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편집]
2. 노선 정보[편집]
| |||||
기점 | [출발] 서울특별시 성북구 석관동(석관고등학교후문) [도착] 서울특별시 성북구 석관동(상진운수종점) | 종점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여의도환승센터) | ||
종점 행 | 첫차 | 03:50 | 기점 행 | 첫차 | 05:15 |
막차 | 22:30 | 막차 | 00:00 | ||
평일배차 | 7~11분 | 주말배차 | 9~12분 | ||
운수사명 | 인가대수 | 33대(예비 1대)[1] | |||
노선 | 상진운수종점 - 석계역 - 광운대역 - 광운대학교 - 장위동래미안아파트 - 돌곶이역 - 한국예술종합학교 - 외대앞 - 회기시장 - 청량리역 환승센터 - 제기동역.서울약령시 - 신설동역 - 동대문역 - (→ 종로중부새마을금고 →)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을지로6가.국립중앙의료원 - 을지로3가 - 남대문시장 - (→ 염천교 →/← 숭례문 ← 서울역버스환승센터(6번 승강장) ←) - 서울역서부 - 만리동고개 - 공덕역 - 마포역 - 마포대교 - (→ 여의도순복음교회 → 여의도공원 →) - 여의나루역 - 63빌딩.여의도성모병원 - 여의동주민센터 → KBS별관 → 샛강역.여의도자이 → 여의도역 → 여의도환승센터 → 유진투자증권 → 여의동주민센터 → 이후 역순 |
3. 역사[편집]
- 구 48번 도시형버스(장위동 - 영등포) 노선이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에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장위3동사무소(당시 명칭) 대신 성북역(당시 명칭), 광운대학교 경유로 바뀌었고 여의도 구간도 일부 변경되었다. 번호 또한 261번으로 바뀌었다.
- 여의도버스환승센터가 완공되면서 2005년 7월 10일에 '서울교 → 영등포역 → 영등포시장역 → 여의2교 → 국회의사당' 구간이 단축되었고, 공작아파트 대신 여의도성모병원으로, 증권거래소 대신 여의도환승센터 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흥인지문 녹지조성공사로 인해 흥인지문에서 동대문운동장 방향으로 좌회전이 금지되어 2008년 8월 7일에 양사길(현 종로41길) 경유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 월계508교(현 벼루말교) 재설치 및 하천시설물 보축공사로 인해 2009년 11월 23일부터 2010년 4월 15일까지 장월교로 우회했다. 서울특별시 공지사항 원래는 2010년 1월 31일까지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중간에 공사계획이 변경되면서 연기되었다.
- 2011년 2월 8일에 국회의사당, 전경련회관 구간이 단축되었다. 서울특별시 공지사항
- 마포대교에서 좌회전이 불가능해 기존에는 우회전한 다음 유턴을 했는데, 도로폭이 좁아 2차선에서 좌회전하다보니 1차로에서 유턴하던 차량과 접촉사고가 나는 일이 잦았고 주말에는 반대편에 관광버스 등 불법주정차 차량이 많아 이 조차도 힘들어 2017년 10월에 여의도순복음교회(은행로와 국회대로76길)를 끼고 도는 걸로 변경하는 것에 대한 의견조회를 받았다. 관련 공문
- 안건이 반영되어 2017년 12월 22일에 변경되었다. 관련 보고서 이 과정에서 순복음교회 정류장(19-303)을 새로 경유하게 되었는데, 동종업체 간 불필요한 경합을 피하기 위해 세부 경로를 다르게 해달라고 요청했으나, 서울시는 단독 구간의 수요를 뺏기지 않기 위한 주장에 불과하다며 반려했다.
- 2021년 6월 14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각각 6회/5회/7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본래 각각 5~9분/7~12분인 평일/토요일의 배차간격이 6~10분/8~12분으로 늘어났다.관련 공문
- 2022년 11월 7일을 기해 본래 각각 210분/200분이던 토요일/공휴일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평일과 동일한 220분으로 늘어났다. 그리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는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각각 6회/5회/5회씩 감회되어 132회/108회/105회로 조정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본래 평일 6~10분/토요일 및 공휴일 8~12분이었던 배차간격도 평일 7~11분/토요일 및 공휴일 9~12으로 늘어났다.관련 공문
- 2024년 3월 25일을 기해 동사 2115번의 증차를 위해 단축운행차량 1대가 감차되었다. 따라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총 운행횟수도 공통적으로 2회씩 감회되어 128회/104회/101회로 조정되었고, 각 요일별 최소/최대 배차간격은 변동 없이 유지되었다.
4. 특징[편집]
- BIS상 기점 정류소는 석관고등학교후문이지만, 주민 편의를 위해 1122번처럼 석관동 상진운수차고지에서도 승차가 가능하다.[2]
- 가스 충전은 한성운수 번동 차고지에서 한다.
- 기점 부근이 돌아가는 선형이라 그런지 출발지는 석관동인데 행선지는 장위동(석계역) - 여의도로 표출되어 있었다. 장위뉴타운 개발 이후 장위뉴타운 - 여의도로 표출되고 있다.
4.1. 노선[편집]
| ||||||||||||||||||||||||||||||||||||||||||||||||||||||||||||||||||||||||||||||||||||||||||||||||||||||||||||||||||||||||||||||||||||||||||||||||||||||||||||||||||||||||||||||||||||||||||||||||||||||||||||||||||||||||||||||||||||||||||||||||||||||||||||||||||||||||||||||||||||||||||||||||||||||||||||||||||||||||||||||||||||||||||||||||||||||||||||||||||||||||||||||||||||||||||||||||||||||||
4.2.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26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23,379명 | - |
2014년 | 23,788명 | △ 409 |
2015년 | 23,019명 | ▽ 769 |
2016년 | 22,727명 | ▽ 292 |
2017년 | 22,560명 | ▽ 167 |
2018년 | 22,388명 | ▽ 172 |
2019년 | 22,164명 | ▽ 224 |
2020년 | 16,533명 | ▽ 5,631 |
2021년 | 16,580명 | △ 47 |
2022년 | 18,522명 | △ 1,942 |
2023년 | 18,877명 | △ 355 |
2024년 | 19,351명 | △ 474 |
※ 하차 인원 미포함 |
5. 연계 철도역[편집]
수도권 전철 3호선: 을지로3가역
수도권 전철 4호선: 동대문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서울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청량리역, 서울역, 공덕역
수도권 전철 경춘선: 광운대역(평일 8:44 20:31), 청량리역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청량리역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공덕역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신설동역
서울 경전철 신림선: 샛강역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서울역
일반 철도역: 청량리역(KTX, ITX-새마을, ITX-청춘, 무궁화호), 서울역(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남도해양관광열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