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체제
역사
분할국
잔존국
상징
정치
법률
군사
행정구역
종교
문화
문헌
건축
경제
외교
정체성
창작물

파일:Coat_of_Arms_of_the_Ecumenical_Patriarchate_Constantinople_(St._George's_Cathedral,_Istanbul).svg
세계 총대주교
새 로마-콘스탄티노폴리스의 대주교

Οἰκουμενικός Πατριάρχης
파일:바르톨로메오스 총대주교.webp
현직
바르톨로메오스 1세(Βαρθολομαίος Αʹ)
선출
착좌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
2.1. 고대 로마 시대
2.1.1. 비잔티움(비잔티온) 주교2.1.2.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
2.2. 동로마 제국의 세계 총대주교2.3. 오스만 제국의 세계 총대주교2.4. 튀르키예 공화국의 세계 총대주교

1. 개요[편집]

사도 안드레아스로부터 이어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총대주교이자 정교회의 수장으로, 동등한 가운데 으뜸인 총대주교다.

여기서 '동등한 가운데'라는 표현이 중요한데, 이는 서열 1위 총대주교라도 교황마냥 다른 총대주교들에게 일방적으로 수위권을 휘두를 수 없다는 뜻이며, 이는 초대교회에서 직접 이어진 또다른 형제 교회인 가톨릭과 정교회를 구분짓는 중요한 차이점 중 하나다.

2. 역사[편집]

2.1. 고대 로마 시대[편집]

2.1.1. 비잔티움(비잔티온) 주교[편집]

정교회 전승에 따르면 사도 안드레아스가 초대 주교를 맡았는데, 이 당시의 명칭은 비잔티움(비잔티온) 주교였으며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휘하에 있었다.

다른 기독교 주교들과 마찬가지로 로마 제국 정부의 탄압을 받았으나, 313년 콘스탄티누스 1세의 메디올라눔 칙령(밀라노 칙령)으로 박해에서 벗어났다.

2.1.2.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편집]

330년 콘스탄티누스 1세가 비잔티움을 새로운 로마(Nova Roma)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선포하면서, 비잔티움 주교는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로 승격되었다.

2.2. 동로마 제국의 세계 총대주교[편집]

381년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는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휘하에서 벗어나 총대주교로 승격되었고, 그 서열 역시 본래 자신의 상관이었던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는 물론이고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보다도 높고 로마 교황 바로 다음인 2위가 되었다.

또한 로마 제국이 세계 그 자체나 다름 없다고 생각한 로마인들의 관념에 따라, 476년 로마 제국의 서방 영토 상실(서로마 멸망)[1] 이후 남은 제국령에서 가장 서열이 높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는 세계 총대주교라 불리게 되었는데, 이로써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라는 직위가 확립되었다.

2.3. 오스만 제국의 세계 총대주교[편집]

2.4. 튀르키예 공화국의 세계 총대주교[편집]

[1] 당대에는 동서 로마가 별개의 나라로 분리된 게 아닌 하나의 제국을 두 황제가 분할 통치하는 것으로 인식되었고, 서로마의 멸망 역시 제국의 멸망이 아닌 영토 상실로 받아들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