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펼치기 · 접기 ]
체제
역사
분할국
잔존국
상징
정치
법률
군사
행정구역
종교
문화
문헌
건축
경제
외교
정체성
창작물
로마 제국
रोमन साम्राज्य
Imperium Romanum
인도
भारत
India
▼ 언어별 명칭
Relatio Romana-Indica
Rome-India relations
힌디어
रोम-भारत संबंध
1. 개요2. 역사3. 유산
3.1. 성 토마스 기독교

1. 개요[편집]

로마 제국인도 아대륙 국가들의 교류에 관해 다루는 문서.

두 세력은 육로로 국경을 맞대지 않고 거리도 멀어서 국가 차원의 외교적 접촉은 드물었지만, 인도양 해상무역로를 통한 경제 교류는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2. 역사[편집]

2.1. 고대 로마 제국과 인도[편집]

로마 공화정 시대부터 후추를 비롯한 인도산 향신료들이 오리엔트 국가들을 통해 지중해를 거쳐 로마까지 수출되었고, 이에 따라 고대 로마인들 역시 인도 무역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아우구스투스가 이집트를 정복하고 황제 직할령으로 만들면서, 홍해를 통해 인도양에 접근할 수 있게 된 로마 제국은 인도를 향해 무역선단을 보내기 시작했다.

2.2. 동로마 제국과 인도[편집]

3. 유산[편집]

3.1. 성 토마스 기독교[편집]

로마 제국에서 인도양 무역로를 통해 전파된 남인도 토착 기독교는 사도 토마스에 의해 전파되었다는 전승에 따라 성 토마스 기독교라 불리게 되었다.

이들은 에페소스 공의회 결과에 불복한 네스토리우스파 신학을 받아들였으나, 대항해시대에 일부 분파가 가톨릭으로 집단 개종하여 시로말라바르 가톨릭이 되었고, 거기에 반발한 다른 분파는 합성론계 오리엔트 정교회[1]를 수용하여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를 비롯한 시리아 정교회 종파들[2]을 믿게 되었다.

그리고 1930년대에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에서 교황수위권을 받아들인 분파가 시로말랑카라 가톨릭이 되면서, 성 토마스 기독교는 2개의 동방 가톨릭과 여러 시리아 정교회 계열 교단이 공존하게 되었다.
[1] 일반적으로 정교회라 불리는 칼케돈파 정교회와는 다르다.[2]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가 가장 유명하지만 이외에도 시리아 정교회 신학을 공유하누 여러 독립적인 교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