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편집]
2. 노선 정보[편집]
| |||||
기점 |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장지공영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여의도공원9번출입구) | ||
종점행 | 첫차 | 04:00 | 기점행 | 첫차 | 06:00 |
막차 | 22:10 | 막차 | 00:10 | ||
평일배차 | 7~13분 | 주말배차 | 토요일 9~14분 / 공휴일 10~15분 | ||
운수사명 | 인가대수 | 40대(예비 1대)[1] | |||
노선 | 장지공영차고지 - 송파파인타운11단지 - 문현중학교 - 문정래미안아파트 - 문정1동주민센터.로데오거리 - 가락시장 - 수서역 - 일원본동주민센터.일원역 - 일원터널 - 디에이치아너힐즈 - 개포동역.개포시장 - 대치역 - 한티역 - 역삼중학교.강남세브란스병원 - 뱅뱅사거리 - 남부터미널 - 서울고등학교 - 방배역 - 서울교통공사 - (← 방배동래미안타워.동덕여중고 ←) - 사당역 - 낙성대입구 - 봉천사거리.서울대입구역 - 봉천역 - 신림역 - 당곡역 - 신대방삼거리 - 서울지방병무청 - 샛강역.여의도자이 - 여의도역 → 국회의사당역 → 여의도공원9번출입구[2] → 여의나루역 → 한국거래소 → 여의도역 → 이후 역순 |
3. 역사[편집]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삼전동 - 역삼로 - 여의도 구간을 수서역 - 도곡로 - 여의도 구간으로 변경했고 번호도 461번으로 바뀌었다. 삼전동 - 역삼로 구간은 363번이 대체한다.
- 2005년 7월 10일에 한국거래소 대신 여의도환승센터, 전경련회관 경유로 변경됐다.
- 2005년 7월 15일에 장지동 방향도 여의도환승센터를 경유하도록 변경됐다.
- 2008년 2월 8일에 기점이 장지공영차고지로 변경됐다.
- 2008년 8월 18일에 송파파인타운 10~13단지 대신 버드나무길 경유로 변경됐다.
- 2011년 2월 8일에 송파파인타운11단지 경유 및 여의나루역 미경유로 바뀌었다.
- 2013년 9월 26일에 배차간격 단축을 위해 여의도 일대에서 회차지점 구간 중 여의도환승센터 대신 여의나루역, 한국거래소 경유로 변경됐다.
- 2018년 1월 19일부로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247분/228분/225분에서 267분/265분/241분으로 늘었다. 이에 따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각 1일 총 운행횟수가 10회/8회/8회씩 감회됐고, 최소배차간격이 평일의 경우에는 7분에서 8분으로, 토요일의 경우에는 8분에서 9분으로 늘어났다. 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수서역-일원동 구간과 삼성로를 연결하는 노선은 많으므로 수요가 가장 낮은 구간이지만 361번과 함께 도곡로 일대를 최단으로 이어주므로 고정 승객이 많다.
- 신림역부터 신대방삼거리역, 보라매역, 공군호텔, 여의도 구간은 핵심구간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서울 경전철 신림선이 개통해 수요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됐으나, 153번, 6513번의 단축 및 변경으로 신대방삼거리 이남[3]과 여의도를 잇는 노선도 이 노선 단독이라 출근시간에 극심한 혼잡도를 보여준다. 신림로와 보라매로에서 여의도를 잇는 노선이 거의 없다보니 국회의사당, 순복음교회 경유에 따른 수요가 상당하다. 그래서 장거리 노선을 단축시키는 와중에도 대체 수단이 전혀 없어서 끝까지 장거리 노선으로 유지되고 있다.
- 장거리 운행으로 인한 기사의 휴식 및 생리적 보장 및 안전운행 준수 규정으로 인해서 여의도공원 정류소에서 10분 ~ 20분간 휴게시간하에 정차하게 되었다. 이 때 승객들을 먼저 출발하는 앞차에 환승하도록 유도하니 평상시처럼 태그하며 승하차 하면 된다.
461번 버스는 5시간 운행하는 장거리 노선으로 운전기사의 휴식 및 생리적 보장과 안전운행 준수를 위하여 회차지점인 여의도공원 정류소에서 약 10분 ~ 20분 정차 후 출발하게 됨을 알립니다. 휴게 시간동안 바로 출발하지 않기 때문에 여의도에서 승차하신 승객들을 동일 노선 환승으로 유도하고 있사오니 이 점 양해하여 주시기 바라며 배차간격을 준수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휴게 시간 공지 내용
- 전체적인 선형은 간선버스다운 직선이다. 그러나 중앙버스전용차로 운행 구간이라고는 강남중학교 하나뿐인데다가 남부순환로와 여의대방로 등 상습정체구간을 많이 통과하므로 왕복 운행시간이 서울시 전체 노선 중 1~2위일 정도로 매우 길다. 이렇게 열악한 운행환경 탓에 난폭운전과 신호위반을 일삼는 승무원들이 꽤 존재하며, RH에는 편도 소요시간만 2시간이 넘는다.
- 장지동 방향 막차는 신림역을 00:30 전후, 수서역을 01:30 전후에 통과하는 등 지하철보다 막차가 늦다. 도곡동, 대치동 등 강남 지역에서 통학하는 서울대 학생들이 야간에 귀가할 시에도 이 노선이 유용하다. 목적지가 송파구라면 3호선 수서역에서 이 노선이 올림픽훼밀리타운이나 장지동 지역으로 간다. 단, 여의도 방향 막차는 장지동 기점에서는 서울 시내버스 중에서는 꽤 이른 편인 22:10에, 대치동에서도 22:55경에 막차가 끊긴다.
- 개편 전에는 출근 시간대에 4대가 신림역 - 여의도 간 예비 노선으로 운행한 적이 있다. 2023년 2월 신설된 맞춤버스 8561번이 과거의 이 노선과 같은 기능을 하고 있다.
4.1. 노선[편집]
| ||||||||||||||||||||||||||||||||||||||||||||||||||||||||||||||||||||||||||||||||||||||||||||||||||||||||||||||||||||||||||||||||||||||||||||||||||||||||||||||||||||||||||||||||||||||||||||||||||||||||||||||||||||||||||||||||||||||||||||||||||||||||||||||||||||||||||||||||||||||||||||||||||||||||||||||||||||||||||||||||||||||||||||||||||||||||||||||||||||||||||||||||||||||||||||||||||||||||||||||||||||||||||||||||||||||||||||||||||||||||||||||
4.2.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46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25,207명 | - |
2014년 | 24,954명 | ▽ 253 |
2015년 | 24,240명 | ▽ 714 |
2016년 | 23,260명 | ▽ 980 |
2017년 | 22,456명 | ▽ 804 |
2018년 | 20,450명 | ▽ 2,006 |
2019년 | 20,590명 | △ 140 |
2020년 | 16,441명 | ▽ 4,149 |
2021년 | 16,255명 | ▽ 186 |
2022년 | 18,412명 | △ 2,157 |
2023년 | 19,535명 | △ 1,123 |
2024년 | 19,668명 | △ 133 |
※ 하차 인원 미포함 |
5. 연계 철도역[편집]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수서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