거리 굴곡구간이 직선화되었다. 노선 길이가 줄어들었는데도 인가 운행 소요시간 감소 및 그에 따른 대당 일 운행횟수 증편을 통한 1일 총 운행횟수 증회는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관련 공문
- 2019년 7월 22일부터 노선 길이가 단축되었는데도, 3주가량 지난 2019년 8월 16일을 기해 대당 일 운행횟수는 오히려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 각각 6회씩, 공휴일 5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폭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19년 12월 7일, '마포대교 → 여의도공원 → 여의나루역 → 여의도중학교 → 시범아파트 → KBS별관' 구간을 '마포대교 → 유진투자증권 (→ KBS별관 → 샛강역) → 여의도역' 형태의 경로로 변경하는 노선 조정안이 공개되었다. 관련 게시물 그리고 동년 12월 23일, 정기 노선조정 심의에서 조정안이 '마포대교 → 유진투자증권 → 삼부아파트 → 여의도중학교 → (기존 경로)'의 형태로 수정 가결되었다.
- 2020년 2월 1일을 기해 조정안이 실행되면서, 2017년부터 이어진 논란의 여의도공원 유턴 문제가 해결되었다. 여의나루역에서 같이 우회전하는 700번과는 달리 700번 단독 정류장인 여의나루역(19993) 정류장은 정차하지 않으며, 같은 날을 기해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5분씩 늘어나고 기점 막차시각도 22:15에서 22:00로 15분 앞당겨졌다.노선 조정 관련 공지사항 운행계통 조정 관련 공문
- 2021년 8월 2일을 기해 북부운수 2312번 감차분 2대가 넘어오고, 메트로버스 2대가 감차되어 2227번 증차분으로 투입됐다. 관련 공문
- 2022년 12월 1일을 기해 북부운수 측 차량이 1대 감차되어 N72번으로 투입되고, 나머지 단축운행차량 2대 중 1대는 정상운행차량으로 전환됐다. 이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가 평일 5회, 토요일/공휴일 각각 4회씩 감회되었다. 관련 공지사항(공문 1) 관련 공문 2
4. 특징[편집]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272번과 사가정역 - 상봉역 구간에서 만나지만 이 두 노선의 방향이 서로 다르다. 사가정역에서 272번은 상봉역 방면이 남가좌동 방면이고, 이 노선은 중곡동 방면이 종로 방면이다. 상봉역에서는 면목동 방면이 종로 방면이고, 272번은 중랑교 방면이 남가좌동 방면이다. 사가정역에서 청량리역까지는 272번과 소요시간이 비슷하고, 상봉역, 면목역에서 신설동역으로 갈때는 272번이 더 빠르다. 면목역에서 청량리역까지는 1213번도 빠르며, 이는 면목역에서 청량리역까지 272번과 소요시간이 거의 비슷하다. 또한 양원역입구 정류장 인근에 학교 (송곡여고, 송곡고 등)학생들도 이 노선을 이용한다.
- 중림동교차로 정류장을 경유하는 노선들 중 서대문06번과 함께 만리동고개가 아닌 용산구 관내로 직진한다. 그래서 만리동고개로 우회전하는 노선들이 정차하는 '서울의료보건고등학교.서울역서부(02103)' 정류장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 사가정역 정류장에서 신내동 방향 정류장은 안전사고 및 차량 정체 유발로 인하여 약간 뒤쪽에 정차한다. 이는 같은 방향으로 운행하는 2015번도 마찬가지다.
- 도심 집회가 있거나 강변북로가 막히면 배차간격이 자주 벌어진다. 무난하게 5~7분 간격으로 지나가다가 갑자기 뒷차가 20분 이상 벌어질 때가 잦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24,532명 | - |
2014년 | 24,870명 | △ 338 |
2015년 | 25,147명 | △ 277 |
2016년 | 24,849명 | ▽ 298 |
2017년 | 23,642명 | ▽ 1,207 |
2018년 | 23,285명 | ▽ 357 |
2019년 | 23,758명 | △ 473 |
2020년 | 18,248명 | ▽ 5,510 |
2021년 | 18,544명 | △ 296 |
2022년 | 20,036명 | △ 1,492 |
2023년 | 20,499명 | △ 463 |
2024년 | 21,082명 | △ 583 |
※ 하차 인원 미포함 |
4.2. 노선[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262번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