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편집]
2. 역사[편집]
2.1. 로마 문명의 아퀼라[편집]
2.1.1. 고대 로마의 아퀼라[편집]
2.1.2. 중세 로마(동로마 제국)의 아퀼라[편집]
2.1.2.1. 동로마 쌍두수리와의 연관성[편집]
2.2. 이후 유럽 각국의 검수리 문장[편집]
로마가 가진 제국으로서의 이미지 덕분에 그 후신을 자처하거나 비슷한 권위를 확보하려는 여러 유럽계 국가에서 아퀼라와 비슷한 검수리 문장이 사용되었다.
2.2.1. 독일어권의 국가수리[편집]
독일어권에서는 신성 로마 제국을 시작으로 여러 독일어권 국가가 검수리를 국가의 상징인 수리, 이른바 Reichsadle(라이히스아들러)로 사용했다.
단, 구체적인 형태에는 차이가 있는데 합스부르크 가문 치하의 신성 로마 제국과 오스트리아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그리고 전간기의 오스트리아 연방국에서는 쌍두수리(쌍두독수리)를 주로 사용했으며 본래의 아퀼라와 같은 단두수리는 호엔촐레른 가문의 프로이센과 독일 제국, 그 이후의 바이마르 공화국, 나치 독일 등에서 사용되었다.
지금은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머리가 하나인 단두수리를 국가의 상징으로서 사용되고 있는데, Reich가 아닌 연방을 뜻하는 Bundes(분데스)를 붙여 Bundesadler라 부른다.
단, 구체적인 형태에는 차이가 있는데 합스부르크 가문 치하의 신성 로마 제국과 오스트리아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그리고 전간기의 오스트리아 연방국에서는 쌍두수리(쌍두독수리)를 주로 사용했으며 본래의 아퀼라와 같은 단두수리는 호엔촐레른 가문의 프로이센과 독일 제국, 그 이후의 바이마르 공화국, 나치 독일 등에서 사용되었다.
지금은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머리가 하나인 단두수리를 국가의 상징으로서 사용되고 있는데, Reich가 아닌 연방을 뜻하는 Bundes(분데스)를 붙여 Bundesadler라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