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어별 명칭 | |
Relatio Romana-Indica | |
Rome-India relations | |
힌디어 | रोम-भारत संबंध |
1. 개요[편집]
2. 역사[편집]
2.1. 고대 로마 제국과 인도[편집]
2.2. 동로마 제국과 인도[편집]
3. 유산[편집]
3.1. 성 토마스 기독교[편집]
로마 제국에서 인도양 무역로를 통해 전파된 남인도 토착 기독교는 사도 토마스에 의해 전파되었다는 전승에 따라 성 토마스 기독교라 불리게 되었다.
이들은 에페소스 공의회 결과에 불복한 네스토리우스파 신학을 받아들였으나, 대항해시대에 일부 분파가 가톨릭으로 집단 개종하여 시로말라바르 가톨릭이 되었고, 거기에 반발한 다른 분파는 합성론계 오리엔트 정교회[1]를 수용하여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를 비롯한 시리아 정교회 종파들[2]을 믿게 되었다.
그리고 1930년대에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에서 교황수위권을 받아들인 분파가 시로말랑카라 가톨릭이 되면서, 성 토마스 기독교는 2개의 동방 가톨릭과 여러 시리아 정교회 계열 교단이 공존하게 되었다.
이들은 에페소스 공의회 결과에 불복한 네스토리우스파 신학을 받아들였으나, 대항해시대에 일부 분파가 가톨릭으로 집단 개종하여 시로말라바르 가톨릭이 되었고, 거기에 반발한 다른 분파는 합성론계 오리엔트 정교회[1]를 수용하여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를 비롯한 시리아 정교회 종파들[2]을 믿게 되었다.
그리고 1930년대에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에서 교황수위권을 받아들인 분파가 시로말랑카라 가톨릭이 되면서, 성 토마스 기독교는 2개의 동방 가톨릭과 여러 시리아 정교회 계열 교단이 공존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