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펼치기 · 접기 ]
체제
역사
분할국
잔존국
상징
정치
법률
군사
행정구역
종교
문화
문헌
건축
경제
외교
정체성
창작물
[ 펼치기 · 접기 ]
황제
Imperator Caesar Augustus
고위 관직
Magistratus
평민 관직
Magistratus Plebis
속주 총독
Rector Provinciae
원로원 속주 총독[A]
Proconsul
황제 속주 총독
Legatus Augusti pro Praetor
황제 속주 행정관
Procurator
원로원 속주 총독[B]
Proconsul
임페리움(군사 지휘권)을 가진 관직
평민이 취임할 수 있는 관직
밑줄
민회에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 관직
[A]
아시아와 아프리카 속주에는 전직 집정관이 파견됨.
[B]
이 속주들에는 전직 법무관이 파견됨. 그러나 호칭은 여전히 프로콘술.
1. 개요

1. 개요[편집]

조영관(aedilis)은 고대 로마에서 도시 행정과 공공 질서, 축제 및 오락을 담당한 정무관으로, 라틴어 복수형은 aediles이다. 이들은 주로 곡물과 식수의 공급, 도로와 수로의 유지 보수, 공공 위생, 시장의 질서, 물가 감독, 그리고 각종 경기와 축제의 주관 등을 맡았다. 그 역할의 성격상 오늘날의 지방 행정관이나 도시 관리관에 가까운 직무를 수행하였다.

기원전 367년부터 조영관은 두 계층으로 나뉘었는데, 평민만이 맡을 수 있는 평민조영관(aedilis plebis)과 귀족도 출마할 수 있는 수석조영관(aedilis curulis)이 있었다. 이들은 트리부스 민회에서 선출되었으며, 임기는 1년이었다. 기원전 180년 제정된 빌리아 아날리스 법에 따라 출마 자격은 36세 이상으로 제한되었다.

조영관의 주요 임무는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도시의 위생과 공공 질서 유지로, 하수도와 수로 정비, 도로 포장, 건물 보수, 화재 예방 등을 감독하고 사치 금지법이나 풍속 단속도 수행하였다. 둘째, 시장과 물가의 감독으로, 도량형의 규제, 식료품 품질 감시, 곡물 비축과 빈민 구제 등을 책임졌다. 셋째, 공공 행사와 경기 주관으로, 신들을 위한 축제나 공적인 경기를 조직하고 감독하였다.

특히 수석조영관은 대규모 공공 행사를 단독으로 주관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경기를 통해 시민의 지지를 확보하고 정치적 명성을 쌓는 계기로 삼기도 했다. 실제로 조영관직은 차기 법무관, 집정관 등 상위 관직으로 나아가기 위한 중요한 정치 경력의 일환으로 간주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