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펼치기 · 접기 ]
체제
역사
분할국
잔존국
상징
정치
법률
군사
행정구역
종교
문화
문헌
건축
경제
외교
정체성
창작물
1. 개요

1. 개요[편집]

고대 로마의 정치 제도는 왕정, 공화정, 제정의 세 시기를 거치며 발전하였다. 왕정 시대에는 이 군사, 종교, 재판권을 모두 장악하였으나, 귀족층의 반발로 왕정이 폐지되고 공화정이 수립되었다.

공화정 시대에는 두 명의 집정관(consul)이 공동으로 통치하였고, 원로원(Senatus)과 민회가 입법, 선출, 재판 등의 권한을 분담하였다. 민회(Comitia)는 로마 시민 전체가 참여하는 정치 기구였으며, 다양한 유형이 있었다. 평민의 정치 참여 확대를 위해 호민관(tribunus plebis) 제도가 마련되었고, 평민회(concilium plebis)는 독자적인 입법 권한을 가지게 되었다.

제정 시대로 접어들면 황제가 사실상 모든 권력을 독점하게 되었고, 원로원과 민회는 형식적으로만 존속하였다. 제국 행정은 황제 직할의 관료 체계를 통해 중앙집권적으로 운영되었다.

로마의 정치 제도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였으나, 권력 분산, 제도적 견제, 시민 참여 등 다양한 요소를 발전시켰고, 이는 후대 유럽 정치사상과 제도의 기초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