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총대주교
,
,
,
[ 펼치기 · 접기 ]
체제
역사
분할국
잔존국
상징
정치
법률
군사
행정구역
종교
문화
문헌
건축
경제
외교
정체성
창작물
1. 개요2.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정교회)3. 콘스탄티노폴리스 라틴 총대주교(가톨릭)4.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아르메니아 사도교회)

1. 개요[편집]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콘스탄티노폴리스[1]에 총대주교좌를 둔 여러 기독교 종파의 총대주교를 지칭하는 명칭이다.

2.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정교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사도 안드레아스로부터 시작된 총대주교직으로, 다른 설명 없이 그냥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라 하면 정교회의 수장인 세계 총대주교를 일컫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3. 콘스탄티노폴리스 라틴 총대주교(가톨릭)[편집]

1204년 4차 십자군 이후 가톨릭 교회가 정교회의 세계 총대주교와는 별도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총대주교를 파견하면서 시작된 총대주교직.

1261년 라틴 제국의 멸망 및 동로마 제국 부활 이후에는 명목상으로만 남게 되었고, 20세기에 가톨릭 교회가 정교회와의 화해를 추진하면서 완전히 폐지되었다.

4.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아르메니아 사도교회)[편집]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한 오스만 제국의 메흐메트 2세가 제국 내 아르메니아인 밀레트를 관리하기 위해 창설했다.

가톨릭과 달리 아르메니아 사도교회는 지금도 정교회와 별도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를 두고 있으며, 튀르키예 내에서는 정교회 세계 총대주교청보다도 교세가 크다.[2]
[1] 튀르키예이스탄불.[2] 이는 1923년 그리스-튀르키예 인구 교환으로 튀르키예 내 정교회 신자 대다수가 그리스인으로 분류되어 추방된 반면, 아르메니아인들은 오스만 제국 말기의 아르메니아 대학살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인 추방 대상으로 지정되진 않았기 때문이다.