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펼치기 · 접기 ]
체제
역사
분할국
잔존국
상징
정치
법률
군사
행정구역
종교
문화
문헌
건축
경제
외교
정체성
창작물
파일:640px-Flag_of_the_Despotate_of_Epirusunder_the_House_of_Komnenos_Doukas.png
국기
1. 개요2. 역사
2.1. 건국2.2. 테살로니키 제국 수립2.3. 클로코트니차 전투2.4. 니케아의 콘스탄티노폴리스 수복2.5. 오르시니 가문의 지배2.6. 네마니치 가문의 지배2.7. 부온델몬티 가문의 지배2.8. 토코 가문의 지배2.9. 멸망 이후
3. 정치
3.1. 데스포티스(전제군주)3.2. 정치 제도

1. 개요[편집]

1204년부터 1479년까지 존재했던 동로마 제국(로마 제국계승 국가.

초기에는 그냥 로마 제국이라 주장했고 로마 황제 자리를 노렸으나, 니케아 제국에게 칭신한 이후부터 데스포티스(전제군주)를 칭하게 되었다.

1453년 제국 멸망 이후에도 20년 넘게 존속하여 동로마 후계 국가 중에서는 가장 오래 살아남았지만, 기존 동로마 황족 출신의 콤니노스 두카스 왕조[1]는 1318년에 이미 단절되었고 이후에는 이탈리아계 또는 세르비아계 가문들이 통치했다.

2. 역사[편집]

2.1. 건국[편집]

1204년 4차 십자군에 의해 콘스탄티노폴리스가 함락된 후, 앙겔로스 왕조의 방계 황족이었던 미하일 1세 콤니노스 두카스가 그리스 북서부 이피로스 지방을 장악하고 정권을 수립했다.

2.2. 테살로니키 제국 수립[편집]

미하일 1세의 뒤를 이은 테오도로스 콤니노스 두카스는 1224년 십자군 국가 테살로니카 왕국을 멸망시키고 테살로니키에서 정식 황제로 즉위, 이른바 테살로니키 제국[2]을 수립했다.

테살로니키는 오랫동안 콘스탄티노폴리스 다음으로 중요한 제국 제2의 도시의 위상을 지켜온 도시였기에, 이는 이피로스의 위상을 크게 신장시켰고, 또한 콘스탄티노폴리스와의 거리도 가까워서 제국 재건이 목전에 다가온 것 같았다.

2.3. 클로코트니차 전투[편집]

그러나 지나친 자신감이 독이 된 것인지 테오도로스는 자만심에 빠져 경쟁 상대인 불가리아 제2제국을 얕잡아보다가 1230년 클로코트니차에서 대패를 당했고, 이로써 제국 재건을 눈 앞에 둔 것 같았던 이피로스의 기세는 꺾였다.

테살로니키에서는 테오도로스의 동생 마누일이 황제로 즉위한 반면, 이피로스에서는 테오도로스의 서자 미하일 2세가 즉위한 후 니케아 제국에 칭신하고 데스포티스(전제군주)로 책봉되어, 테살로니키 제국과 이피로스 전제군주국은 분리되었다.

2.4. 니케아의 콘스탄티노폴리스 수복[편집]

2.5. 오르시니 가문의 지배[편집]

2.6. 네마니치 가문의 지배[편집]

2.7. 부온델몬티 가문의 지배[편집]

2.8. 토코 가문의 지배[편집]

2.9. 멸망 이후[편집]

마지막 데스포티스(전제군주) 레오나르도 3세 토코가 망명한 이후에도 그의 후손들이 대대로 이피로스의 데스포티스를 칭했으나, 1642년 안토니오 토코가 포기하면서 명목상의 계승마저 종식되었다.

3. 정치[편집]

3.1. 데스포티스(전제군주)[편집]

  • 콤니노스 두카스 가문
    • 초대: 미하일 1세 콤니노스 두카스
    • 2대: 테오도로스 콤니노스 두카스
    • 3대: 미하일 2세 콤니노스 두카스
    • 4대: 니키포로스 1세 콤니노스 두카스
    • 5대: 토마스 1세 콤니노스 두카스
  • 오르시니 가문[3]
    • 6대: 니콜로 오르시니
    • 7대: 조반니 2세 오르시니
    • 8대: 니키포로스 2세 오르시니
  • 네마니치 가문[4]
    • 9대: 시메온 우로시
    • 10대: 토마스 2세(토마 프렐류보비치)
    • 11대: 마리아 앙겔리나
  • 부온델몬티 가문
    • 12대: 에사우 부온델몬티
    • 13대: 조르조 부온델몬티
  • 토코 가문
    • 14대: 카롤로스 1세 토코스(카를로 1세 토코)
    • 15대: 카롤로스 2세 토코스(카를로 2세 토코)
    • 16대: 레오나르도스 토코스(레오나르도 3세 토코)
  • 명목상 데스포티스(토코 가문)
    • 16대: 레오나르도 3세 토코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21대: 안토니오 토코

3.2. 정치 제도[편집]

[1] 앙겔로스 왕조의 방계였다.[2] 코이네 그리스어 및 라틴어로는 테살로니카지만, 당대 동로마인들이 사용하던 중세 그리스어로는 테살로니키였다.[3] 교황령 로마의 귀족 가문.[4] 중세 세르비아 왕국 및 세르비아 제국의 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